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 data analysis tool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7초

공학교육 빅 데이터 분석 도구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Big Data Analysis Tools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윤영;김재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22-35
    • /
    • 2023
  •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remarkably, it has become possible to analyze various types of large-volume data generated at a speed close to real time, and based on this, reliable value creation has become possible. Such big data analysis is becoming an important means of supporting decision-making based on scientific fig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ig data analysis tool that can analyze large amounts of data generated through engineering education. The task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atabase is designed to store the information of entries in the National Creative Capstone Design Contest. Second, the pre-processing process is checked for analysis with big data analysis tools. Finally, analyze the data using the developed big data analysis tool. In this study, 1,784 works submitted to the National Creative Comprehensive Design Contest from 2014 to 2019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top 10 words through topic analysis, 'robot' ranked first from 2014 to 2019, and energy, drones, ultrasound, solar energy, and Io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This result seems to reflect the current core topics and technology tren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seems that due to the nature of the Capstone Design Contest, students majoring in electrical/electronic, computer/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ing, and chemical/new materials engineering who can submit complete products for problem solving were selec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reflect industry and technology trend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related to engineering education can be used as a means of preparing preemptive countermeasures in establishing education policies that reflect social changes.

빅데이터 분석도구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ools for Big Data Analysis)

  • 김도관;소순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116
    • /
    • 2016
  • 오늘날 빅데이터 분석은 새로운 고객의 니즈를 추적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다양한 사이트들은 각각의 서비스 유형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석결과를 제시해주고 있다. 때문에 마케팅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할 때는 각각의 사이트가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유형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의 분석 결과와 유형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PDF

빅데이터 분석 도구 R을 이용한 비정형 데이터 텍스트 마이닝과 시각화 (Text Mining and Visualization of Unstructured Data Using Big Data Analytical Tool R)

  • 남수태;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199-1205
    • /
    • 2021
  • 빅데이터 시대에는 단순히 데이터베이스에 잘 정리된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 생성되는 웹 문서, 이메일, 소셜 데이터 등 비정형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빅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새로운 상관관계, 패턴, 추세를 발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다.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R 언어를 이용하여 비정형 논문 데이터를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요약과 시각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한국정보통신학회 학회지 논문 중에서 2021년 1월호-5월호 총 논문 104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결과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데이터"가 1,538회로 1위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래프 구조를 갖는 서지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온라인 탐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ing Graphic Interface for Efficient Online Searching and Analysis of Graph-Structured Bibliographic Big Data)

  • 유영석;박범준;조선화;이수안;김진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7-88
    • /
    • 2020
  • 최근 다양한 실세계의 복잡한 관계를 그래프의 형태로 구성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DBLP와 같은 컴퓨터 분야 문헌 데이터 시스템은 논문의 저자, 그리고 논문과 논문들이 서로 인용 관계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그래프 데이터이다. 그래프 데이터는 저장 구조 및 표현이 매우 복잡하므로, 문헌 빅데이터의 검색과 분석, 그리고 시각화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빅데이터를 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 즉 EEUM을 개발하였다. EEUM은 그래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연결된 그래프 구조에 따라 문헌 데이터를 브라우징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문헌 빅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관리,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EEUM을 DBLP가 제공하는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검색, 탐색 및 분석하는 할 수 있음을 시연한다. EEUM을 이용하여 모든 연구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자나 논문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여러 저자와 논문 사이의 모든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등 복잡한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의 검색 및 분석 도구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언어를 이용한 논문 데이터 시각화 (Visualizing Article Material using a Big Data Analytical Tool R Language)

  • 남수태;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6-327
    • /
    • 2021
  • 최근 빅데이터 활용은 매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대용량 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새로운 상관관계, 패턴, 추세를 발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방법들은 기존 통계학과 전산학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R언어를 이용하여 전-처리된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화 함수를 통해 분석결과를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특정 학회지 논문 중에서 29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최종 분석결과는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연구"가 743회로 1위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Types of Golf Tourism After COVID-19 by using Big Data

  • Hyun Seok Kim;Munyeong Yun;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70-275
    • /
    • 2024
  • Introduction. In this study, purpose is to analize the types of golf tourism, inbound or outbound, by using big data and see how movement of industry is being changed and what changes have been made during and after Covid-19 in golf industry. Method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tool, "golf tourism" and "Covid-19" were selected as keywords, and search frequency information of Naver and Daum was collected for a year from 1 st January, 2023 to 31st December, 2023, and data preprocessing was conducted based on this. For the suitability of the study and more accurate data, data not related to "golf tourism" was removed through the refining process, and similar keywords were grouped into the same keyword to perform analysis. As a result of the word refining process, top 36 keywords with the highest relevance and search frequency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is study. The top 36 keywords derived through word purification were subjected to TF-IDF analysis,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Ucinet6 and NetDraw programs, network analysis between keywords, and cluster analysis between each keyword through Concor analysis. Results By using big data analysis, it was found out option of oversea golf tourism is affecting on inbound golf travel. "Golf", "Tourism", "Vietnam", "Thailand" showed high frequencies, which proves that oversea golf tour is now the re-coming trends.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Big Data-based Medical Clinical Results Analysis)

  • 황승연;박지훈;윤하영;곽광진;박정민;김정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87-195
    • /
    • 2019
  • 최근 빅데이터 관련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처리 및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빅데이터 기술들을 임상 결과 분석에 활용하고, 임상시험 설계 최적화를 통해 보건의료분야에 투입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임상시험 기간과 비용 등을 줄일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Sqoop을 사용하여 임상 결과 데이터가 저장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HDFS에 수집하여 저장하고, 하둡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처리 도구인 Hiv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공공분야, 기업 등 각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R을 이용하여 연관성 분석을 한다.

구글 트렌드 빅데이터를 통한 바이오의약품의 시장 점유율 분석과 추정 (Analysis and Estimation for Market Share of Biologics based on Google Trends Big Data)

  • 봉기태;이희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24
    • /
    • 2020
  • Google Trends is a useful tool not only for setting search periods, but also for providing search volume to specific countries, regions, and cities. Extant research showed that the big data from Google Trends could be used for an on-line market analysis of opinion sensitive products instead of an on-site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rket shar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hibitor, which is in a great demand pharmaceutical product, based on big data analysis provided by Google Trends. In this case study, the consumer interest data from Google Trends were compared to the actual product sales of Top 3 TNF-α inhibitors (Enbrel, Remicade, and Humira). A correlation analysis and relative gap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sales-based market share and interest-based market share. Besides, in the country-specific analysis, three major countries (USA, Germany, and France) were selected for market share analysis for Top 3 TNF-α inhibitors. As a result,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imilarity were identified by data analysis. In the case of Remicade's biosimilars, the consumer interest in two biosimilar products (Inflectra and Renflexis) increased after the FDA approval. The analytical data showed that Google Trends is a powerful tool for market share estimation for biosimilars.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in market share analysis for pharmaceutical products using Google Trends big data, and it shows that global and regional market share analysis and estimation are applicable for the interest-sensitive products.

빅데이터를 통한 공격작전 승리요인 효과측정도구 개발 및 분석 : KCTC 훈련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 Measurement Tool for Victory Factors in Offensive Operations Using Big Data Analytics)

  • 김각규;김대성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30
    • /
    • 2014
  • For the key factors determining victory of combat, many works have been focusing on qualitative analyses in the past. As military training paradigm changes along with technology developments, demands for scientific analysis to prepare future military strength increase regarding military training results, and big data analysis has opened such possibility. We analyze the data from KCTC (Korea Combat Training Center) training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ed victory in offensive operations. In this context, we develop a way to measure the victory and the factors related to it from existing studies and military doctrines. We first identify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offensive operations through variable selection and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to explain combat victory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also verify our results with battalion-level live training data as well as previous studies on victory factors in the military doctrines.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키워드에 관한 조망 (An Insight Study on Keyword of IoT Utilizing Big Data Analysis)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6-147
    • /
    • 2017
  •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베이스에 잘 정리된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모바일 환경에서 생성되는 웹 문서, 이메일, 소셜 데이터 등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 대부분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방법들은 기존 통계학과 전산학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2011년 이래로 가장 주목받는 신기술로 지목해오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업들은 빅데이터의 적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소셜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 8일 시점 1개월 기간을 설정하여 "사물인터넷" 키워드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 키워드에 대한 1위 연관 검색어는 기술(995)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