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lack ice detection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Research on black ice detection using IoT sensors - Building a demonstration infrastructure - (IoT 센서를 이용한 블랙아이스 탐지에 관한 연구 - 실증 인프라 구축 -)

  • Min Woo Son;Byun Hyun Lee;Byung Si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3-263
    • /
    • 2023
  • 블랙아이스는 눈에 쉽게 구분되지 않아 많은 교통사고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의 서리/결빙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122명, 적설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40명으로, 블랙아이스는 적설에 비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과거의 다양한 연구에서 블랙아이스 생성조건을 기압과 한기 축적등의 조건에서 예측해왔지만, 이러한 기상학적 모델은 봄철 해빙기의 일교차로 인한 눈의 해동과 재냉각과 같은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의 블랙아이스 탐지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이미지 판별과 딥러닝모델(YOLO 등)을 기반으로 한 센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충분한 컴퓨팅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블랙아이스 탐지까지 걸리는 속도가 빠르지 못한 편으로, 블랙아이스 초입 구간에서의 제동에 취약하다는 잠재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블랙아이스의 주 원인인 서리나 어는비가 발생하기 위해서 주변 공기가 이슬점 온도 이하, 노면온도와 이슬점이 어는점보다 낮아야 함을 이용, IoT 센서 모듈을 통해 Magnus 방정식으로 계산한 이슬점 온도와 노면 온도를 사용하는 이동식 블랙아이스 추정 장치를 제시한다. 본 장치는 대기압, 온도, 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와 노면 온도를 통한 서리발생 가능성과 대기 온도, 노면 온도를 통해 어는비의 발생환경 여부를 계산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블랙아이스 추정과 기상정보 생산을 동시에 가능케 하며, 추정 결과를 통합 수집서버에 전송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전방 블랙아이스 위험 구간을 조기에 전달하는 시스템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운전 시 결빙 미끄러짐 사고를 저감하고자 한다.

  • PDF

INTRA-NIGHT OPTICAL VARIABILITY OF ACTIVE GALACTIC NUCLEI IN THE COSMOS FIELD WITH THE KMTNET

  • Kim, Joonho;Karouzos, Marios;Im, Myungshin;Choi, Changsu;Kim, Dohyeong;Jun, Hyunsung D.;Lee, Joon Hyeop;Mezcua, Mar
    •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51 no.4
    • /
    • pp.89-110
    • /
    • 2018
  • Active Galactic Nucleus (AGN) variability can be used to study the physics of the region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black hol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intra-night optical variability of AGN in the COSMOS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GN instability at the smallest scal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KMTNet on three separate nights for 2.5 to 5 hours at a cadence of 20 to 30 min. We find that the observation enables the detection of short-term variability as small as ~ 0.02 and 0.1 mag for R ~ 18 and 20 mag sources, respectively. Using four selection methods (X-rays, mid-infrared, radio, and matching with SDSS quasars), 394 AGN are detected in the $4deg^2$ field of view. After differential photometry and ${\chi}^2$-test, we classify intra-night variable AGN. The fraction of variable AGN (0-8%) is statistically consistent with a null result. Eight out of 394 AGN are found to be intra-night variable in two filters or two nights with a variability level of 0.1 mag, suggesting that they are strong candidates for intra-night variable AGN. Still they represent a small population (2%). There is no sub-category of AGN that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night variability.

Development of Analysis Method of Caffeine and Content Survey in Commercial Foods by HPLC (HPLC를 이용한 카페인의 분석법 개발 및 시판 식품중 함유량 조사)

  • Kim, Hee-Yun;Lee, Young-Ja;Hong, Ki-Hyoung;Lee, Chul-Won;Kim, Kil-Saeng;Ha, Sang-Chul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6
    • /
    • pp.1471-1476
    • /
    • 1999
  • A simple and prac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ffeine in foods was developed. The analysis of caffeine was performed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mu}-Bondapak\;C_{18}$ column at isocratic condition with methanol-acetic acid-water(20 : 1 : 79) on UV detector at 280 nm. The clean-up and extraction of caffeine in samples were based on a simple pretreatment using a Sep-Pak $C_{18}$ cartridge. Recovery rates obtained with this method for cider, candy, cookie, milk, ice cream and persimmon leaf tea were 99.23%, 99.50%, 99.17%, 99.37%, 98.93% and 99.10% respectively. And the detection limit of caffeine was $0.1\;{\mu}g/mL$. With this method, the range of caffeine contents extracted from coffee, green tea, black tea, Oolong tea(tea bag), soft drinks, ice cream, milk and commercial confectionery were $3.38{\sim}37.50\;mg/g,\;16.30{\sim}26.10\;mg/g,\;10.80{\sim}16.65\;mg/g,\;11.25\;mg/g,\;0.06{\sim}0.11\;mg/g,\;0.04{\sim}0.44\;mg/g,\;0.04{\sim}0.39\;mg/g\;and\;0.10{\sim}1.80\;mg/g$, respectively. But caffeine was not detected in the other tea such as Acanthopanax sessiliflorum tea, Angelica gigas tea, Angelica tea, Arrow root tea, Duchu'ng tea, Dunggulle tea, Ganoerma lucidum tea, Ginger tea powder, Persimmon leaf tea, Ssanghwa tea and Cocoa mix pow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