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amendment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Selective Adsorption of NH4+ and Cu2+ on Korean Natural Zeolite in Their Dilute Solutions

  • Kang, Shin Jy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25-28
    • /
    • 1999
  • For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natural zeolite for removal of $NH_4{^+}$ in waste waters containing $NH_4{^+}$ and $Cu^{2+}$, the adsorption of $NH_4{^+}$ and $Cu^{2+}$ by three Korean natural zeolite samples, which contained mordenite and/or clinoptilolite, was measured by adding solutions containing $NH_4{^+}$ and $Cu^{2+}$ or both at a concentration range from 1 to 7 mmol(+)/L of each cation. In the solutions, the zeolite samples adsorbed more amounts of $NH_4{^+}$ than $Cu^{2+}$. By seven successive equilibrations, Korean natural zeolites adsorbed $NH_4{^+}$ corresponding to 23~33% of those cation exchange capacity from the solution containing both $NH_4{^+}$ and $Cu^{2+}$ at 3 mmol(+)/L of each cation. Whereas, the corresponding adsorption of $Cu^{2+}$ was 17-27% of the CEC. Korean natural zeolite exhibited selectivity for $NH_4{^+}$ but not for $Cu^{2+}$. Nevertheless, it using as a soil amendment after removing of $NH_4{^+}$ in waste waters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on the application rate.

  • PDF

IBA Treatment of Poplar Cuttings and Soil Composition Amendment for Improved Adaptability and Survival

  • Cho, Wonwoo;Chandra, Romika;Lee, Wi-young;Kang, Hoduc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4호
    • /
    • pp.259-266
    • /
    • 2020
  • Poplar trees from the Salicaceae family over the years have been utilized for various reasons which include prevention of deforestation as well as phytoremediation.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pre-treatment and soil conditions required for propagation of poplar cuttings for increased initial adaptability and survival rate. Five poplar clones (Hanan, 110, 107, DN-34, 52-225) were selected for IBA, soil composition treatments on propagation. IBA pre-treatment of cuttings were utilized 0, 10, and 100 mg l-1 concentrations. Soil compositions were amended with TKS-2+perlite 2:1 (v:v) and sandy clay loam mixed with artificial soil. According to the greenhouse results 10 mg l-1 of IB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lant height whereas 100 mg l-1 inhibited plant growth except in clone 110. Soil composition severely affected root growth and hence overall growth of the clones. Sandy clay loam soil had poor to stunted growth compared to TKS-2+perlite.

고추재배지에서 퇴비시용에 따른 토양 미생물의 인지질지방산 변화 (Changes of Soil Microbial Phospholipid Fatty Acids as Affected by Red Pepper Cultivation and Compost Amendment)

  • 박기춘;김수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4-199
    • /
    • 2010
  • 퇴비 등의 유기물 시용은 화학적, 생물적 토양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나 그 성분함량과 시용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고추 주산지인 경북 영양의 미사질 양토에서 퇴비 0, 30, 60 Mg $ha^{-1}$를 시용하였을 때 토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인지질지방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퇴비 시용량 30과 60 Mg $ha^{-1}$ 을 무처리와 각각 비교하였을 때 세균, 사상균, 균근균 지표지방산의 양은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사상균/세균의 지방산 비와 불포화/포화지방산의 비도 각각 증가하였다. 그러나, 퇴비 시용량의 증가는 그람$^-$/그람$^+$ 세균 지방산의 비는 증가시켰으나 불포화/포화지방산의 비는 감소시켰다. 퇴비는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 군락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나, 퇴비량의 증가는 미생물 군락의 구조만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Ecological Planning Technique for Considering Biotope Evaluation of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 이수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22-38
    • /
    • 2007
  • Since 1990, urban areas have been expanded rapidl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and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es and residential developments. Due to these development projects, the quality and functions of ecosystems have been continuously degraded, regardless of public agencies' efforts introducing development index, guideline, and amendment of law for sustaining the quality of ecosystems. Substantial guideline and content cannot expect the sustainable maintenance of nation's natural resources. Recent improve this situation, ecological planning was introduced, but research data of environments and objective systems were not enough showing the limi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duce the urban sprawl caused by residential development plans for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developments, to establish applicable ecological planning, and to suggest the land use plans that reduce adverse effects of developments to nature ecosystem.

석탄바닥재 처리가 골프장 잔디식재 사질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on the Turfgrass Growth Media of Sandy Topsoil in Golf Course)

  • 이주영;최희열;양재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4
    • /
    • 2010
  • 화력발전 후 발생되는 석탄회의 발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석탄바닥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재활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석 탄바닥재와 모래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상토로 lysimeter를 제작한 후에 잔디를 재배하고 용탈실험을 수행해 석탄바닥재가 골프장 사질토양의 토양개량재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석탄바닥재와 모래를 일정비율(석탄바닥재 0, 10, 20, 30, 50%)로 혼합하여 조성한 lysimeter에 일정량의 관수를 실시하고 용탈수를 채취한 결과 석탄바닥재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해 석탄바닥재 처리가 모래토양의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비 후 3일 간격으로 용탈수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pH는 증가하였으나, 관수량에 대한 용탈수량, $NO_3$-N, $NH_4$-N 및 K의 용탈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용탈수의 EC는 석탄바닥재의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초기부터 끝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는 석탄바닥재가 사질토양의 보수 보비력 및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 한다. 그러나 석탄바닥재 pH가 9.03의 알칼리성이고,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투수성이 불량해지고 토양에서 $PO_4$-P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석탄바닥재를모래에 20% 이하의 적정 비율로 혼합하면 보수 보비력이 낮은 골프코스의 사질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개량재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중(土壤中) Butachlor 와 Nitrofen의 분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Degradation of Butachlor and Nitrofen in Different Soil Conditions)

  • 오병열;정영호;이병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12-119
    • /
    • 1981
  •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따른 제초제(除草劑)의 분해양상(分解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유기물(有機物)의 종류(種類)및 첨가수준(添加水準), 석회시용(石灰施用) 수준(水準)이 상이(相異)한 상태(狀態)에서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의 변화(變化)가 발아전처리형(發芽前處理型) 제초제(除草劑)인 butachlor와nitrofe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하기 위(爲)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그 결과 토양(土壤)의 살균처리(殺菌處理)는 butachlor와 nitrofen의 분해(分解)가 현저(顯著)히 지연(遲延)되어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는 주(主)로 미생물(微生物)에 의(衣)하여 약기(若杞)되었다으며, 토양(土壤)의 담수처리(湛水處理)는 밭상태(狀態)보다 제초제(除草劑)의 분해촉진효과(效果)가 컸으며, 특(特)히 nitrofe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담수(湛水)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하였다. 밭상태()에서의 nitrofen의 반감기()는 butachlor 보다 2배정도() 길었다. 볏짚의 첨가(添加)는 벼그루터기에 비(比)하여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촉진효과(效果)가 높았으며 볏짚의 첨가수준(水準)이 1%(w/w) 이상(以上)일때는 토양중(土壤中) butachlor의 분해(分解)는 지연(遲延)되었으나 nitrofen의 분해(分解)는 촉진(促進)되었다. 석회시용(石灰施用)은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를 조장(助長)하였으나 pH와의 직접적(直接的)인 영향(影響)은 없었다.

  • PDF

생고시용(生藁施用)과 Diazinon의 운용(運用)이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ice Straw Amendment and Repeated Application of Diazinon on the Persistence of Diazinon in Submerged Soils)

  • 이해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1-6
    • /
    • 1981
  • 토양처리형(土壤處理型) 살충제로 널리 사용(使用)되고 있는 diazinon입제(粒劑)의 토양중(土壤中) 분해(分解)에 대(對)한 생고(生藁), 토양살균(土壤殺菌) 및 약제연용(藥劑連用)의 영향(影響)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생고시용(生藁施用)으로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분해(分解)가 다소(多少)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으로, 생고무시용구(生藁無施用區)에 비(比)해 생고시용구(生藁施用區)는 그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2.5일(2.5日) 단축(短縮)되었다. 2. 토양(土壤)의 살균처리(殺菌處理)로 diazinon의 분해(分解)는 현저(顯著)히 지연(遲延)되었으며, 무살균토양(無殺菌土壤)에 비(比)해 살균토양(殺菌土壤)은 그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20일정도(20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 3. diazinon입제(粒劑)의 연용(連用)으로 토양(土壤)과 표면수중(表面水中) diazinon의 분해(分解)는 현저(顯著)히 촉진(促進)되었으며, 이러한 현상(現象)은 연용회수(連用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심(甚)하였다. 토양(土壤)보다는 표면수(表面水)에서 더욱 현저(顯著)한 경향(傾向)이었다. 4. 연용처리(連用處理)한 토양(土壤)과 표면수(表面水)를 살균처리(殺菌處理)한 결과(結果)는 토양(土壤)과 표면수(表面水) 공(共)히 diazinon 분해(分解)에 미치는 연용(連用)의 영향(影響)은 거의 없었다.

  • PDF

디젤오염토앙의 생물학적 복원에 있어서 유기질비료의 첨가가 석유계 탄화수소의 분해 및 ATP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Amendment on Petroleum Hydrocarbon Removal and ATP Concentration in Bio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 이주헌;전관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21-730
    • /
    • 2006
  • 디젤로 오염된 토양에서 유기질비료의 투여가 석유계탄화수소의 생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한편, 토양의 생태활성과 디젤의 분해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토양내 ATP(Adenosine Triphosphate)농도를 측정하였다. 초기의 자연상태에서 65 ng/g이었던 ATP 농도는 디젤의 오염이 가중됨에 따라 급속하게 감소하여 유류오염도가 80,000 mg diesel/kg까지 증가하자 4 ng/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건토기준 10%의 유기질비료를 투입한 결과 석유계총탄화수소의 80일간 최종분해율은 대조시료에 비하여 10% 이상 증가되었고, 특히 $C12{\sim}C20$에 해당하는 n-alkanes의 분해가 증가되었다. 또한 유기질비료를 혼합한 경우가 대조시료에 비하여 약 3배 정도의 ATP 농도증가를 보여주어 6일후 112 ng/g의 ATP 농도를 보여주었고, ATP 농도증가의 형태에 있어서도 지연시간을 나타내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급속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석유계총탄화수소의 일평균 감소와 ATP 농도는 약간의 시간차이를 두고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의 토양질 평가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Soil Quality of Heavy 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Field in Korea)

  • 김주희;정덕영;오세진;김록영;양재의;박관인;이진수;김성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237-1241
    • /
    • 2012
  • Heavy metal pollution in agricultural field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worldwide. For this reason,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heavy metal polluted soil are applied especially near at the abandoned metal mine. Soil quality analysi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proper management in heavy metal polluted agricultural field. In this study, scoring function was utilized to evaluate soil quality in heavy metal polluted agricultural field. Among other soil properties, bulk density, soil pH, EC, $NH_4$-N, $NO_3$-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determined for minimum data set (MDS)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sult showed that both upland and paddy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were not suitable for crop growth except scoring of soil pH for paddy soil and CEC for upland soil. This result might indicate that chemical stabilization technology with chemical amendment could be adapted for remediation method for heavy metal polluted agiclutural field not only for heavy metal immobilization but also enhancement of soil condition for crop growth.

Analysis of Plasmid pJP4 Horizontal Transfer and Its Impact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Natural Soil

  • KIM TAE SUNG;KIM MI SOON;JUNG MEE KUM;JOE MIN JEONG;AHN JAE HYUNG;OH KYOUNG HEE;LEE MIN HYO;KIM MIN KYUN;KA JONG 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76-383
    • /
    • 2005
  • Alcaligenes sp. JMP228 carrying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degradative plasmid pJP4 was inoculated into natural soil, and transfer of the plasmid pJP4 to indigenous soil bacteria was investigated with and without 2,4-D amendment. Plasmid pJP4 transfer was enhanced in the soils treated with 2,4-D, compared to the soils not amended with 2,4-D. Several different transconjugants were isolated from the soils treated with 2,4-D, while no indigenous transconjugants were obtained from the unamended soils. Inoculation of the soils with both the donor Alcaligenes sp. JMP228/pJP4 and a recipient Burkholderia cepacia DBO 1 produced less diverse transconjugants than the soils inoculated with the donor alone.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polymerase chain reaction (REP-PCR) analysis of the transconjugants exhibited seven distinct genomic DNA fingerprints.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 transconjugants were related to members of the genera Burkholderia and Pandorae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RNA genes revealed that inoculation of the donor caused clear changes in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the 2,4-D­amended soils. The new 16S rRNA gene bands in the DGGE profile corresponded with the 16S rRNA genes of 2,4-D­degrading transconjugants isolated from the soil.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roduction of the 2,4-D degradative plasmid as Alcaligenes sp. JMP228/pJP4 has a substantial impact on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2,4-D-amended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