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내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한 뇌졸중 환자의 양측 상지훈련 현황 및 인식도 조사 (A Study on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and Current Conditions About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주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25-33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양측 상지 활동 훈련에 대한 현황 및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6년 6월 한달동안 작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환자의 일반적 특성, 환자가 수행하기 어려운 양측 상지 활동, 훈련에 적용하는 양측 상지 활동, 치료에 적용시켜 보고 싶은 양측 상지 활동의 총 5개 영역을 포함하는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환자가 수행하기 어려운 양측 상지 활동은 못 박기였으며, 주로 훈련에 적용하는 양측 상지 활동은 컵 뚜껑 열기였다. 또한 치료에 적용해 보고 싶은 양측 상지 활동은 세수하기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양측 상지 훈련에 적용하는 활동 목록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양측 상지과제를 선정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20-5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과 경두개 직류전류자극을 실시한 실험군 13명,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만 실시한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어 총 4주간, 50분씩, 주 5회 실시하였으며,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가속도계 (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검사(Fugle-Meyer Assessment;FMA), 운동 홛동 척도(Motor Activity Log;MAL)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작업 만족도와 수행도,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 상지 기능의 회복과 움직임의 질에서 모두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특히, 환측 사용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의 결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a Bilateral upper Limb Training Program Using a Visual Feedback Method o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Clinical Trial

  • Kang, Dongheon;Park, Jiyoung;Choi, Chisun;Eun, Seon-D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2호
    • /
    • pp.20-31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pilot test a newly developed bilateral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upper limb function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using a visual feedback method. The doub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ilot study included 10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ge >50 years). The intervention (four weekly meetings) consisted of five upper limb training protocols (wrist extension; forearm supination and pronation; elbow extension and shoulder flexion; weight-bearing shift; and shoulder, elbow, and wrist complex movements). Upper limb movement function recovery was assessed with the FuglMeyer Assessment of the Upper Extremity,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the Trunk Control Test, the modified Ashworth Scale, and the visual analog scale at baseline, immediately after, an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Fatigue Severity Scale was also employed. The Fugl-Meyer Assessment of the Upper Extremity and Wolf Motor Function Tes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upper limb motor function. The Trunk Control Test results increased slightly, and the modified Ashworth Scale decreased slightly,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nd the Fatigue Severity Scale scores were moderate or low. The bilateral upper limb training program using the visual feedback method could result in slight upper limb function improvement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Development of EMG-Trigger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Upper Extremity Bilateral Movement Training in Stroke Patients: Feasibility and Pilot study

  • Song, Changho;Seo, Dong-kw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3호
    • /
    • pp.374-378
    • /
    • 2021
  • Objective: Bilateral movement train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of stroke. An approach to induce bilateral movement throug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s attem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G-trigger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upper extremity bilateral movement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test its feasibility. Design: Feasibility and Pilot study design. Methods: We assessed muscle activation and kinematic data of the affected and unaffected upper extremities of a stroke patient during wrist flexion and extension with and without the device. Wireless EMG was used to evaluate muscle activity, and 12 3D infrared cameras were used to evaluate kinematic data. Results: We developed an EMG-trigger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o enable bilateral arm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th signals received through a 2-channel EMG sensor was developed. The device consists of an EMG sensing unit,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ere was asymmetry of movement between the two sides during wrist flexion and extension. With the device, the asymmetry was lowest at 60% of the threshold of the unaffected sid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MG-triggered FES device, and the pilot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device reduces asymmetry.

뇌졸중 환자에서 반복적인 양측성 운동학습 적용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이명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5권3호
    • /
    • pp.202-222
    • /
    • 2003
  • Chronic upper extremity hemiparesis is a leading cause of functional disability after str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effects of a 6weeks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on upper motor func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motor network. Four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for 6 consecutive weeks, 3 days a week, 30 minutes a day. In the single group study, four 5-minute periods per session of bilateral arm training were performed with the use of a custom-designed arm training mach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Following the 6weeks period of RBAT, patient exhibited a improvement in FMA and BBT. 2. Following the 6weeks period of RBAT, it showed improvement in reaching time, symbol digit substitution and finger tapping speed of KCNT. 3. fMRI activation after RBAT showed a focal map in lesional cortical area and perilesional motor areas. These fMRI data suggest that hemodynamics response to RBAT reflect sensorimotor reorganization in contralateral hemisphere. In conclusion, these date suggest that improved upper extremity function induced by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after stroke is associated with reorganization of motor network as a neural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paratic upper extremity function.

  • PDF

뇌졸중 환자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ilot Study)

  • 김선호;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47-58
    • /
    • 2017
  •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 양측성 상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를 가진 환자 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명)과 대조군(2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 당 총 5주간, 주 3회, 회기 당 60분의 작업기반 양측성상지훈련 중재와 전통적 양측성 상지 훈련을 각 각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로 EMG, 가속도계, ARAT, Y-BAT, SIS, COPM를 실시하여 각 군간 비교 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노쪽 손목폄근과 앞 어깨 세모근의 근 활성도, SIS에서 손 기능(Hand function), 기억력(Memory)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으며, 양손의 사용량을 측정한 가속도계와 COPM, Y-BIT, ARAT평가의 잡기(grasp), 집기(pinch), 대동작 (gross movement)항목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이 신경학적 변화를 통한 상지기능 회복 및 사회참여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해 높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를 통한 효과 검증과 효과지속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측성 상지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nd Bilateral Arm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 양성화;이완희;이경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5호
    • /
    • pp.65-72
    • /
    • 2011
  • Purpos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with bilateral arm training (BAT) on the motor performance and daily activity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Methods: Sixteen subjects one year after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a control group; the pretest-posttest method was us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combination of bilateral arm training and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n=8), and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n=8). The mCIMT group received therapy for 90 minutes in 3 sessions per week over a period of 4 weeks. The patients receiving a combination of mCIMT and BAT were treated for the same period and frequency. The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Fugl-Meyer Assessment, 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and Motor Activity Log-Amount of Use, and Quality of Movement (MAL-AOU, QOM) assessment tools. Results: The Fugl-Meyer Assessment showed that hand and wrist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in the mCIMT group than in the Combination group (p<0.05). Result from the ARAT assessment showed greater scores for gross movement in the combined group than in the mCIMT group (p<0.05). The MAL-AOU showed that there was greater improvement in the combined group than in the mCIMT group (p<0.05). Conclusion: The forced use of the more affected side can be important for the enhancement of upper extremity performance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during their daily activities.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병원 환경에서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a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tocol in a Medical Setting for Stroke Patients)

  • 김선호;김정란;박혜연;한아름;김종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1호
    • /
    • pp.24-44
    • /
    • 2020
  • 목적 : 임상 적용에 있어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위해 작업기반 중재의 활동 선정과 양측성 상지훈련의 주요 전략을 기본으로 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의 연구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 단계는 개방형 설문 개발 단계로 문헌고찰을 통해 1차 초안을 마련하고 초안을 바탕으로 한 예비연구를 통해 개방형 질문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델파이 조사로, 개방형 델파이 설문을 통해 얻은 전문가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훈련 프로토콜로서의 적절성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평균 및 표준편차,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 내용 타당도 비율 분석을 통해 항목의 수정 및 삭제 등의 과정을 거쳐 항목을 도출하여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프로토콜의 완성 단계로 연구자 간 토의를 거쳐 최종 도출된 프로토콜 내용에 대하여 재 조직화를 통해 병원 기반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결과 : 작업 기반 중재 선정 영역에서 3영역, 9항목, 양측성 상지 훈련 영역에서 4영역, 81항목의 프로토콜이 완성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병원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작업 기반 활동을 중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한 근거 기반의 방법을 제시하며, 양측성 상지 훈련 또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를 통해 임상에서의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대칭적, 비대칭적 양측성 상지훈련의 상지기능회복 효과 (The Effect of Symmetrical and Asymmetric Bilateral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atients in Upper Extremity Recovery)

  • 김선호;한대성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35-43
    • /
    • 2017
  • 목적 : 양측성 상지 활동의 대칭적, 비대칭적 양측성 상지훈련이 상지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원주에 소재한 ${\bigcirc}{\bigcirc}$병원의 연구 뇌졸중 환자 15명을 무작위로 대칭적 움직임훈련 그룹과 비대칭적 움직임 훈련 그룹으로 나누었다. 중재는 하루 30분, 주5회, 4주 동안, 총 20회기를 받았다. 결과 : 양측 상지의 실제 사용량은 대칭적 움직임 훈련은 건측, 환측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 비대칭 움직임 훈련도 환측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환측에서 그룹 간 유의한 변화차이가 있었다. 두 훈련 그룹 모두 수행도와 만족도, 상지기능 변화는 그룹 내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그룹 간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대칭적 움직임 훈련은 비대칭 움직임 훈련보다 대칭적 움직임은 비대칭적 움직임 보다 운동수행에서의 향상을 보였지만, 보다 명확한 차이를 얻기 위해서는 fMRI와 같은 뇌신경학적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되며, 보다 명확한 훈련 프로토콜이 필요하고, 보다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된다.

국소 진동 자극과 양쪽 팔 훈련의 융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Intervention of Focal Vibration Stimulation an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on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5-10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팔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를 실시한 실험군과 양측성 팔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회기 당 30분씩 4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진동자극은 실험군의 손상측 팔에 훈련이 이루어지는 30분간 적용되었다. 평가는 손상 측 팔의 회복정도와 양측 팔 의 사용량, 양손 사용의 수행의 질과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그룹 내,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그룹 간 비교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손상 측 팔의 기민성과 손상 측의 사용량에서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보였다. 효과 크기는 모든 항목에서 작은 효과 크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회복을 위한 효율적 중재로써 임상에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