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oil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고유의 품종을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유채 개발 (Development of herbicide-tolerant Korean rapeseed (Brassica napus L.) cultivars)

  • 김효진;이혜진;고영삼;노경희;이영화;장영석;서미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319-326
    • /
    • 2010
  •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재생 가능한 식물자원으로부터 바이오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 되기 적합한 형질전환이 된 유채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한국 고유 유채 품종을 이용한 형질전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내한, 영산, 탐미, 한라 유채의 종자를 분양 받아 지방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자의 약 32-40% 식물성 오일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중 올레인산의 함량은 60mole%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오일 함량 및 올레인산 함량이 높고,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높은 한라 유채품종이 그리고 $\beta$-glucuronidase (GUS)와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유전자가 포함된 pCAM-BIA3301 벡터가 도입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GV3101균주가 형질전환에 사용되었다. 형질전환이 된 유채 식물체는 제초제에 대한 내성, PCR을 이용한 PAT 유전자의 도입 여부 및 GUS 활성 분석을 통하여 선별하였다. 그 결과 한라 유채의 경우, 10. 4% 형질전환 효율을 보였고, 제초제 저항성이 다음 세대 ($T_1$ 식물체)로 안정되게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될 다양한 유채 품종에 교배를 통해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Effects of Monensin and Fish Oil on Conjugated Linoleic Acid Production by Rumen Microbes in Holstein Cow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Soybean Oil and Sodium Bicarbonate

  • Jin, G.L.;Choi, S.H.;Lee, H.G.;Kim, Y.J.;Song, Ma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28-1735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 ruminally canulated Holstein cows to observe the effects of monensin or fish oil on diet fermentation and produc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CLAs) in the rumen when fed diets supplemented with soybean oil and sodium bicarbonate. Cows of the control treatment were fed a basal diet (CON) consisting of 60% commercial concentrate and 40% chopped rye grass hay. Cows of other treatments were fed the same diet as CON, but the concentrate was supplemented with 7% of soybean oil and 0.5% of sodium bicarbonate (SO-B), SO-B supplemented with monensin (30 ppm, SO-BM) or concentrate supplemented with 6.3% of soybean oil, 0.5% of sodium-bicarbonate, 30 ppm of monensin and 0.7% of fish oil (SO-BMF). Dry matter (DM) intake of the cows was significantly (p<0.011) reduced by feeding the SO-BMF diet compared to the other diets which did not differ in DM intake.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major dietary components was significantly (p<0.004-0.027) higher for SO-BMF than the other supplement-containing diets. Dietary supplements did not clearly affect rumen pH and ammonia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CON diet. Significantly reduced (p<0.05) total VFA concentration was obtained by the addition of fish oil to the diet (SO-BMF) compared to other diets. No differences, however, were obtained in major VFA proportions as well as in total VFA between the supplemented diets. The SO-BM diet increased (p<0.01-0.05) the concentrations of trans-11 $C_{18:1}$ and linoleic acid in rumen fluid. Total CLA concentration was also increased by the feeding of SO-B and SO-BM diets during early fermentation times (up to 3 h) post-feeding. Cis-9, trans-11 CLA concentration in rumen fluid was highest (p<0.05) for SO-B up to 1 h while the highest (p<0.01) value for SO-BM occurred at 3 h post-feeding. An increased trans-10, cis-12 CLA concentration was obtained from the SO-B and SO-BM diets at 1 and 3 h post feeding compared to the other diets. Supplementation of oils with monensin and sodium bicarbonate increased (p<0.05) the proportions of $C_{18:1}$ and CLA in the plasma of cows, but the effect of monensin and/or fish oil was limited to trans-10, cis-12 CLA.

녹차씨 오일이 염색 및 탈색된 모발의 재손상 및 탈색 방지에 미치는 영향 (Damage Prevention Effect of Green Tea Seed Oil on Colored and Decolored Hair)

  • 민명자;최문희;김귀철;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8권5호
    • /
    • pp.287-294
    • /
    • 2013
  • 염색 및 탈색된 헤어는 일상생활 중의 자외선, 열기구 사용수세 (샴푸)에 의해 재손상되며, 이의 해결을 위해 최근 피부와 두피에 안전한 각종 천연물질의 연구가 활발하다. 이 연구는 녹차씨 오일의 광퇴색 방지와 모발 트리트먼트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러나 녹차의 기능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나 녹차씨 오일을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및 퇴색 방지의 연구는 미비하다. 염색 및 탈색된 헤어에 녹차씨 오일을 이용한 전처리 트리트먼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장 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고 모발표면을 SEM으로 분석하였으며 색차계를 이용한 모발 광퇴색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모발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측정에서 녹차씨 오일 전처리 시료는 버진헤어, 염색헤어, 탈색헤어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신장율은 염색헤어와 탈색헤어에서 낮아져 염색헤어와 탈색헤어에서 트리트먼트 효과가 있었다. 모발표면을 촬영한 결과 모든 군에서 전처리된 모발 큐티클의 문리가 더 선명하고 코팅효과가 확인되었다. 모발의 광퇴색 값은 열과 수세의 반복 실험에서 전처리된 각 시료 모두 $L^*$, $a^*$, $b^*$값이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 실험에서는 염색과 탈색헤어에서 $L^*$, $a^*$, $b^*$값이 각각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결과에 의해 녹차씨 오일은 염색 및 탈색모발의 재손상 방지와 열과 자외선에 의한 색상의 퇴색방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미용 실무현장에서 고객의 피부와 두피에 적합한 천연화장품 오일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Effect of the Mixed Oil and Monensin Supplementation, and Feeding Duration of Supplements on c9,t11-CLA Contents in Plasma and Fat Tissues of Korean Native (Hanwoo) Steers

  • Wang, J.H.;Choi, S.H.;Lim, K.W.;Kim, K.H.;Song, Ma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1464-1469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wenty-four Korean native (Hanwoo) steers to observe the effect of mixed oil and monensin supplementation and duration of feeding on c9,t11-CLA content in plasma and fat tissues. The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of eight animals each according to body weight. Hanwoo steers in the control group were fed the commercial concentrate for the late fattening stage. The other groups of steers were fed the same diet as control steers, but the concentrate was supplemented with high-$C_{18:2}$ oil mixture (soybean oil, sunflower oil, safflower oil) and fish oil at 6% level of concentrate (DM basis), and monensin (20 ppm). The second and third group of steers was fed the oil mixture supplemented diet with monensin for the last 10 weeks and 20 weeks, respectively, prior to being slaughtered. The oil mixture consisted of 45% soybean oil, 20% sunflower oil, 20% safflower oil and 15% fish oil. Average daily gain (p<0.049) and feed efficiency (p<0.018) of the steer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oil mixture and monensin (OM-M) for 20 week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of steers. Dressing percent, fat thickness and longissimus muscle area were not affected by the OM-M supplementation and duration of its feeding. The OM-M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cholesterol (p<0.0001-0.0007) and HDL-cholesterol (p<0.0001) in the plasma of steers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The steers fed the OM-M diet had a higher proportion of c9,t11-CLA in plasma (p<0.048-0.044) than the control steers. Feeding the OM-M diet for 20 week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CLA in intramuscular (p<0.015), intermuscular (p<0.039) and subcutaneous (p<0.001) fat tissues compared with both steers fed the control diet and the OM-M diet for 10 weeks. Increased (p<0.007) proportion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in steers fed the OM-M diet for 20 weeks compared to those in control steers was related to the increased (p<0.001) $C_{18:2}$ and decreased (p<0.001) $C_{18:0}$ proportions in subcutaneous tissue.

Auger 반응기에서 제조한 다시마 유래 열분해오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Oils from Saccharina japonica in an Auger Reactor)

  • 최재욱;손덕원;서동진;김화용;이윤우
    • 청정기술
    • /
    • 제24권1호
    • /
    • pp.70-76
    • /
    • 2018
  • 오거 반응기를 이용하여 해조류 바이오매스인 다시마로부터 열분해 오일 제조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열분해 오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주요 공정 변수인 열분해 온도 및 오거 컨베이어 속도의 최적 조건은 각각 $412^{\circ}C$, 20 rpm이었으며, 이 때 열분해 오일의 최대 수율은 32 wt%이었다. 낮은 탄소 함량 및 높은 산소 함량으로 인해, 다시마 유래 열분해 오일의 발열량($23.6MJ\;kg^{-1}$)은 기존 화석연료의 약 60% 이었다. 열분해 오일의 GC/MS 분석 결과, 1,4-Anhydro-d-galactitol, dianhydromannitol, 1-hydroxy 2-propanone, isosorbide 등이 주요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촤는 탄소 함량이 낮고 산소함량이 높아 발열량($13.0MJ\;kg^{-1}$)이 낮으며 다량의 무기 성분 및 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 활성 탐색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Scre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 esterase inhibitory activity and Effect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 최장원;원무호;주한승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13-226
    • /
    • 2011
  •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 esterase, AChE) 억제제는 아세틸콜린 함량을 높여 콜린성 neuron을 활성화함으로써 기억 능력의 개선 및 치매 개선을 가져와 현재 다양한 AChE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hE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 천연물을 다양한 식물추출물 및 에센스오일로부터 탐색하였으며, 탐색한 추출물의 scopolamine으로 기억손상을 유발한 쥐의 기억력 개선 활성을 치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donepizil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몽(Citrus paradisi) 유래의 에센스 오일이 AChE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아 2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0% 이상의 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동회피 실험 결과, 자몽 유래의 에센스오일(100 mg/kg, p.o.)을 투여한 쥐는 치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donepizile (0.5 mg/kg)을 투여한 쥐와 유사한 latency time을 나타내어 인지기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수중미로 시험 결과, 자몽 유래 에센스오일(100 mg/Kg, p.o.)을 투여한 쥐는 donepizile(0.5 mg/kg)을 투여한 쥐와 유사한 latency time을 나타내어 인지기능이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자몽 유래 에센스오일은 매우 효과적으로 기억력을 개선하여 인지기능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후보물질이라고 사료된다.

식물유의 Triglyceride 조성 1. 참기름의 Triglyceride 조성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1.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esame Oil)

  • 박영호;화전준;소천천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1981
  • 유지의 triglyceride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비교적 구성지방산의 종류가 간단한 수종의 식물유를 시료로 하여 연구 검토하였는데, 본 보고에서는 참기름의 triglyceride 조성에 대하여 보고하기로 한다. 시료유를 Bio-Beads SX-2및 sephadex LH-20을 사용한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리하고, 이것을 $\mu-Bondapak\;C_{18}$ column을 사용한 HPLC에 걸어 PN별로 triglyceride를 분획하여 분취하였다. 분취한 획분의 일부를 GLC에 걸어 acyl 탄소수별로 분획하고, 또 일부는methyl 화하여 GLC에 걸어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triglyceride조성을 산정하였는데 산정할 수 있었는 triglyceride는 21종류이며, 그 중 주요 triglyceride는 $(2{\times}_{C18:1},\;C_{18:2};\;17.1\%),\;(C_{18:1},\;2{\times}C_{18:2};\;17.0\%),\;(3{\times}C18:2;17.0\%),$ $(3{\times}C_{18:1}; \;10.9\%),\;(3{\times}C_{18:2};\;9.6\%),$ $(C_{16:0},\;C_{18:1},\;C_{18:2};\;7.9\%),\;(C_{16:0},\;2{\times}C_{18:1};\;7.4\%),$ $(C_{16:0},\;2{\times}C_{18:2};\;6.8\%), (C_{18:0},\;C_{18:1},\;C_{18:2};\;3.1\%),$ $(2{\times}C_{18:0},\;C_{18:2};\;1.5\%),\;(C_{18:0},\;2{\times}C_{18:1};\;1.4\%),$ $(C_{16:0},\;C_{18:0},\;C_{18:1};\;1.3\%),\;(2{\times}C_{16:0},\;C_{18:1};\;1.2\%)$$(C_{16:0},\;C_{18:0},\;C_{18:2};\;1.0\%)$ 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