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leakag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Biliary Leakage)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Both Decubitus Position)의 유용성 (Efficient of Hepatobiliary Scintigraphy both Decubitus Position in Biliary Leakage Patients)

  • 반영각;노동욱;강천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229-234
    • /
    • 2008
  • 간담도 스캔은 방사성의약품을 정맥주사 후 간세포에 섭취되어 담즙과 함께 담낭과 담도를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양상을 경시적으로 검사한다. 따라서 간세포와 담낭의 기능 정도 및 담도계의 폐쇄 여부를 알 수 있고 담즙의 누출 유무, 위치 및 정도를 확인하는데 가장 예민한 검사 방법이다. 하지만 담즙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의 간담도 스캔은 누출된 담즙과 장으로 배출된 담즙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간담도 스캔 검사 시 양측와위 자세로 검사를 시행하여 누출된 담즙과 장으로 배출 된 방사능을 분리 구분하여 더욱 명확한 담즙 누출의 진단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총 31명의 환자 중 남자는 14명, 여자는 17명이고, 평균나이는 $51.1{\pm}14.4$세였다. 정상위 자세에서 1분씩 60분간 경시적 영상을 획득하고, 지연검사는 2시간, 4시간, 24시간 간격의 정상위 자세와 좌우 측와위 자세로 각각 5분 동안 영상을 획득하였다. 단, 측와위 자세의 영상 획득 시 약 5분간 측와위 자세를 유지한 후에 영상을 획득 하였다.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 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위 검사에서 누출이 바로 확인되는 환자의 측와위 자세와 관심영역을 비교하여 누출 여부(크기, 위치, 농도)의 감별 편리성의 양상을 비교하였고, 의심되는 질환이 담즙 누출이지만 경시적 영상에서 누출부위를 확실히 구분할 수 없는 환자의 측와위 자세를 통해 누출부위를 우선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환자가 어느 정도인지를 검사대비 감별확률로 비교하였다. 31명의 담즙 누출 환자 중 23명의 환자는 기능영상 혹은 지연영상에서 담즙 누출을 확인하였고, 8명의 환자는 측와위에서 담즙 누출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상에서 해부학적으로 누출 위치를 찾는 것은 정상위가 더욱 용이하였으나, 양측와 위 자세 변동으로 인한 장내 담즙의 이동으로 담즙의 누출이 더욱 확실히 구분되었다. 또한 관심영역과 배후방사능의 섭취계수(Counts/Pixel)를 구하여 관심영역/배후방사능비를 평가결과, 평균은 정상위 5.02, 좌측와위 2.08, 우측와위 2.68이었다. 관심영역의 화소 수를 분석하여 크기를 비교할 경우, 좌측와위는 정상위에 비해 평균 1.91배 컸고, 우측와위는 평균 1.05배 컸다. 결과적으로 31명의 환자 중 38.5% 정도만이 측와위가 의미가 있었지만, 위치 변동으로 인해 장내 담즙의 이동으로 누출의 위치는 더욱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그 38.5%의 환자에서 정상위와 양측와위에서의 관심영역/배후방사능비, 관심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면 측와위에서 관심영역의 넓이는 좌측와위 19%, 우측와위 5% 넓어지고, 농도는 좌측와위 약 60%, 우측와위 약 50% 옅어졌으며, 이는 복강 내로 관심영역의 담즙누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간담도 검사시 담즙 누출을 의심하는 환자에게 양측와위 자세를 추가하여 검사를 한다면 담즙 누출을 정확하게 진단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시경 담낭절제술에 발생한 담도손상의 간담도스캔 (Hepatobiliary Scanning of the Common Bile Duct Injury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전석길;이희정;조원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1-144
    • /
    • 1994
  • 내시경 담낭절제술은 개복수술보다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서 점차 보편화되는 경향이지만 이에 수반하는 합병증도 여러가지가 발표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담도손상으로 인한 담즙유출은 재수술을 요한다. 저자들은 43세의 남자와 54세의 여자에서 내시경 담낭절제술후에 발생한 복강내 담즙유출을 $^{99m}Tc$-DISIDA 간담도 스캔으로 확진하고 이의 유용성을 증례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영아 자발성 총담관 천공의 간담도 스캔 (Hepatobiliary Scan in Infantile Spontaneous Perforation of Common Bile Duct)

  • 전석길;류종걸;이은영;이종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6-129
    • /
    • 1996
  • Spontaneous perforation of CBD in infant is a rare but fatal disease. We report a case of bile leakage from common bile duct in 11 months old girl with progressive abdominal distension and vomiting, preoperatively diagnosed by hepatobiliary scan with 99mTc-DISIDA, which was confirmed by surgery, Operative cholangiogram showed a small perforation at the confluence of cystic duct and common bile duct with mild fusiform dilatation, and no definite abnormality in confluence of the common bile duct and pancreatic duct. Simple drainage of the free peritoneal bilous fluid and T-tube drainage were performed without any evidence of the complication. Patient was inevitable for 6 months OPD follow-up examination.

  • PDF

Calcium-Dependent Cell Damage Induced by Bile Acid

  • Kim, Joo-Young;Kim, Kyung-Hwan;Lee, Min-Goo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2002년도 제9회 학술 발표회 프로그램과 논문초록
    • /
    • pp.24-24
    • /
    • 2002
  • The mechanism of how cholelithiasis increases the risk of acute pancreatitis remains obscure. When gallstones obstruct the lower biliary tract, bile acids can enter the pancreas either by luminal diffusion or by interstitial leakage. Here we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bile acids can be transported into pancreatic acinar cells through the membrane transporters and induce cell death by impairing intracellular Ca$\^$2+/ signals.(omitted)

  • PDF

Successful Endoscopic Treatment of Hepatic Duct Confluence Injury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Case Report

  • Park, Chan Ik;Park, Sung Jin;Lee, Sang Bong;Yeo, Kwang Hee;Choi, Seon Uoo;Kim, Seon Hee;Kim, Jae Hun;Baek, Dong Hoo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9권3호
    • /
    • pp.93-97
    • /
    • 2016
  • Hepatic duct confluence injury, which is developed by blunt abdominal trauma, is rare. Conventionally, bile duct injury was treated by surgical intervention.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re had been an increase in radiologic or endoscopic intervention to treat bile duct injury. In a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 endoscopic intervention is considered as the first-line treatment for bile duct injury. A 40 year-old man was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of ${\bigcirc}{\bigcirc}$ trauma center after multiple blunt injuries. Contrast-enhance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performed in another hospital showed a liver laceration with active arterial bleeding, fracture of the sacrum and left inferior pubic ramus, and intraperitoneal bladder rupture. The patient presented with hemorrhagic shock because of intra-peritoneal hemorrhage. After resuscitation, angiographic intervention was performed. After angiographic embolization of the liver laceration, emergency laparotomy was performed to repair the bladder injury.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of bile duct injury on initial laparotomy. On post-trauma day (PTD) 4, the color of intra-abdominal drainage of the patient changed to a greenish hue; bile leakage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Bile leakage was detected near the hepatic duct confluence; therefore, a biliary stent was placed into the left hepatic duct. On PTD 37, contrast leakage was still detected but both hepatic ducts were delineated on the second ERCP. Stents were placed into the right and left hepatic ducts. On PTD 71, a third ERCP revealed no contrast leakage; therefore, all stents were removed after 2 weeks (PTD 85). ERCP and biliary stenting could be effective treatment options for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after blunt trauma.

소화기계 Leakage 환자 검사 시 SPECT-CT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SPECT-CT at the Examination of Digestive System Leakage Patients)

  • 함준철;오신현;최용훈;강천구;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98-102
    • /
    • 2018
  • 소화기계 Leakage환자 검사 시 Planar 영상만으로 담즙누출 및 출혈여부와 위치감별이 쉽지 않다. SPECT-CT를 이용하여 담즙누출 및 위장관출혈 확인과 위치 감별을 통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원에 내원한 환자 중 담즙누출 의심 환자 8명 및 위장관출혈이 의심되는 환자 5명, 총 13명을 대상으로 Planar영상 획득 후 판독실요청에 따라 SPECT-CT를 진행했다. 장비는 SIEMENS사의 Symbia T16과 GE사의 Discovery 670을 사용했다. Planar 및 SPECT-CT 영상은 4명의 경험 있는 핵의학 의사에 의해 1~10점의 점수로 평가했다. 민감도 및 특이도를 이용하여 ROC 곡선에 의한 검사 평가를 시행했다. 최종 진단은 재수술 결과 및 추적 관찰을 통해 확인했다. SPECT-CT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는 각각 91.7%, 100% 및 94.2%였다. Planar영상은 각 각 83.3%, 68.8% 및 78.8%였다. Planar영상은 SPECT-CT와 비교하여 낮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78.8%, 94.2%, p<0.05). 또한 ROC곡선 분석에서 SPECT-CT의 진단 신뢰도는 Planar영상보다 유용한 결과를 나타냈다(p<0.05). SPECT-CT는 담즙누출 및 위장관출혈 진단과 위치 감별에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Planar영상과 함께 SPECT-CT를 추가로 시행한다면 담즙누출 및 위장관출혈 환자의 진단과 위치 감별평가를 향상 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SPECT-CT는 다른 장기와의 중첩으로 진단이 어려울 경우 유용성이 있지만 추가적인 CT피폭에 대한 고려는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solated Common Hepatic Duct Injury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 Park, Yun Chul;Jo, Young Goun;Kang, Wu Seong;Park, Eun Kyu;Kim, Hee Jun;Kim, Jung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231-234
    • /
    • 2017
  • Extrahepatic bile duct injury is commonly associated with hepatic, duodenal, or pancreatic injuries, and isolated extrahepatic bile duct injury is rare. We report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an isolated extrahepatic bile duct injury after blunt trauma. A 50-year-old 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after having suffered a fall down injury. His laboratory findings showed hyperbiliribinemia with elevat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 Initial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a mild degree of hemoperitoneum without evidence of abdominal solid organ injury. On the 3rd day of hospitalization, the patient complained of dyspnea and severe abdominal discomfort. Follow-up abdominal CT showed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 Ow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Emergency laparotomy revealed a large amount of bile-containing fluid collection and about 1 cm in size laceration on the left lateral side of the common hepatic duct. Primary repair of the injured bile duct with T-tube insertion was performed On postoperative day (POD) 30,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showed minimal bile leakage and endoscopic sphincteroplasty and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were performed. On POD 61, the T-tube was removed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영아에서 발생한 총담관 자연 천공 1례 (A Case of Spontaneous Perfor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Infant)

  • 남기세;김종민;정기섭;한석주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284-288
    • /
    • 2004
  • 영아에서 담관의 자연 천공은 매우 드물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출생 후 건강하던 영아가 복부팽만, 복수, 황달이 나타나면 의심하게 되며 대부분 수술적 담도 조영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진단된다. 저자들은 복부팽만, 황달, 무담즙변 증상이 있는 생후 4개월 된 소아에서 총담관의 자연천공 1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원인불명의 담즙흉 1예 (A Case of Cholethorax Developed by Unknown Cause)

  • 성문혁;김성무;유숙희;박우리;안진영;최강현;이기만;김시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3호
    • /
    • pp.261-265
    • /
    • 2011
  • Cholethorax is a bilious pleural effusion caused by a pleurobiliary fistula or leakage of bile into the pleural space. Most cases of cholethorax arise from a complication of abdominal trauma, hepatobiliary infection, or invasive procedures or surgery of hepatobiliary system. However, we experienced a case of a patient with cholethorax of unknown origin. There was no evidence of pleurobiliary fistula or leakage of bile from the hepatobiliary system although we examined the patient with various diagnostic tools including chest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tubography, bronchofiberscopy, hepatobiliary scintigraphy and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Herein we report a case of cholethorax for which the specific cause was not identified. The patient was improved by percutaneous drainage of pleural bile.

Contained Gallbladder Rupture in Two Dogs with Small-Sized Gallbladder

  • Chang-Hwan Moon;Hee-Jin Kim;Won-Jong Lee;Young-Sam Kwon;Jae-Min Jeong;Dae-Hyun Kim;Hae-Beom Lee;Seong Mok Jeo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52-456
    • /
    • 2023
  • This report presents two rare cases of gallbladder rupture in dogs with small gallbladders that did not result in bile leakage and their subsequent surgical treatment. The report includes a 5-year-old spayed female Chihuahua weighing 3.5 kg and a 9-year-old castrated male Poodle weighing 5.3 kg. Both dogs had elevated liver enzyme levels on blood chemistry. However, only the second dog (2) (Poodle) presented with hyperbilirubinemia and jaundice, whereas the first dog (Chihuahua (1)) did not display any specific clinical signs. Diagnostic imaging revealed a small gallbladder in both dogs, and the dogs were diagnosed with cholecystolithiasis (1) and extrahepatic biliary tract obstruction (2). No bile leakage-related abdominal effusion was observed. Gallbladder rupture and adhesion to the adjacent tissues were confirmed during cholecystect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