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ducts, stenosis or obstruc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Percutaneous Placement of Self-expandable Metallic Biliary Stents in Malignant Extrahepatic Strictures: Indications of Transpapillary and Suprapapillary Methods

  • Deok Hee Lee;Jeong-Sik Yu;Jae Cheol Hwang;Ki Hwan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권2호
    • /
    • pp.65-72
    • /
    • 2000
  • Objective: To compare the efficacy of suprapapillary and transpapillary methods of transhepatic biliary metallic stent placement in malignant biliary strictures and to specify the indications of each method applied. Materials and Methods: Stents were placed in 59 patients. Strictures were categorized as type A (within 3 cm of the ampulla, n = 27), type B (over 3 cm from ampulla, n = 7), type C (within 3 cm of the bending portion, n = 9), or type D (over 3 cm above the bending portion, n=16). The stenting method was suprapapillary in 34 cases and transpapillary in 25. The rates of initial and long-term patency and of early recurrence were compared. Results: Initial patency rates for the suprapapillary and transpapillary methods were 1/7 (14.3%) and 20/20 (100%) respectively for type A (p < 0.0001), 4/5 (80.0%) and 2/2 for type B, 3/7 (42.9%) and 2/2 for type C, and 15/16 (93.8%) and 0/0 for type D. Early recurrence rates were 7/30 (23.3%) using the suprapapillary method and 4/29 (13.8%) using the transpapillary method (p = 0.51). The long-term patency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either type (p = 0.37) or method (p = 0.62). Conclusion: For good initial patency, the transpapillary method is recommended for strictures of the distal extrahepatic duct near the ampulla and just above the bending portion. Long-term patency is not influenced by the stenting method employed.

  • PDF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