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초

임신 중 체중증가 정도에 따른 체성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Weight Gain in the Pregnancy)

  • 장준복;김승보;이경섭;조정훈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2
    • /
    • 2002
  • Objectives: To compare the body composition of the postpartal female weight-gained over the recommended during pregnancy with that of normal female with same age. female diagnosed as obesity and postpartal female weight-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during pregnancy. Methods: From Apr. 1. 2001 to Feb. 28. 2002, there were 745 delivery in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Kyung-Hee Medical Center. 32 mothers of them wanted to be investigated about the weight gain during their pregnancy. We excluded 12 persons who had 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weight$(15{\beta}{\prod})$ and had diagnosed as the diseases inducing pathologic edema, preeclamsia. gestational heart or renal diseases, for example. In 2 days after delivery(nomal) or 5 days after(Caesarean section) we analysed the body composition of 20 persons. Results: 1. Compared with normal femal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of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were increased and there made alternation to the increase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or the decrease of the percentage of lean body mass. 2. Compared with obese women who had same body mass index,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showed a little increase of body fluid, protein and mineral, but had a little decrease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3. The percentages of body fat increased with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the women 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and the obese women in order. This could imply the relation between the pregnanc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the obesity. 4. The weights before pregnancy were same in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and the women gained within the recommended. But the weights just after delivery kept the gap happened during pregnancy between them and its main cause was the increase of body fat. Conclusions : The women gained over the recommended during pregnancy experienced the chage of body composition and its main cause was the increase of body fat. So compared with the women gained within the recommende, postpartal obesity more frequently could happen.

  • PDF

한국성인의 제2형 당뇨병 유무에 따른 체액 조성 차이 및 영양소 섭취량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in body fluid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 between Korean adul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 김유경 ;최하늘 ;임정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77-390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와 질병이 없는 정상대조군을 비교하여 성별에 따른 체액 불균형 정도와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57명으로, T2DM이 있는 T2DM군 (n = 36)과 T2DM이 없는 정상대조군 (n = 21)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체액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 T2DM군 (n = 24), 남성 정상대조군 (n = 9), 여성 T2DM군 (n = 12), 여성 정상대조군 (n = 12)으로 세분화하여 지표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BIA를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체액 조성을 분석한 결과, ECW/ICW는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부종지수를 나타내는 ECW/TBW는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체액 조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T2DM군은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ECW/ICW, ECW/TBW를 보이며 동일한 체수분율 양상이 나타났다. 식사일기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1,000 kcal 당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A, 비타민 C, 나트륨, 칼륨 섭취량은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많았고, 1,000 kcal 당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적었다. 본 연구를 통해 T2DM 환자에게서 체액 불균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당뇨 합병증의 평가, 진단의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알쏭이모자반 (Sargassum confusum) 주정추출물이 성인여성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rgassum confusum on reduction of body fat in obese women)

  • 민기성;한 대석;권상오;여경목;김복남;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23-32
    • /
    • 2014
  • 해조류인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의 섭취로 인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평가하고자 이중맹검법을 사용하여 BMI 23 이상의 과체중 혹은 비만 성인 여성에게 8주간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을 섭취하게 한 후 체격지수, 혈액 분석, 식사섭취상황 등을 조사하였다. 최종 대조군은 14명, 실험군은 16명이었으며 1일3회 각 4개의 캡슐을 섭취시켰다. 인체시험 결과 시험전후 비교시 대조군에 비하여 시험군의 체지방률과 체지방량, 허리둘레가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 트리글리세롤과 렙틴농도가 더욱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변배설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방 배설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시험기간 동안 7명의 피험자가 심각하지 않은 부작용으로 시험에서 탈락하였으나 건강상 불편함을 호소하는 피험자 수의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은 8주간 섭취 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험자의 허리둘레, 체지방율과 함께 혈청 렘틴 수치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배변횟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특히 복부비만을 해소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 기대되므로 작용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로 된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여대생의 식이섭취 실태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Food Intake and Clinical Blood Indi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 김옥현;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7-31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composition, dietary intake, and clinical blood indices in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BMI). Their body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ethod. Their dietary intake was determined using a 3-day record method and their hematological indices were determined by semi-automated microcell counter (Sysmex F-520). Their serum lipid levels were measured using biochemical analyzer (Spotchem). Subjects were classified as underweight, normal or over-weight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 The subjects were 69 healthy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6 years.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as 21.3 years, 162.6 cm, 54.4 kg, and $20.6cm/m^2$, respectively. Their average consumption of energy was 1693 kcal, 84.7% of RDA and their mean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fat were 54.5 : 16.4 : 29.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among the groups except ${\beta}$-carotene and vitamin C. The ${\beta}$-caroten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Vitamin C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The mean intakes of Ca, Fe, Zn and folate of subjects were 74.8% to 83.2% of RDA. Especially, intakes of Ca, Fe, Zn and folate were lower in the abnormal weight groups. The overall mean values of the hematological indic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However, anemic subjects with hemoglobin (< 12 g/dl) and hematocrit (< 36 g/dl) accounted for about 11% of the subjects. The everall mean values of the serum lipid level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But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the overweigh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LDL-/HDL-cholesterol ratio and AI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ased up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college women to be educated regarding consuming more Ca, Fe, Zn, folate and less fat and cholesterol in order to have better health promotion.

소아 체성분의 새로운 표현법: 체지방량지수(fat mass index)와 제지방량지수(fat-free mass index) (The novel expression method of pediatric body composition : fat mass index and fat-free mass index)

  • 조영규;강재헌;송혜령;김경아;송지현;정명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29-635
    • /
    • 2007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새로운 체성분 표시법인 체지방량지수(fat mass index, FMI)와 제지방량지수(fat-free mass index, FFMI)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 : 2006년 과천시 초등학교 2학년 학생 466명(남아 : 248명, 여아 : 218명)을 대상으로 체성분 분석을 비롯한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신체계측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와 비만지표들과 대사성 위험인자들의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체지방량지수에 의해 비만으로 진단된 소아와 정상 체지방량지수인 소아의 대사성 위험인자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체지방량지수 및 제지방량지수 백분위수 분포와 Nakao 등이 제시한 일본 소아의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백분위수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대상자들은 후쿠오카 지역의 소아에 비해 체지방량지수는 작고 제지방량지수는 컸다. 체지방량지수는 기존의 비만지표 및 여러 대사성 위험인자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체지방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되었다. 결 론 : 과천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소아에서 새로운 체성분 표현방법인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는 체격과 성장이 다른 소아의 체성분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체지방량지수의 증가는 대사질환 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는 국내 소아의 성별 연령별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정상 표준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혈청 leptin 농도와 비만지표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ptin Concentration and Obesity Indices in a Rural Population)

  • 신민호;박경수;최진수;김상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2호
    • /
    • pp.193-198
    • /
    • 2000
  • 일부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혈청 leptin농도와 비만지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역학조사에 참여한 주민 1036명 중 단순무작위표본추출하여 혈청 leptin 농도를 측정한 20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등의 비만지수는 신체계측, 생체전기저항분석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청 leptin농도는 면역 방사계수측정 법으로 측정하였다. 혈청 leptin농도는 비만지표인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혈청 leptin농도는 과체중 또는 비만인에서 저체중 또는 정상인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혈청 leptin농도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는데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도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다. 혈청 leptin 농도는 남자에서는 허리둘레, 여자에서는 엉덩이둘레와 더 관련이 있어 높은 혈청 leptin농도는 남자에서는 복부형 비만, 여자에서는 둔부형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혈청 leptin 농도는 비만지표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상인보다 비만인,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으며, 복부형 비만보다 둔부형 비만과 더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만이 leptin결핍보다는 leptin 저항성과 더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 PDF

소아에서의 UCP-1 다형성과 비만도 및 혈액 지질수치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s between UCP-1 Polymorphism and the Degree of Obesity or Plasma Lipid Profile in Prepubertal Children)

  • 오현희;신은정;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767-775
    • /
    • 2008
  • 1) 연구대상자 중 비만아동 빈도수 분석 결과, BIA법에서는 70.0%, BMI에 의한 비만도에서는 32.7%, 신장별 체중에 의한 비만도에서는 23.6%로 BAI법에 의해 비만아동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다. 혈청 생화화적 분석 결과는 NCEP의 이상지혈증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2) UCP-1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신체계측의 결과의 분포는 정상형과 변이형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혈중 생 화학 결과에서는 LDL (p = 0.039)과 TC (p = 0.063)이 정상형에 비해 변이형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LDL을 130 mg/dL 기준으로 고LDL 콜레스테롤혈증과 정상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에서 UCP-1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는 고LDL 콜레스테롤혈증에서 A allele는 5.4%, G allele는 13.0%로 G allele의 빈도가 높게 분포하였고, 정상에서는 각각 94.6%, 87%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p = 0.062, ORs 2.640). LDL의 농도를 백분위수에 따라 4집단으로 나누고 UCP-1 유전자의 A allele와 G allele에서 LDL 농도의 빈도수를 나타내었을 때 G allele에서는 빈도수가 25th, 50th, 75th, 100th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2$ = 0.7995, p-trend = 0.032). 따라서 UCP-1 유전자 변이형은 정상형에 비해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UCP-1 유전자의 다형성은 이상지혈증의 위험인자인 LDL 농도를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으로써 나타났고, 체중을 감안할 때는 이상지혈증의 위험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UCP-1 유전자 변이형을 가지는 비만아동은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병과 관련된 식이 및 환경적 인자를 적절히 통제하는 예방 대책을 마련하여야겠다.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on Pulmonary Function

  • Park, Jung-Eun;Chung, Jin-Hong;Lee, Kwan-Ho;Shin, Kyeong-Ch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5호
    • /
    • pp.433-440
    • /
    • 2012
  • Background: The pulmonary function test is the most basic test method to diagnosis lung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of the body mass index (BMI), the fat percentage of the body mass (fat%), the muscle mass, the fat-free mass (FFM) and the fat-free mass index (FFMI), waist-hip ratio (WHR), on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curve. Methods: Between March and April 2009, a total of 291 subjects were enrolled. There were 152 men and 139 female (mean age, $46.3{\pm}9.92$ years), and they were measured for the follow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1 second ($FEV_1$), and forced expiratory flow during the middle half of the FVC ($FEF_{25-75}$) from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curve by the spirometry, and the body composition by the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Correlation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between the body composition and pulmonary function, were used. Results: BMI and fat% had no correlation with FVC, $FEV_1$ in male, but FFMI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contrast, BMI and fat% had correlation with FVC, $FEV_1$ in female, but FFMI showed no correlation. Both male and female, FVC and $FEV_1$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HR (male, FVC r=-0.327, $FEV_1$ r=-0.36; p<0.05; female, FVC r=-0.175, $FEV_1$ r=-0.213; p<0.05). I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of considering the body composition of the total group, FVC explained FFM, BMI, and FFMI in order ($r^2$=0.579, 0.657, 0.663). $FEV_1$ was explained only fat% ($r^2$=0.011), and $FEF_{25-75}$ was explained muscle mass, FFMI, FFM ($r^2$=0.126, 0.138, 0.148). Conclusion: The BMI, fat%, muscle mass, FFM, FFMI, WHR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ulmonary function but $r^2$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ere not high enough for explaining lung func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Affecting Factors in College Women

  • Na, Hye-Bok;Jung, Shin-Yong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2호
    • /
    • pp.98-10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ne Mineral Density(BMD) and affecting factors on BMD of college women in Seoul. The subjects were 47 healthy college women aged 18-25 years. Antrophometric and body fa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Tanita TVF 202). Blood pressure and pulse frequency were measured. Dietary intakes and general living habit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by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CAN) program for professional. Serum total cholesterol, TG(triglyceride),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GOT, calcium were measured by Spotchem(SP-4410). Serum osteocalcin and alkaline phosphatase(ALP) were measured to monitor bone formation. BMD of lumbar spine(L2-L4), right hip(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right forearm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examining leg flexion strength(right and left), leg extension power(right and left), handgrip power(right and left) and back strength.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AS PC package program. BMD of college women was normal(by WHO, 1994). Their muscle strength was bad(by national fitness guidebook, 1995). Only a mall number of them exercised (32.6% of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MD, muscle strength and % body fat(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D and total cholesterol as well as TG and VLDL-cholesterol(p<0.05). Total cholesterol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p<0.05). TG and VLDL-cholesterol a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 of right hip ward's triangle(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MD, ALP and serum total protein. ALP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D and Ca as well as between Na and K intakes (p<0.05). Intakes of Na and K were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 (UD)(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 BMD and pulse frequently and serum albumin (p<0.05). Serum albumin is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 of L3-L4(p<0.05), right hip neck(p<0.05). %Body fat, TG, VLDL-C, Ca intake, pulse frequency and serum albumin we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p<0.05). Intakes of Na and K, ALP, tota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otal protein and height are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p<0.05).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Ca intake but to be moderate in protein and Na intakes in order to increase BMD. Body exercise was recommended to increase BMD as well.

  • PDF

농촌지역 폐경후 여성의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요인 연구 (Dietary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rural postmenopausal women)

  • 최정숙;안은미;권성옥;박영희;이진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5호
    • /
    • pp.470-4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의 취약집단인 농촌지역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요인을 추적관찰 하였다. 연구시작년도에 골밀도를 측정하고 계절별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년 후에 골밀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1) 대상자를 골밀도 감소율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영양소 섭취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2년간 골밀도 변화율과 칼륨, 비타민C, 비타민A, 엽산 섭취량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식품군은 채소류, 난류의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었다. 2) 상관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변수들과 골밀도의 관계를 고려해 각 부위의 골밀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모델을 검증한 결과에서는, 2년간의 골밀도 변화율은 연구시작시 골밀도, 비타민A, 채소류, 난류섭취량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2년간 추적조사결과 골밀도 감소율이 큰 집단에 비해 감소율이 작은 집단에서 칼륨 섭취량이 많았으며, 연구 시작 시 골밀도, 비타민A, 채소류, 난류 섭취량이 요골의 골밀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50세 이상 연령층일지라도 체중 (제지방량)유지, 비타민C 및 비타민A, 무기질 (칼슘, 인, 칼륨)이 풍부한 식품 섭취 등 일상생활에서 조절 가능한 식이요인이 골 건강유지의 중요한 구성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폐경이후 농촌여성 골밀도 유지를 위한 영양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폐경이후 농촌여성의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추적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