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colum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3초

닭의 간과 적혈구의 핵 단백질의 비교연구 (A Comparsion of Nuclei Proteins in Chicken Liver and Erythrocyte)

  • 한준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5-341
    • /
    • 1990
  • Nuclei proteins were purified from chick liver to homogeneity by means of acid extraction CM Sephadex c 25 column chromatography and Bio Rex 70 column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liver Nuclei proteins 1 and 2 as estimated by electrophoresis on SDS-polycrylamide gel are 29000 and 27,000 respectively. These molecular weights are identical with those of Nuclei Proteins 1 and 2 isolated from chick erythrocyte. The liver and erythrocyte Nuclei Proteins also co-migrated in acetic acid-urea gel electrophoresis. Furthermore the anti-sera raised against liver Nuclei Proteins 1 and 2 cross-reacted with erythrocyte Nuclei Proteins 1 and 2 respectively, However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liver Nuclei Prooteins 1 and 2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corresponding erythrocyte Nuclei proteins ; the contents of serine and proline in liver Nuclei proteins were higherocyte Nuclei proteins ; the contents of serine and proline in liver Nuclei protesins were higher than those in erythrocyte Nuclei proteins while the content of lycsine in liver Nuclei proteins was lower than the erythrocyte Nuclei prote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spite of similarities in many respects the liver and erythrocyte Nuclei proteins in chicks and different proteins.

  • PDF

STUDIES ON THE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DIABETES MELLITUS

  • Okuda Hiromichi;Yoshida Ryoich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0년도 학술대회지
    • /
    • pp.53-57
    • /
    • 1980
  • Red ginseng powder was administered at a dose of 2.7 g per day for 3 months to 21 diabetic patients who were under the treatment with insulin. It was found that the ginseng powder was effective to 12 patients and ineffective to 9 patients. Based on these clinical result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lucidate factors which concerned with improvement of pathological conditions of diabetes mellitus. In the previous symposium, we reported that red ginseng powder contained an anti-lipolytic peptide, or an insulin-like peptide. In the course of purification of the insulin-like peptide in the ginseng, we found another fraction which possessed anti-lipolytic activity. The anti-lipolytic factor of the fraction was purified by gel filtration on Bio Gel P-2 column and Dowex $50W{\times}4$ column chromatography. The character of the finally purified material was examin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high-speed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With these examinations, the active principle was indentified to be adenosine. Pharmac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insulin-like substances, the peptide and adenosine, was discussed.

  • PDF

지방 및 탄수화물 흡수억제 메커니즘을 활용한 비만 개선 식이 연구 (A Study on Dietary Supplement to Reduce Obesity by the Mechanism of Decreasing Lipid and Carbohydrate Absorption)

  • 김석기;안국환;윤승원;이영춘;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9-5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게 적합한 비만 개선책을 찾고자 지방 흡수억제 기천뿐만 아니라 과잉의 탄수화물 흡수억제가 함께 작용하는 분화억제에 대한 지방흡수 억제 물질과 율무 열수에서 ${\alpha}$-amylase 활성 저해에 대한 탄수화물 흡수 억제물질이 첨가된 비만 개선 식이조성물이 동물 실험 시 체중 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호박의 열수 추출물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췌장 lipase 활성 저해를 확인하였으며, 호박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농축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C-18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 저해 물질을 분리하였다. 또한 율무 열수는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호박 열수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하여 ${\alpha}$-amylase 활성 저해를 확인하였다. 3T3-L1 분화억제 확인 실험에서는 3T3-L1에 분화 유도물질만 처리한 경우 지방 세포로 분화되어 세포내에 지방축적이 일어났지만, 분화 유도물질과 호박 추출물을 동시처리 결과 지방 세포로의 분화가 호박 추출물 $120\;{\mu}g/mL$ 처리 시약 5% 이하로 일어났으며, 세포내에 지방축적도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동물실험에서 고지방 식이와 비만개선용 식이조성물을 동시에 섭취한 군의 체중 증가가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군보다 13% 정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만개선용 식이 조성물을 8주간 경구 투여한 뒤 간 기능 지표와 혈액학적 지표 및 흰쥐의 행동학적 소견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비만개선용 식이조성물이 경구 투여에 의한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호박의 췌장 lipase 활성 저해물질과 율무의 ${\alpha}$-amylase 활성 저해물질을 첨가한 비만개선용 식이조성물이 동물 실험에서 체중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비만 환자들의 다이어트 식이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해 북부해역 유광층에서 TEP 분포와 이산화탄소 인자와의 상호관련성 (Spatial Distribution of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 and Their Relation to Carbon Species in the Euphotic Layer of the Northern East Sea)

  • 전현덕;노태근;이동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33-44
    • /
    • 2012
  •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는 식물플랑크톤이 배출하는 다당류 물질이 자가응집을 통해 생성되는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해중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는 동해 북부해역에서 TEP 농도 분포특성과 탄소순환에서 역할을 이해하기에 이산화탄소계 인자, 엽록소-a 농도들을 관측하였다. 동해 북부해역의 TEP는 $0{\sim}338{\mu}g\;Xeq\;l^{-1}$로 연안역의 농도보다 낮으나 다른 외양역의 대번식기와 유사한 값이 나타났다. TEP의 공간분포는 엽록소-a의 공간 분포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이 TEP의 주요 기원으로 사료된다. 직접 측정한 pH와 총 알칼리도의 값을 이용하여 총 용존 무기탄소($TCO_2$)를 계산하였으며, 염분 35 psu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환된 $NTCO_2$는 수온에 대해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수온으로 계산된 $NTCO_2$와 현장에서 측정한 $NTCO_2$와의 차이는 생물적인 과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제거($NTCO_{2bio}$)를 나타내는데, 난수역에서 $NTCO_{2bio}$값이 음의 값이 나타났고 TEP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생물적인 과정에 의해서 해수중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북위 $44^{\circ}-46^{\circ}$ 냉수역은 표층에서 TEP 농도는 낮지만, 엽록소-a 최대층에서 TEP의 농도 또한 높게 나타났고 TEP에 포함된 탄소(TEP-C)가 $NTCO_{2bio}$의 약 40%를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TEP농도가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pH와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TEP의 반응은 살펴볼 수 없었으나 해수 중의 탄소순환에서 생물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TEP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암호 홍수조절용지내 침수 식물체의 영양염류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Release by Submerged Plants in Flood Control Reservoirs within Juam Lake)

  • 강세원;서동철;한명자;한종학;임병진;박종환;김갑순;이영재;최익원;이영한;허종수;김현욱;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71-277
    • /
    • 2011
  • 상수원수의 수질개선과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저수구역내 초목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주암호 홍수조절용지내에 서식하는 식물체들의 침수 시 일어나는 분해 특성 및 영양염류의 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수시기에 따른 식물체별 수질내 COD, T-N 및 T-P 용출 패턴은 식생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침수 4-6일 까지는 약간씩 감소하다가 침수 6-8일 이후부터 영양염류의 용출량이 서서히 증가하고 침수 20일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침수지역간의 식물체별 영양염류 용출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삭사초의 COD 용출량은 $7,893-7,917mg\;m^{-2}\;month^{-1}$ 범위, T-N 용출량은 $2,711-2,816mg\;m^{-2}\;month^{-1}$ 범위, T-P 용출량은 $342-547mg\;m^{-2}\;month^{-1}$ 범위이었다. 물억새의 COD 용출량은 $6,487-6,507mg\;m^{-2}\;month^{-1}$ 범위, T-N 용출량은 $1,813-1,868mg\;m^{-2}\;month^{-1}$ 범위이었으며, T-P 용출량은 $226-405mg\;m^{-2}\;month^{-1}$ 범위이었다.

Secretory Production of Human Leptin in Bacillus subtilis

  • Jeong, Ki-Jun;Lee, Sang-Yu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753-758
    • /
    • 2000
  • Human leptin is identified as a 16kDa (146 amino acids) protein secreted from adipocytes which influences body weight homeostasis. In order to produce active leptin, the human obese gene coding for leptin was expressed in Bacillus subtilis WB600 strain which is deficient in six extracellular proteases. The recombinant leptin was produced in a culture supernatant, and in a culture supernatant, it was contained as high as 48% for total proteins. After simple purification steps, which consisted of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n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2.3 mg of leptin with a purity greater than 95% was obtained from the 0.51 culture with the recovery yield of 38.3%. The purified leptin showed the correct folding structure with one disulfied bond.

  • PDF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를 이용한 생물학적 반응벽체에 관한 연구

  • 박근민;이재영;오병택;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02-406
    • /
    • 2006
  •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C were analyzed and showed 2.2 of specific gravity and 9.05 of pH. The results of leaching tests with standard method for soil and waste indicated heavy metals(Cu, Cd, Pb, $Cr^{6+}$) were under maximum concentration level. The anaerobic digestion sludge was attached in the surface of ALC within 90 hours. As the results of batch test, pH of the ALC and Bio-ALC were decreased from initial pH of ALC to 8.7 and 7.8 respectively Also,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as rapidly eliminated in the solution with the batch test. The result of column experiment indicates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ALC was showed 66% of T-P, 60% of T-N, and 67% of CODcr. Also, removal efficiency of Bio-ALC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ALC in T-N (64%) and CODcr (74%).

  • PDF

Graphiumins I and J, New Thiodiketopiperazines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Graphium sp. OPMF00224

  • Fukuda, Takashi;Nagai, Kenichiro;Kurihara, Yuko;Kanamoto, Akihiko;Tomoda, Hirosh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255-260
    • /
    • 2015
  • Two new thiodiketopiperazines (TDKPs), designated graphiumins I (1) and J (2), were isolated from the culture broth of the marine-derived fungus Graphium sp. OPMF00224 by solvent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ir absolute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analyses (1D and 2D NMR data, ROESY correlations, and CD data) and chemical methods. They were found to be structurally rare TDKPs with a phenylalanine-derived indolin substructure. Compounds 1 and 2 inhibited yellow pigment production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with $IC_{50}$ values of 63.5 and $76.5{\mu}g/ml$, respectively, without inhibiting its growth, even at $250{\mu}g/ml$.

Crystal Structure of a Maltogenic Amylase: Insights into a Catalytic Versatility

  • Oh, Sang-Taek;Cha, Sun-Shin;Kim, Hyun-Ju;Kim, Tae-Jip;Cho, Hyun-Soo;Park, Kwan-Hwa;Oh, Byung-Ha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회 진행표 및 논문초록
    • /
    • pp.35-35
    • /
    • 1999
  • Amylases catalyze the hydrolysis of starch material and play central roles in carbohydrate metabolism. The structure and a size exclusion column chromatography proved that the enzyme is a dimer in solution. The N -terminal segment of the enzyme folds into a distinct domain and comprises the enzyme active site together with the central (${\alpha}$/ ${\beta}$)$\sub$8/ barrel of the adjacent subunit.(omitted)

  • PDF

은행나무 고분자(高分子) 페놀성(性) 화합물(化合物)의 단리(單離) 및 생리활성(生理活性) 원칙(原則) (Islation of Long-Chain Phenols from Ginkgo biloba L. and Their Bio-Activer Principles)

  • 김영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82-86
    • /
    • 1993
  • 은행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결과, 그 추출물이 GAG release에 의한 IL-1의 억제효과(87%)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그 추출물을 chromatography로 분리한후 분광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그 함유물질들이 anarchardic acid 및 그와 유사한 페놀성 물질임을 밝혔다. 각 성분에 대하여 활성효과를 다시 실험한 결과, 주성분인 IIIb와 IIIc는 활성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단지, 소량물질인 Va와 Vb만이 중간 정도의 효과(각각 43과 55%)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 의하면, 은행나무의 추출성분이 IL-1의 억제효과를 분명히 나타내나, 그 효과가 주성분에 기인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