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ic indice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수생태계에 미치는 석산개발의 영향 - 생물군집과 입지유형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Impacts of Stone Quarry Exploitation - Aqua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nd Quarry Locality)

  • 이성진;김명철;김지영;노태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8-378
    • /
    • 2005
  • Inorganic matters originated from stone quarries and manufacturing plants could alter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jacent aquatic systems, especiall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such situation, the locality of stone quarry and the quantity of inorganic matters would b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d the disturbing strength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Locality patterns of stone quarri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in relation to the stream ecosystem; stream-proximity, upstream-inclusion and tributary-inclusion type. In the result of species:abundance analysis, stone quarry B (upstream-inclusion type) showed geometric distribution, while others showed broken-stick distribution patter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closer to stone quarries showed smaller species numbers and standing crops among all types of stone quarries. However the values of species evenness index were not seriously different between controls and directly affected sit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inorganic disturbance would differ from those of organic pollution that induced the highly dominant state occupied by tolerant species. Number of occurred species, standing crops, community indices and biotic indices indicated that the community of upstream-inclusion type was the most seriously damaged from the inorganic disturbance, and the community would be very simple and unstable. Tributary-inclusion stone quarry heavily damaged to tributary system in biologically, but influence to the main stream seemed to be depended on the scale of main stream. Among 3 types of stone quarry localities, stream-proximity type induced the least damages to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ough the degrees of damage were different along with distances between stream and stone quarry.

항생제 내성 Enterococcus faecalis에 대한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항균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Ecklonia cava Extract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 김승용;김영목;김은정;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1-57
    • /
    • 2015
  • With continu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new, effective and safe therapies,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test the efficacy of an antibacterial agent derived from marine edible seaweed. The methanolic extract of Ecklonia cava from marine edible seaweed evinced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mong five solvent-soluble fractions of E. cava methanolic extract, the ethyl acetate soluble extract (EtOAc) exhibite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a MIC value of $128{\mu}g/mL $ against E. faecalis strains. Furthermore, a synergistic antibacterial effect between an antibiotic and the EtOAc fraction was assessed using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FIC) indices. A combination of ciprofloxacin and the EtOAc fraction resulted in a ${\sum}FIC_{min}$ range of 0.188 and ${\sum}FIC_{max}$ of 0.508 to 563, suggesting that the ciprofloxacin-EtOAc fraction of E. cava combination resulted in an antibacterial synergy effect against E. faecalis.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41
    • /
    • 2016
  •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온천 주변 소형하천에 서식하는 부착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pilithic Algae in a stream drained from Hot Springs)

  • 최환석;유춘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1-136
    • /
    • 1998
  • Attached algal community and several physico-chemicai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at Seokjong hot spring in Chollabukdo in February and in April, 1997.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i factors are as follows : water temperatures were varied from 6.5$^{\circ}$C to 32.0$^{\circ}$C; pH range was 6.9 to 7.7; The levels of electric conductivity were 105 $\mu$mhos/cm to 477 $\mu$mhos/cm; chemical oxygen demand(COD) range was 1.5 mg/l to 21.2 mg/l; ammonia concentration was 0.20 mg/l to 8.74 mg/l; nitrate concentrations were 0.36 mg/l to 2.43 mg/l; phosphate concentration was N.D. to 0.52 mg/l; sulfur concentration was 14.6 mg/l to 66.1 mg/l. Attacched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Totally, 63 taxa were classified and composed of 4 phylum, 4 class, 10 order, 17 family and 31 genera. The total biomass of attacched algae was $1.036 \times 10^{7}$ cells/l that composed of $5.39 \times 10^{6}$ cells/l of blue-green algae, $4.05 \times 10^{6}$ cells/l of diatom and $0.93 \times 10^{6}$ cells/l of green algae. The succession of dominant species was Synechocystis thermalis. This could be due to the thermal wastewaters. in biotic indices tests, the values of dominance index(DI) were 0.33 to 0.67 in winter, 0.18 to 0.68 in spring. The values of diversity index(H') were 1.44 to 2.69 in winter, 1.62 to 2.89 in spring. And the values of eveness index (J) were 0.31 to 0.61 in winter, 0.37 to 0.65 in spring.

  • PDF

도심하천인 풍영정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와 수질과의 통계적 관계 분석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 Distribution and Water Quality at Pungyeongjeong Stream in the Urban Region)

  • 윤상훈;양윤철;서광엽;조영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4-172
    • /
    • 2018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ommunity pattern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ies and the water quality in the Pungyeongjeong Stream. We collected the samples four times by season. The number of species was 28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Cheumatopsyche brevilineata, Hydropsyche kozhantschikovi, Baetis fuscatus, Chironomidae spp., and so on. The range of the dominant index was 0.54 to 0.93 and the mean was 0.77. The range of the diversity index was 0.94 to 2.54, and of the mean index it was 1.75. The ratio of filtering-collectors and clingers got lower, but the ratio of gathering-collectors and sprawlers got higher as collection progressed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lower stream. The results of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COD, SS, TOC and total coliforms were highly related with biotic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showed that the survey sites and perio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survey sites were divided into upper stream and middle-lower stream. The survey periods were divided into winter season and other seasons.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howed som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influence factors; however long-term and regular investigations were thought to need analysis and prediction with various statistical methods.

지리산국립공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 분포 특성과 생물학적 수질평가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Jirisan National Park)

  • 방기준;김형곤;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5-671
    • /
    • 2016
  •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with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investigated from 2013 to 2014 in the mountain streams of Jirisan National Park.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llection had been performed six times during study periods in twelve sites located at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of four valleys, Chilsungol, Baemsagol, Daesunggol and Piagol of freshwater ecosystem in Jirisan National Park. As results, the total collect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3 phyla, 4 classes, 11 orders, 37 families, 107 species and 4,028 individuals. In 2013, 3 phyla, 4 classes, 10 orders, 32 families, 89 species and 1,829 individuals were collected. And in 2014, 3 phyla, 4 classes, 9 orders, 31 families, 80 species and 2,199 individuals were identified. The total dominant species was Ecdyonurus kibumensis, and EPT groups occupied 80.39% of total species number. Biotic indices were also compared to site and to season. The dominant index (DI) was highest at the downstream of Baemsagol in the spring of 2013, and the evenness index (J') was highest at the downstream of Daesunggol in the summer of 2013. Both diversity index (H') and richness index (RI) were highest at the upstream of Baemsagol in the summer of 2014. The correlation between altitude above sea level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as also research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species number of shredders and predator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altitude of their habitat.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of gathering collector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ltitude.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several methods in this study, and we suggest that ESB and GPI are more appropriate than KSI and BMI to evaluate biological water quality of mountain stream water.

경관지수와 생태계용역가치를 활용한 대구광역도시권 경관의 구조적·기능적 변화 분석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Landscape Changes in Daegu Metropolitan Sphere using Landscape Indices & Ecosystem Service Value)

  • 최원영;정성관;오정학;유주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02-113
    • /
    • 2005
  • 생태계는 인간, 생물 무생물적 환경의 집합체이며, 경관은 생태계가 단위지역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경관은 다양한 경관요소가 시 공간적으로 나타나는 토지 모자이크이며, 토지이용과 피복 변화는 경관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을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정량화하는 경관지수와 생태계용역가치(Ecosystem Service Value: ESV)를 이용하여 대구광역도시권의 산림경관의 시 공간적 변화패턴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림경관의 잠식과 파편화는 택지 및 공업단지조성 등의 대규모 개발행위 보다는 도로 등의 선형적 개발에 의해 발생되었으며, 핵심지역의 상대적 비율은 점진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생물종의 주요 서식처가 되는 핵심지역을 감소시켜 그 건전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ESV가 산림경관의 면적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개발과 보존의 논리 사이에서 객관적인 평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광역도시계획 등의 개발계획 수립에서 생태계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척도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복원에 따른 양재천 어류 군집의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Fish Community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Yangjae Stream)

  • 이황구;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73-883
    • /
    • 2015
  • 201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양재천의 어류상과 복원 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5과 18종 1,503개체가 확인되었다. 하천복원 이후 양재천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분포 조사결과 피라미(Zacco platyp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개체군이 높게 나타났다. 양재천에 서식하는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 빈도 분포 결과 총 4단계의 연령대가 추정되었으며, 27~63mm (Age $0^+$)가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3.27, 비만도지수 slope는 양의 값으로 안정적인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내성도와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하류로 내려갈수록 민감종과 충식종은 개체수 풍부성이 감소하고, 내성종과 잡식종은 증가하였다. 군집지수와 IBI지수를 활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시기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1차와 2차조사시 특정 단일종 개체군의 영향이 높고, 3차조사시 다양한 어류의 개체수가 균등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에 의한 밀양강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Miryang River)

  • 박연규;박현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
    • /
    • 1999
  • 밀양강 수계 7개 지점에 대하여 1997년 4월부터 12월까지 5회에 걸쳐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석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류군은 총 3문 8강 15목 37과 45속 81종으로서 빈모류 1종, 거머리류 2종, 복족류 6종, 부족류 5종, 갑각류 2종, 곤충류 65종으로 곤충류가 가장 많았다. 전체 지점에 대한 평균 개체수 현존량은 815개체/㎡였다. 이 중 곤충류(약80%)가 가장 많았으며, 다시 곤충류 중에는 하루살이류(약 70%)와 날도래류(약 18%)가 주를 이루었다. 각 지점별 평균개체수 현존량을 보면, 제1지점인 청도천의 경우 262개체/㎡(32.2%)로서 가장 많은 출현율을 보였고, 제7지점인 밀양강 끝지점의 경우 38개체 /㎡(4.7%)로서 가장 출현율이 낮았다. 전체 평균 수준에서의 제1우점종은 Ecdyomurus levis Navas였으며, 우점도지수는 0.3이었다. 각 지점별 우점종을 보면 제1지점부터 제5지점까지는 Ecdyomurus levis Navas이였고, 제6지점과 제7지점은 Hirudinidae sp.1이었다. 그리고, 전체 평균 수준에서의 다양도지수는 2.66이었다. 조사지점별 평균 다양도 지수를 보면 제4지점이 가장 높았으며(H'=3.47), 다음은 제2지점, 1지점, 3지점, 5지점, 6지점, 7지점의 순이었다. 생물학적 지표종을 중심으로한 수질평가에 의하면, 밀양강 전체의 평균은 군오염지수(GPI) 1,49로서 ${\beta}$-mesosaprobic의 II급수로 평가되었다. 각 지점별로는 제3지점의 경우 Oligosaprobic의 I급수로서 가장 양호한 수질이었고, 제1지점과, 제2지점, 제4지점, 제5지점은 ${\beta}$-mesosaprobic의 II급수로, 제6지점은 ${\beta}$-mesosaprobic의 III급수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제7지점은 ${\alpha}$-mesosaprobic의 III급수로서 가장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위천 상류에 건설 중인 화북댐 상 하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sh Community on Up and Downstream of Hwabuk Dam Under Construction in the Upper Wie Stream.)

  • 서진원;김희성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260-269
    • /
    • 2009
  • 본 조사는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경북 중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건설 중인 화북댐의 상 하류 어류조사를 통하여 댐 건설이 하천유역에 특히 수 생태계내의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유무를 파악하여 종 다양성을 보전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2004${\sim}$2008년) 중 측정된 수질항목 분석결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와 실내분석 항목인 부유물, 총대장균수의 경우 지점별로 다소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유기물 및 영영염류 농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화학적 산소요구량, 엽록소, 질소, 인의 경우 지점별로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다소 높고 하류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 중 비소의 경우 2005년 6월 0.092 mg $L^{-1}$를 제외하고는 0.05 mg $L^{-1}$ 이하를 나타내어 하천수 수질환경기준 상 사람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규정한 0.05 mg $L^{-1}$ 이하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과 19종 10,263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어류 중 우점종은 하천 중 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참갈겨니(62.5%)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0.6%)로 나타났다. 조사 구간인 위천 상류에서 확인된 19종 중 한국고유종은 긴몰개, 동사리, 쉬리 등 총 9종(47.4%)으로 나타났으며,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I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가 소수의 개체이지만 포획되었고, 외래도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양도, 풍부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우점종인 참갈겨니의 개체군 분석 결과,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TW=0.000003$(TL)^{3.2603}$로서 매개변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나 개체군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시기에 다른 하천에서의 개체군들과 비교분석 결과 size별 평균 비대지수(CF)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북댐 유역의 참갈겨니가 다른 지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어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건강성평가(IBI)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양호(26${\sim}$35)에서 최적(36${\sim}$40)을 보였으며 지점 5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에 관한 환경영향평가와 하천건강성평가 등을 통한 화북댐 완공 후 상 하류 하천의 어류상 변화유무 및 환경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