• 제목/요약/키워드: Black ric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Pasting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s Harvested in Korea

  • Chung, Hyun-Jung;Lim, Seung-Tai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31-235
    • /
    • 1999
  • Three black rices(Suwon 415,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harvested in Korea were examined in their pasting characteristics, and minor nutrients(vitamins and minerals) in comparison to those of a brown rice (Dongjinbyo), whereas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were waxy rices(0.4 and 0.6%, respectively).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showed similar viscosity pattern with significantly low pasting temperatures and viscosity. Brown rice showed higher pasting viscosity and pasting temperature than black rices, and its viscosity pattern was similar to Suwon 415. Brown rice and Suwon 415 displayed higher hardness but lower adhesiveness of their gels. Black rices contained more non-carbohydrate components and dietary fiber than brown rice. From the amino acid analysis, black rices contained more acid amino acids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brown rice. Among the black rices, Suwon 415 ha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4.3%). Black rices also contained higher amounts of vitamin B complexes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and minerals(K, Mg and Ca) than brown rice. Sanghaehyanghyeolla showed an exceptionally high amount of Ca (12mg%).

  • PDF

현미와 흑미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s)

  • 고미림;최혁준;한복경;유승석;김현석;최성원;허남윤;김창남;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195-202
    • /
    • 2011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and black rice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y of rice and to show the potential of rice as a functional ingredient. Bioactive compounds were extracted from brown and black rices with aqueous solvents like 80% ethanol.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s' extracts were determined. Brown rice showed much higher amou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tive capacity than those of milled rice indicating that most of bioactive compounds are located in the bran layer. Black rice showed higher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than those of brown rices. The highest antioxidative capacity was obtained from Heugjinju followed by Heugseol, Sinnongheug-chal, Hopum and Samkwang. This result indicated that antioxidative capacity is affected b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Both brown and black rices contained higher amount of ferulic acid than that of p-coumaric acid.

전자코를 이용한 검정현미의 산지판별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in Discrimination of the Habitat for Black Rice)

  • 조연수;한기영;김정호;김수정;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6-139
    • /
    • 2002
  • 검정현미에 내포한 특이한 향기성분을 토대로 수입산 또는 국내산인지의 여부를 전자코로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수입산과 국내산의 판별이 뚜렷하게 구별 가능하였다. 또한 인공신경망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시켜 원산지를 모르는 시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산 검정현미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를 구별할 수 있었다. E-Nose 5000을 이용한 결과는 69종의 국내산 검정현미를 국내산으로 판별한 경우가 64종으로 92.75%이었고, 13종의 수입산 검정현미를 수입산으로 판별한 경우는 11종으로 92.31%의 높을 확률로 metal oxide sensor로만 구성된 전자코의 판별정도보다 더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흑미 추출물에 대한 항동맥경화 효과(Notes) (Antiarteriosclerosis Effects of Black Rices Extract)

  • 임치환;김종민;백승화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1-98
    • /
    • 2008
  • 80% MeOH extract of black rices fractionated with n-hexane, EtOAc, and n-BuOH. Copper-induced LDL oxidation inhibition assay and ACAT inhibition assay examined with fractions. n-Hexane and EtOAc fractions showed high inhibition activity. We divided n-hexane fraction into three sub-layers(H1 - H3) and EtOAc into eight sub-layers(E1 - E8). H1, H2, E6, and E7 are showed higher inhibition activity than standard in Lp-PLA2 inhibition assay and H1 and E6 are showed higher ACAT inhibition activity than standard.

  • PDF

유색미 색도 및 영양특성의 품종간 변이 (Varietal Variation of Pigmentation and Some Nutritive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s)

  • 고희종;원용재;차건완;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0-607
    • /
    • 1996
  • 벼 에서 유색미의 이용성을 검토하고자 갈색, 적색, 자색, 흑색 등의 현미색을 가진 품종들에서 몇가지 색소관련 특성 및 영양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색미의 색소는 종피~과피에 침적되어 있었으며, bulk로 정백시에는 백미에도 그 일부가 잔존하였다. 2. 유색미의 현미 1 g당anthocyanin함량은 갈색 및 적갈색미 1.63~17.62 $\mu\textrm{g}$, 적색미 3.56~11.10 $\mu\textrm{g}$, 자색미 28.11~401.22 $\mu\textrm{g}$, 흑색미 665.98 $\mu\textrm{g}$ 이 었다. 3. 분석된 유색미 중 DZ 78에서 단백질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보통미와 유색미간, 배아를 제거한 현미와 백미간에 특별한 경향이 없이 대체로 비슷하였다. 4. 유색미의 vitamin 함량을 화청벼와 비교하여 볼 때 $B_1$는 L $K_1$B-4-12-1-1과 DK 1에서 다소 증가했다. $B_2$는 L $K_1$B-2-1-1과 L $K_1$B-4-12-1-1의 배아를 제거한 현미에서 월등히 증가하였다. 5. 조사된 양이온 $K^{+}$, $Mg^{2+}$, $Ca^{2+}$, F $e^{2+}$의 함량은 대부분 유색미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색소침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흑미를 첨가한 인절미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Properties of Injulmi made with Black Rice)

  • 조진아;조후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6-231
    • /
    • 2000
  • Injulmi, a kind of traditional Korean sticky rice cakes, was prepared with the mixed flours of waxy and black rices in different ratio(0% to 25% black rice flour), and their quality properties were studi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best acceptance was shown in the samples with 15% black rice flour. The scores for hardness, coarseness. chewiness, and flavor were in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black rice flour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s ranged from 43 to 45%, and it was in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black rice flour increased. In color value, lightness(L value) was 27.43∼65.63. The redness(a value) was -2.01∼4.74, and the yellowness(b value) was -1.40∼4.59. The redness and blueness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black rice flour. In the texture properties, the increase of added black rice flour increased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Injulml, but decreased the adhesive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optimal recipe for Injulmi added black rice flour was to make with 85% waxy rice flour ant 15% black rice flour.

  • PDF

취반된 흑미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ck Rice)

  • 송선주;이유석;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15-1021
    • /
    • 200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흑미 중 수원 415호와 진도를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SDE방법으로, 취반된 흑미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 향기 추출물을 정제 농축하여 GC와 GC/MS로 분석한 후 GC 분석에 의한 RI 및 GC/MS 분석에 의한 mass spectrum을 표준물질의 분석 자료와 비교, 확인함으로써 휘발성 향기 성분을 동정하였고, 내부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성분을 정량하였다. 수원415호와 진도에서 각각 91, 82종의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수원415호에서는 alcohol류 26종, ketone류 15종, ester류 11종, aldehyde류 10종, hydrocarbon류 9종, acid류 5종, 황화합물 9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동정된 물질 중에서 hexadecanoic acid, acetic acid, 1,2-ethanediol, guaiacol, ethyl acetate, 2,3-dihydrobenzofuran, ethanol, ethyl hexadecanoate, methyl 9,12- octadecadienoate, hexanol, ethyl formate, hexanal, 2-pentanone이 수원 415호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진도 흑미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으로는 alcohol류 28종, ketone류 14종, ester류 12종, aldehyde류 9종, hydrocarbon류 5종, acid류 4종, 황화합물 4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hexadecanoic acid, guaiacol, acetic acid, 2,3-dihydrobenzofuran, hydroperoxy pentane, ethyl acetate, methyl 9,12-octadecadienoate, 2-nonanone, ethyl hexadecanoiate, ethyl formate, ethyl 9-octadecenoate, hexanol, 2-pentanone, 3-methyl-1-butanol이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진도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미량이지만 향기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1-acetyl-2-pyrrolidone과 ${\alpha}-pyrrolidone$이 동정되었다.

  • PDF

여러 가지 특수미의 일부 항산화 성분 분석 (Determination of Selected Antioxidant Compounds in Specialty Rice)

  • 서선정;최용민;이선미;김기종;손종록;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99-50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쌀 섭취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건강 기능성 쌀로 개발된 특수미의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미의 polyphenol, phytic acid, anthocyanin은 비색법으로 vitamin E는 순상 HPLC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백미에 비해 특수미는 그 종류에 따라 약 $2{\sim}9$배의 높은 total polyphenol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쌀에는 insoluble polyphenol이 total polyphenol의 약 $25{\sim}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vitamin E 함량은 백미(0.23mg ${\alpha}-TE/100g$)에 비해 현미(1.02mg ${\alpha}-TE/100g$) 및 특수미 $(0.97{\sim}1.21mg\;{\alpha}-TE/100 g)$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phytic acid 함량은 백미, 현미, 거대배아미, 녹미, 적색미, 고아미, 흑미 순으로 각각 529, 1,429, 1,507, 1,561, 1,732, 2,163mg/100g으로 나타났다. 일반미와 특수미의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흑미 (302mg/100g)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미와 특수미의 anthocyanin 함량 비교를 위해서는 HPLC 등을 이용한 정밀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는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증진 식품으로서의 쌀을 인식시켜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된다.

찰흑미와 찰벼를 첨가한 혼합밥의 텍스쳐 (Texture of Cooked Milled Added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 오금순;나환식;이유석;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3-219
    • /
    • 2002
  • 찰흑미와 찰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찰흑미의 경우 그 감소속도가 찰벼보다 더 빨랐으며, a값(적색도)은 찰흑미와 찰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b값(황색도)의 경우 찰흑미는 감소하고 찰벼는 증가하였다. 찰흑미와 찰벼의 L값, a값 및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찰흑미와 찰벼를 첨가한 밥의 기계적 텍스쳐 인자들간에 있어서 찰흑미의 경우 모두 9% 첨가한 백미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탄성과 응집성을 제외한 다른 인자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찰벼를 첨가한 밥은 탄성, 응집성, 씹힘성, 부착성 및 부착성과 경도의 비율이 9% 첨가한 백미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점성과 경도는 7% 첨가한 백미밥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찰벼의 경우 5% 범위에서 향과 경도, 향과 부착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인자들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관능검사 인자들간에는 찰흑미와 찰벼 모두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는데 모두 5%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들 인자들 중 두 시료 모두 맛과 종합적 기호도가 각각 r=0.7153과 r=0.5760으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재배환경에 따른 유색미의 기능성물질 및 항산화활성 변이 (Vari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and Antioxidant Activity as Affected by Cultivation Environment in Pigmented Rice Varieties)

  • 오성환;최경진;김상열;서우덕;한상익;조준현;송유천;남민희;이충근;우선희;이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53-166
    • /
    • 2015
  • 본 연구는 유색미 품종들의 적정 재배시기와 지역에 따른 색소발현 및 항산화 활성 변이를 분석하여 고품질의 유색미를 생산할 수 있는 적정 재배관리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양, 봉화, 상주, 의성 4지역에서 이앙시기를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3시기에 걸쳐서 흑미 3품종과 적미 2품종을 재배한 결과 출수 후 30일간의 평균기온 $19.0^{\circ}C$ 이상에서 평균기온이 $1^{\circ}C$ 증가할 때마다 흑미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약 9.9%, 적미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약 9%씩 감소하였다. 2. 유색미의 기능성물질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출수 후 30일간 적정등숙온도는 흑미의 경우 조생종은 $22{\sim}23^{\circ}C$, 중만생종은 $21{\sim}22^{\circ}C$의 범위였으며, 적미도 $21{\sim}22^{\circ}C$범위였다. 3. 전국 지역별 30년간의 기상자료를 토대로 적정출수기를 추정한 결과 제천지역은 조생종이 8월 11일에서 8월 17일, 중만생종은 8월 25일경이며 보은지역은 조생종이 8월 15일에서 8월 19일, 중만생종은 8월 20일에서 8월 27일에 해당되었다. 영주지역은 조생종이 8월 15일에서 8월 21일, 중만생종은 8월 24일 경이었고, 충주지역은 조생종이 8월 17일에서 8월 23일, 중만생종은 8월 22일에서 8월 29일에 해당되었다. 대구지역은 조생종이 8월 27일에서 9월 2일, 중만생종은 9월 3일에서 9월 6일경으로 주요 재배적지는 제천, 보은, 문경, 영주 등이었다. 4. 적정파종기 추정결과 제천지역은 조생종이 5월 18일에서 5월 26일, 중만생종이 4월 11일 경이었으며, 보은지역은 조생종이 5월 23일에서 5월 28일, 중만생종이 4월 9일에서 4월 26일, 문경지역은 조생종이 5월 24일에서 6월 1일, 중만생종이 4월 21일에서 5월 4일, 영주지역은 조생종이 5월 22일에서 5월 30일, 중만생종이 4월 13일에서 4월 27일, 충주지역은 조생종이 5월 31일에서 6월 7일, 중만생종은 5월 4일에서 5월 14일 경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