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obalid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은행잎 추출성분이 고혈압쥐의 뇌중 신경전달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kgo biloba Leaf Extracts on the bevels of Neurotransmitters i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Brain)

  • 박혜영;주지연;김명희;신정희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1호
    • /
    • pp.28-33
    • /
    • 1995
  • Effects of Ginkgo biloba leaf extract (GBE) and its components kaempferol-coumaroyl glucosyl rhamnoside (Kc), quercetin-coumaroyl glucosyl rhamnoside (Qc), ginkolide (G) and bilobalide (B) on blood pressure and on the levels of neurotransmitters i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brain were examined. Blood pressure decreased about 10 mmHg after administration of GBE but without significance. The concentration of norepinephrine increased (3 times) and that of DOPAC was decreased (38%) after administration of Qc. And 3-M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36%) by Kc administration in striatum. While Qc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Ach (260%) and Ch(29%) significantly, B administration increased Ch concentration in cerebral cortex.

  • PDF

은행잎 추출물의 집먼지 진드기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에 대한 살충효과 (Insecticidal Effect of Dermatoohagoides pteronyssinus using Ginkgo biloba Leaves Extracts)

  • 이인화;박주영;최승현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58-6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이 추출용매와 추출조건에 따른 D. pteronyssinus에 대한 살충 실험을 통해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다. 은행잎 성분 중 bilobalide가 D. pteronyssinus에 살충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다양한 은행잎 추출조건에 따른 살충실험을 한 결과 48시간 이후 약 68%$\sim$80%의 치사율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경제성과 치사율을 고려하면 80$^{\circ}C$에서 온수추출물 (GLW80)이 가장 최적추출 조건이다.

은행잎 바이오매스로부터 급속 열분해를 통한 바이오-오일 생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of Bio-oil from Ginkgo Leaves through Fast Pyrolysis and its Properties)

  • 황인준;전재락;김진수;김승수
    • 청정기술
    • /
    • 제29권3호
    • /
    • pp.200-216
    • /
    • 2023
  • 은행잎은 자체에 존재하는 ginkgolide A, B, C, J 및 bilobalide의 강한 살충작용으로 인해 제대로 분해가 진행되지 않아 그대로 방치할 시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는 폐기물 바이오매스이다. 은행잎 바이오매스는 적절한 기술 적용을 통해 연료나 화학물질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의 급속 열분해 반응과정에서 열분해 온도, 최소 유동화 속도, 샘플의 크기를 변화 시키면서 생성물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분해 온도 400~550℃, 최소 유동화 속도 2.0~4.0 Umf, 그리고 바이오매스 샘플의 크기에 변화 따라 생성물의 수율과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급속 열분해는 기포 유동층 반응기에서 모래를 층 물질로 사용하여 400~500℃ 구간에서 진행하였다. 열분해 후 액상 생성물의 수율은 온도에 따라 33.66~40.01 wt%였으며, 기상 생성물 중 CO2와 CO의 선택성이 높았고, 온도 증가에 따라 CO2의 선택성은 낮아지고 CO의 선택성은 높아졌다. 반응 온도 450℃, 유동화 속도 3.0×Umf, 0.43~0.71 mm 입자 크기에서 급속 열분해를 진행한 결과 40.01 wt%의 바이오-오일 수율을 얻었으며, 30.17 MJ/kg의 고위발열량을 나타냈다. 생성된 바이오-오일을 GC-MS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다양한 페놀 화합물 및 벤젠 유도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은행잎 폐기물 바이오매스의 처리와 함께 활용 가능성을 급속 열분해를 통해 확인하였다.

In Vitro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6-Hydroxykynurenic Acid and Other Flavonoids from Gingko biloba Yellow Leaves

  • Hyun, Sook-Kyung;Jung, Hyun-Ah;Chung, Hae-Young;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2호
    • /
    • pp.1074-1079
    • /
    • 2006
  • As part of our research on phytochemicals that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seases related to reactive nitrogen species, we have evaluat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yellow leaves of Ginkgo biloba on $ONOO^{-}$. The m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yellow leaves of G. biloba evidenced a marked scavenging activity on authentic $ONOO^{-}$.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activ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n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RP-18, resulted in the purification of 15 known compounds, including sciadopitysin (1), ginkgolide B (2), bilobalide (3), isoginkgetin (4), kaempferol (5), luteolin (6), protocatechuic acid (7), bilobetin (8), amentoflavone (9), ${\beta}-sitosterol$ glucopyranoside (10), kaempferol 3-O-rhamnopyranoside (11), kaempferol 3-O-glucopyranoside (12), kaempferol $3-O-[{6^{'}-O-p-coumaroyl-{\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alpha}-L-rhamnopyranoside]$ (13), kaempferol 3-O-rutinoside (14), and 6-hydroxykynurenic acid (15). Among the compounds isolated, flavonoids (5, 6 and 11-14), protocatechuic acid (7), and 6-hydroxykynurenic acid (15) all exhibited marked scavenging activities on authentic $ONOO^{-}$. The $IC_{50}$ values of 5-7, 11-14 and 15 were as follows: $2.86{\pm}0.70,\;2.30{\pm}0.04,\;2.85{\pm}0.10,\;5.60{\pm}0.47,\;4.16{\pm}1.65,\;2.47{\pm}0.15,\;3.02{\pm}0.48,\;and\;6.24{\pm}0.27\;{\mu}M$, respectively. DL-Penicillamine ($IC_{50}=4.98{\pm}0.27\;{\mu}M$) was utilized as a positive control. However, the other compounds (1-4, 8-10) exerted no effects against $ON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