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ge-eating disorder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여대생들의 신체상과 다이어트가 섭식장애, 식이섭취량 및 사회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and Restrained Eating on Eating Disorder, Dietary Intakes, Self Esteem and Sex Role Identity in College Women)

  • 주은정;박숙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99-411
    • /
    • 1998
  • Thinness has become a symbol for beauty, acceptance and competence for women in our society, and pressure to diet because of this unrealistic standard is one factor reponsible for the increasing incidence of eating disorder. Three hundred fifty college women in the Chonbuk area were surveyed from May to June 1998,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eating disorder, dietary intakes, self esteem and sex role identity. This study identified a subgroup of women who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ir body weight and who did not diet. This group was compared with subgroups of women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and either were or were not restrained eaters. The dissatisfied/dieting women had the highest BMI, binge eating disorder and night eating syndrom, had significantly lower calorie, protein, iron, vitamin B$_1$, and vitamin B$_2$ intake compared with the satisfied/non-dieting women. The dissatisfied /dieting women, who had lower self-esteem compared with the satisfied/non-dieting women, but the frequency of sex role identity was similga among the groups of women. BMI and binge eating disorder were positively correlated(r=0.157, p<.01), but BMI and self 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r=-0.202, p<0.01). Especially, binge eating disorder and self 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126, p<0.05).

  • PDF

한국판 DSM-5 섭식장애진단척도(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 방은별;한초롱;전예림;김율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4
    • /
    • 2018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K-EDDS DSM-5). Methods : A total of 72 patients diagnosed with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iagnosis was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KEDE) interview.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K-EDDS and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version 6.0 (EDE-Q 6.0) for this study.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K-EDDS were examin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of agreement between the K-EDDS and the KEDE,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itially extracted 6-factor structures which were reconstructed into 4 factors of body dissatisfaction, binge behavior, binge frequency, and compensatory behavior based on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EDDS was fairly acceptable (Cronbach's alpha=0.72). The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the K-EDDS and the KEDE was high (98.61%). The 4 factors of the K-EDD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4 subscales of the EDE-Q 6.0. Conclusion : Our data suggests that the K-EDD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the diagnosis of eating disorders based on the DSM-5.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ight Eating Syndrome in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정하란;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구본기;김경민;남석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112-120
    • /
    • 2014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과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습관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84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14개 항목의 야간 식이증후군 설문지(NEQ)를 자가 보고로 실시하였다. 이들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신체 질량 지수(BMI), 주관석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에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inge Eating Scale(BES),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등을 포함한 설문을 통해 얻었다. 결 과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 중 야간 식이증후군의 유병률은 14.3%(84명 중 12명)이었다. NES와 Non-NES군 사이에서는 경제적 상태와 동반되는 내과 질환을 제외한 성별, 나이, 교육 년 수, 결혼 및 직업 상태, 흡연, 음주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Non-NES 군에 비해 NES군에서 폭식이 많았고 비만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가 나타났다. 결 론 이번 연구는 야간식이를 보이는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비록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의NES군에서 뚜렷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특성이 많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NES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볼 때 임상에서 양극성 장애 환자 평가 시 비만 여부에 관계 없이 NES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섭식장애에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eating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윤소현;김가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5-45
    • /
    • 2018
  • Obj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Eating Disorders, no meta-analysis providing definite conclusions in this field has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conduct meta-analysi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ating disorders. Methods: We searched the Koreamed, KISTI, KMBASE, RISS and KISS and so on up to October 2017 using search terms such as ((Eating disorders OR anorexia OR binge) AND (Mediation OR program OR treatment OR therapy OR technique)) in Korean. Results: Initial searches yielded 602 citations. Of these results, seven met selection criteria. Interventions reduced the risk of binge eating disorder (standardised mean difference [SMD] -2.133, 95% CI -3.107~-1.159). Interventions reduced drive for leanness (-1.857, -3.143~-0.571), body dissatisfaction (-1.357, -2.238~-0.477), depression (-0.745, -1.298~-0.192), but not physical function (0.191, -0.089~0.471).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may help Eating disorders' binge eating, drive for thinness, body dissatisfaction, depression. However, larger-scal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conclusion.

식이장애 (Eating Disorder)

  • 이재성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02
  • 식이장애란 체형과 체중에 대해 과도한 집착과 왜곡된 인지를 가지면서 비정상적인 식사행동을 반복하고 그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부작용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및 신경성 폭식증이 있으며, 그 외 폭식장애를 비롯한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식이장애가 있다. 서구문화의 급속한 유입으로 인하여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식이장애의 발병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청소년과 조기성년기 여성에게서 문제가 되고 있다. 비만 클리닉에 체중감량을 원해 내원하는 환자들은 식이장애에 대한 고위험군일 가능성이 있으며, 체중감량을 위한 과도한 식사제한은 자칫 식이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만클리닉 임상의들이 식이장애에 대한 이해를 갖고 적절한 식이요법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여자 중학생의 섭식장애 패턴 분류와 이에 따른 체형인식, 체중조절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Eating Disorder Pattern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elf-body Image, Weight Control Behavior, and Eating Behavior)

  • 이지은;이일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9-103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sources of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adolescents by identifying eating disorder pattern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elf-body image, weight control, and eating behavior. A total of 32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and completed a general characteristics survey, the Eating Attitudes Test(EAT-26), a perception of self-body image survey, a concern for weight control survey, an eating behavior survey, and the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MDA). Eating disorder patterns were identified to be obesity stress and weight control(OW), risk of binge eating(RB), and dietary restraint(DR) by factor analysis. OW pattern was related with stout body shape, body dissatisfaction,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skipping of dinner, and low MDA score. RB pattern was associated with lean body shape, body satisfaction, indiscreet snack behavior, and the eating time of snacks. The DR pattern was associated with normal body shape, regular meal times, desirable snack behavior, and high MDA sco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ating patterns of adolescent were not identical to existing diagnostic categories. Furthermore, each eating pattern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on self-body image, concern for weight control, and eating behavior.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eating disorder pattern.

  • PDF

Topiramate의 신경성 폭식증 치료효과: 국내외 보고된 임상연구결과 및 치험사례 중심으로 (Topiramate for the Treatment of Binge Eating Disorder or Bulimia Nervosa : A Systemic Review of Human Clinical Studies and Case Reports)

  • 이유정;방준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2
    • /
    • 2007
  • 지난 20 여 년 간 서구 선진사회에서는 식사장애(Eating disorder) 중에서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의 발병률이 급격히 상승하였고, 우리나라는 특히 젊은 여성층에서 발병률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치료약물로는 주로 항우울제가 선택되지만, 치료효과가 미흡한 바, 항경련제인 topiramate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이를 신경성 폭식증치료에 적극 사용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고조되었다. 본 연구는 topiramate가 지닌 신경성 폭식증 치료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얻고자, 1990년부터 2006년 사이 MEDLINE과,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국내외 자료를 binge eating disorder, bulimia nervosa, topiramate라는 3개의 주요어휘로 검색하여 추출한 자료중에서, 대조군이 사용된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임상연구 및 치험사례 만을 선별하여 임상적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국외 임상연구 및 치험사례에 따르면, topiramate가 신경성 폭식증에 수반되는 유해한 증상의 발생빈도를 경감시키는데 유효함을 나타내었다. 국내에는 아직 topiramate의 신경성 폭식증 치료효과를 검증한 체계화된 임상연구나 치험사례가 보고된 바 없었다. 피험자의 규모가 작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일 투여량 25 mg로 시작하여 점차 증량후 최대 600 mg까지 투여한 국외의 연구결과는, topiramate가 신경성 폭식증 치료에 유효한 결과를 보인다고 사료되므로, 국내 신경성 폭식증 임상치료와 연구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 PDF

웹 기반 한국판 섭식장애진단척도 DSM-5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Web-based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 이혜린;곽경화;이유경;한수완;김율리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85-193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섭식장애 진단척도 DSM-5 (Korean version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K-EDDS)를 웹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 법 본 연구는 섭식장애 환자(38명)와 대학생(81명)을 포함하여 총 119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지필 섭식장애 스크리닝 검사인 Sick, Control, One, Fat, Food (SCOFF) 후 별도의 사이트에서 웹 기반 K-EDDS, 섭식장애검사(Eating Disorder Examination-Questionnaire, EDE-Q), 임상손상평가(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를 작성했다. SCOFF 점수가 2점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ED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Interview) 면담을 진행하였다. 검사 후 2주 이내에 웹 기반 K-EDDS, EDE-Q, CIA를 재실시하였다. 결 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체불만족, 폭식행동, 폭식빈도, 보상행동의 4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총 분산의 82.4%를 설명하였다. 웹 기반 K-EDDS의 4개 하위요인은 EDE-Q의 4개 하위요인과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수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Cronbach's alpha=0.93). 웹 기반 K-EDDS와 EDE의 진단 일치도는 96.83%, 웹 기반 K-EDDS의 검사-재검사 진단 일치도는 92.86%로 우수하였다. 웹 기반 K-EDDS와 CIA에서 환자군과 정상군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본 척도의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K-EDDS는 임상 및 연구 현장에서 DSM-5를 기반으로 한 섭식장애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비만의 정신의학적 접근에 관한 문헌고찰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Obesity from a Psychiatrical Point of View)

  • 민경직;최보윤;정인철;이상룡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45-353
    • /
    • 2004
  •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s concerning the obesity from a psychiatrical point of view.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1. In obese people, negative emotions, especially depression were frequently reported. 2. Negative feelings, especially anger, anxiety, depression, induce binge eating and can lead to obesity. 3. Depression was related to the wrong body image more than to the body mass index. 4. Wrong body image affects eating attitudes, which may cause eating disorders. 5. To treat obesity or eating disorders, we must use psychosocial treatment, for example, supportive, cognitive or behavior therapy.

  • PDF

폭식을 주소로 한 화병(火病)환자 치험(治驗)1예(例) (A Case Report on a Hwabyung Patient with Binge Eating)

  • 안태한;장정아;박은영;정성식;김진원;서호석;김진이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9-146
    • /
    • 2011
  • 수년간 지속되어 오던 폭식과 불면을 주소로 하고 매핵기(梅核氣), 흉민(胸悶), 복부불편감, 상열감(上熱感)등의 증상을 동반한 화병 환자에 대해 한의학적으로 기기울체(氣機鬱滯) 기울화화(氣鬱化火) 간화상염(肝火上炎)과 간울극비(肝鬱克脾)로 인한 비기손상(脾氣損傷) 비허생담(脾虛生痰) 변증(辨證)하고 한약복용과 침치료(針治療), 구치료(灸治療), 부항치료(附缸治療), 사혈요법(瀉血療法)의 치료(治療)로 폭식행동과 부수증상은 소실되고 수면상태도 유의하게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