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6 skills mod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39초

Big6 모델 및 수정 모델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Big6 Skills Model and the Modified Big6 Models)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1-35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Big6 모델과 Big6 수정 모델을 분석하여 Big6 모델의 특징을 찾고 현장에서 Big6 모델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AASL과 ACRL의 정보 리터러시 기준과 Big6 모델을 비교하였으며, 교육목표분류학에 영향을 받은 Big6 모델과 Big6+3 모델, Big8 모델 및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Big6 모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ig6 모델은 정보 문제 해결 모델과 메타인지 활성화 전략 및 학생들의 정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발판으로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구성주의, 탐구기반 학습, 교육과정 통합, 협력교육, ICT기술 모델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은 Big6 모델보다 사서교사나 사서의 Big6 모델의 적용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사서교사와 사서는 Big6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다.

학교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문해 서비스 (Providing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in Liaison with School Curriculum)

  • 변우복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44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이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문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요인과 해결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장애요인으로는 정보문해를 ICT 활용능력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장서, 도서관 전담인력 등의 미비 등을 들었다. 정보문해에서 문헌정보의 중요성, 온라인을 이용한 도서관 이용지도, 정보문해 수업을 위한 Big6 문제해결 모형 및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의 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서식 등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의한 탐구수업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Inquiry Instruction Model b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71-492
    • /
    • 2009
  • 탐구수업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탐구수업은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학생스스로가 지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행 탐구수업은 학교도서관과의 연계성 부족,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간의 협력 부족,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탐구수업 모형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정보의 접근, 평가, 이용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보활용능력은 탐구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피트(Lippitt)의 탐구과정과 정보활용과정모형(Big6 Skills, Pathways to Knowledge, I-Search, 8Ws, IP, IRP)을 비교 분석하여 탐구수업에 적합한 기능, 전략, 활동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과정에 의한 탐구수업의 정교화 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

A Strategy for Productive Teachers' Questioning in Chemistry Class: Disassembly, Assembly and Interweave of Questions

  • Gim, N. Seunghyeun;Park, Mee-Sook;Chae, Hee-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29-545
    • /
    • 2007
  • Questioning forms an integral part of most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ing when the class consists of difficult content. Science including chemistry is usually content-rich, but difficult to understand without supporting lab experiments, subsidiary visual materials and model kits. Engaging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in such a subject, therefore,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a daily lesson in the classroom. However, generating meaningful questions requires a certain level of information and metacognitive skills on the part of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ramework of effective teachers' questioning with a large group in chemistry class: how teachers used questioning to engage their students in such a big class, to identify a variety of forms of feedback provided by students and to develop a model of question-inducing strategies. We investigate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ir questioning and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eachers' questioning by surveying over 82 teachers and 434 students in Korea. The survey findings show that the questionnaire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elements: the theme of the teachers' questions (T), students' inquiries (I), methods of teachers' questioning (M)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E). These elements can be analyzed and sub-categorized to find out which elements are effective in good questioning, even though the elements are interwoven tetrahedrally.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35-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시간관과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추상적 사고와 성장 마인드세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me Perspectives and Smart Phone Addiction on Abstract Thinking and Growth Mindset of Adolescent)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1-32
    • /
    • 2013
  • 최근 창의성이 강조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화두가 되면서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상적 사고와 마음가짐의 특성인 마인드세트를 중심으로 시간관과 스마트폰 중독이 어떻게 두 가지 요인들과 관련을 가지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441명의 초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정도, 현재쾌락적 시간관, 미래지향적 시간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후, 집단 간 추상적 사고수준을 측정하는 행동정체성척도(BIF)와 마인드세트가 어떻게 다른지 기술한다. 또한,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문제해결력에 도움이 되는 추상적 사고와 성장 마인드세트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대안을 시간과 계획 관점에서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