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 carotene

검색결과 674건 처리시간 0.234초

Tocopherol and Carotenoid Contents of Selected Korean Cooked Combination Foods Consumed by Young Korean Children

  • Kim, Young-Nam;Giraud David W.;Driskell Judy A.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323-329
    • /
    • 2006
  • To more accurately estimate vitamin A and vitamin E intake of Koreans, food composition databases of the tocopherol and carotenoid contents of Korean foods are needed. In this study, the tocopherol $(\alpha-,\;\gamma-,\;and\;\delta-)$ and carotenoid ($\alpha-carotene,\;\beta-carotene,\;\beta-ctyptoxanthin$, lutein, and zeaxanthin) contents of 12 Korean cooked combination foods commonly consumed by children in Kwangju, Republic of Korea, were determined using reversed-phase HPLC. All samples were obtained from 3 different households in Kwangju during summer, 2005. All cooked foods in this study had detectable quantities of $\alpha-tocopherol,\;\gamma-tocopherol$ except for shoegogimugook, and $\delta-tocopherol$ except for myulchibokkeum Doejigogibokkeum had the highest $\alpha-tocopherol$ content (0.64 mg/l00 g edible portion), and $\gamma-tocopherol\;and\;\delta-tocopherol$ contents of gimbab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ods (1.01 and 0.26 mg/l00 g edible portion). $\beta-carotene$ was found in all food samples. Gimbab had the highest contents of $\alpha-carotene,\;\beta-carotene$, and lutein among Korean cooked combination foods (158.3, 266.6, and $375.4{\mu}g/100g$ edible portion). Miyukgook contained only $\beta-carotene$ ($2.5{\mu}g/100g$ edible portion). Considerable sample-to-sample variability in tocopherol and carotenoid compositions were observed in several Korean cooked combination foods included in this study. Some of these carotenoids $(\alpha-carotene,\;\beta-carotene,\;and\;\beta-cryptoxanthin)$ are vitamin A precurs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valuable for use in Korean databases as well as nutrient consumption research for vitamin A and vitamin E.

저장조건에 따른 신선초 생즙의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의 함량 및 항산화능의 변화 (Changes of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eiskei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 박원봉;김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5-379
    • /
    • 1995
  • 신선초 생즙에 들어있는 ${\beta}-Carotene$, vitamin C, 불포화지방산의 함량과 생즙의 항산화능이 보관온도 및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생즙을 $-18^{\circ}C{\sim}35^{\circ}C$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beta}-Carote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8^{\circ}C$에서 파괴율이 가장 낮았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파괴율이 점점 커지며, $35^{\circ}C$서는 67.70%가 파괴되고 색깔도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즙을 보관상 최적온도인 $4^{\circ}C$에서 $6{\sim}48$시간 보관한 후 ${\beta}-Carote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괴율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즙을 $4^{\circ}C$에서 $24{\sim}72$시간동안 보관한 후 vitamin C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른 파괴율이 ${\beta}-Carotene$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4^{\circ}C$에서 72시간동안 보관한 생즙과 냉동건조한 생즙의 지방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72시간동안 보관한 생즙과 냉동건조처리한 생즙은 신선한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지방산 조성상의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산화성분을 첨가한 linoleic $acid-H_2O$ emulsion을 1일동안 incubation시킨 결과 신선한 생즙과 24시간동안 보관한 생즙은 ${\alpha}-tocopherol$의 항산화능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48시간, 72시간동안 보관한 생즙의 항산화능은 ${\alpha}-tocopherol$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성분을 첨가하고 $2{\sim}10$일동안 incubation시켰을 때에는, 생즙의 항산화능이 ${\alpha}-tocopherol$보다 떨어지는 것을 일 수 있었다.

  • PDF

HPLC를 이용한 고추 및 고추 가공품의 비타민 A 함량 측정 (Use of HPLC for the Determination of Provitamin A Carotenoids in Red Peppers)

  • 김영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5호
    • /
    • pp.389-396
    • /
    • 1992
  • Provitamin A carotenoids($\alpha$- $\beta$-carotene lutein capsanthin) cintents in various red pepper and red pepper products were analyzed by HPLC and UV/VIS spectroscopy. The amounts of $\beta$-carotene and capsanthin were at its highest in powdered red pepper and lutein in red pepper leaves. There are little $\alpha$-carotene present in all samples analyzed. So vitamin A activity was calculated only from $\beta$-carotene content. Capsanthin and $\beta$-carotene contents of red pepper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pepper whereas lutein content of red pepper was lower than that of green pepper. whereas lutein content of red pepper was lower than that of green pepper. Vitamin A activity from colorimetric analysis was higher than that from chromatographic method and results were not generally in accordance with the vitamin A data presented in current food composition tables. Vitamin A activities in retinol equivalent(R. E. ) of green pepper red pepper powdered red pepper fermented red pepper paste and red pepper leaves were 70, 570, 1, 340, 140, 980 R. E respectively.

  • PDF

Barrett's Esophagus and β-carotene Therapy: Symptomatic Improvement in GERD and Enhanced HSP70 Expression in Esophageal Mucosa

  • Dutta, Sudhir K.;Agrawal, Kireet;Girotra, Mohit;Fleisher, A. Steven;Motevalli, Mahnaz;Mah'moud, Mitchell A.;Nair, Padmanabhan P.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011-6016
    • /
    • 2012
  • Introduction: Epidemiological studies suggest a protective role for ${\beta}$-carotene with several malignancies. Esophageal adenocarcinoma frequently arises from Barrett's esophagus (BE). We postulated that ${\beta}$-carotene therapy maybe protective in BE. Materials and Method: We conducted a prospective study in which 25 mg of ${\beta}$-carotene was administered daily for six-months to six patients. Each patient underwent upper endoscopy before and after therapy and multiple mucosal biopsies were obtained. Additionally, patients completed a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symptoms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rapy and severity score was calculated. To study the effect of ${\beta}$-carotene at molecular level, tissue extracts of the esophageal mucosal biopsy were subjected to assessment of heat-shock protein 70 (HSP70). Results: A significant (p<0.05) reduction in mean GERD symptoms severity score from $7.0{\pm}2.4$ to $2.7{\pm}1.7$ following ${\beta}$-carotene therapy was noted. Measurement of Barrett's segment also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mean length after therapy. In fact, two patients had complete disappearance of intestinal metaplasia. Furthermore, marked enhancement of HSP70 expression was demonstrated in biopsy specimens from Barrett's epithelium in four cases that were tested. Conclusions: Long-term ${\beta}$-carotene therapy realizes amelioration of GERD symptoms along with restitution of the histological and molecular changes in esophageal mucosa of patients with BE, associated with concurrent increase in mucosal HSP70 expression.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영양성분 변화 : 수분, 단백질, 지방, 아스코르브산, 베타-캐로틴 함량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 김미정;김주현;오현경;장문정;김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23-4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 한국인이 주로 많이 섭취하는 채소나 과일을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 계절 간 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4 계절에 모두 구입 가능하면서 섭취빈도가 높은 과일 4종, 채소 17종 총 21종을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구입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식품재료는 가식 부위만을 손질하여 약 30-60 g을 택하여 $-50^{\circ}C$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24시간 후 동결건조 시켜 분말로 만든 다음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영양소는 채소나 과일이 함유하고 있는 주요 영양성분으로 비타민 중 비타민 C와 베타 캐로틴(${\beta}-carotene$)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지방과 단백질 함량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한 4종의 과일은 대개 84-89%의 수분을 함유하였으며, 채소는 과일보다는 더 많은 수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한 채소 중에서는 오이가 가장 수분 함유율이 높았다. 과일 중에 사과 및 배의 경우에는 봄, 여름에 가을, 겨울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귤과 딸기는 계절별 수분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채소 중에서는 양파의 경우 여름 겨울에 봄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적었으며, 시금치는 여름에 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가을, 겨울, 봄, 여름의 순서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2. 식품별 단백질 함량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식품에서는 2% 미만이었는데, 과일은 1% 미만이었으며 채소에서는 시금치, 꽃상추, 상추, 냉이, 콩나물, 깻잎, 양송이가 1%를 넘었다. 가을철 과일인 사과, 배, 귤의 경우 봄철에 가장 단백질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금치는 겨울철에 당근은 가을철에 단백질 함량이 많았고, 깻잎은 여름과 겨울에 많았고, 상추는 봄과 겨울에 단백질 함량이 더 많았다. 3. 지방 함량을 보면, 과일의 경우 귤이 사과나 배보다는 지방이 많았으며 채소에서는 콩나물이 1%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에서 오이, 시금치, 깻잎, 풋고추, 브로콜리, 양송이는 겨울철에 더 많은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비타민의 경우, 귤은 사과나 배보다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가을과 겨울의 사과, 배, 귤에는 봄이나 여름보다는 다량의 아스코르빈산과 ${\beta}-carotene$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채소에는 과일보다는 전반적으로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을이나 겨울철의 배추나 무에는 봄과 여름철에 비해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채소의 경우에는 배추와 무만큼의 뚜렷한 계절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채소 중에서는 시금치, 당근, 냉이, 깻잎, 미나리, 브로콜리가 다량의 ${\beta}-carotene$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깻잎과 당근의 함유량이 많았다. 호박, 시금치, 풋고추와 같은 채소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에 ${\beta}-carotene$ 함유량이 많으나 식품에 따라 계절별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일과 채소의 경우에 제철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주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의 함량이 더 많으며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식재료라 할 수 있는 배추와 무의 경우에 가을과 겨울에 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함유하므로 경제적으로 가격도 싼 제철에 과일과 채소를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된다.

당근의 성장과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LED 파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ED Wavelength to Enhance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s of Carrots)

  • 강선아;김민정;김봉수;박선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31-137
    • /
    • 2015
  • LED의 적색, 백색, 청색 파장의 비율을 조절한 후 당근에 조사하여 당근의 생육과 당근의 생리활성 물질인 ${\beta}$-carotene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파장을 탐색하였다. Light emitting diode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백색=8:1:1)을 조사하였을 때, 당근의 총 무게와 뿌리의 둘레길이를 증가시켰으나, 뿌리 무게나 길이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beta}$-carotene의 함량 분석에서도 LED 혼합 파장은 대조광인 형광등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beta}$-carotene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LED의 파장을 연구하기 위해 단색 파장, 적색과 청색 혼합 파장, 일반 형광등을 당근에 조사하여 ${\beta}$-carotene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15W LED 단색 파장을 조사하였을 때, 445 nm와 650 nm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445 nm=9.8, 650 nm=9.3 mg/g dried weight), 적색과 청색 혼합 파장에서는 6:4로 혼합한 혼합 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10.48 mg/g dried weight).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백색=8:1:1)은 당근의 생육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alpha}$-carotene 함량을 증가시키기는 하였으나 ${\beta}$-carotene의 함량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했다. 추가적으로 당근의 생리활성 물질을 증진시키는 LED 파장을 연구하였을 때, LED 혼합 파장(650 nm : 445 nm=6:4)이 당근의 성장과 ${\alpha}$-carotene과 ${\beta}$-carotene 함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LED 청색 파장이 주황빛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인 ${\beta}$-carotene과 ${\alpha}$-carotene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는 사전연구에서 적색 비율이 높았던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백색=8:1:1)이 청색을 나타내는 적채의 anthocyanins의 함량을 높였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백색=8:1:1)에서 적색의 비율을 낮추고 청색 파장의 비율을 높였을 때(적색:청색=6:4), ${\beta}$-carotene의 함량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LED를 조사하여 작물을 재배할 경우, 재배 작물과 반대되는 색의 파장의 비율을 높여 LED의 파장을 혼합 시켜 조사하면 작물의 생리활성 물질의 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LED를 조사한 당근의 생육 및 색도, 생리활성 물질 함량에 대해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가 후에 당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Variation in Carotenoid Composition in Carrots during Storage and Cooking

  • Lim, Chae-Jin;Kim, Hyun-Young;Lee, Cheol-Ho;Kim, Yong-Ung;Back, Kyong-Whan;Bae, Jung-Myung;Lee, Shin-Woo;Ahn, Mi-J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40-245
    • /
    • 2009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carotenoid composition of carrots during storage and cooking. Analyse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harvest and 1, 2, 4, and 8 weeks after harvest. During the course of the storage, the carotenoid levels generally decreased, and this decrease was found to be greater during the first week for $\beta$-carotene (all-trans-$\beta$-carotene) and lutein, and during the second week for $\alpha$-carotene. Additionally, the amount of the $\alpha-$ and $\beta$-carotenes in carrot leaves changed slightly within the first 2 weeks of harvest when stored at $4^{\circ}C$. Specifically, the level of lutein, the main component of carrot leaves, increased from 233.8$\pm$11.7 to $346.2\pm26.7{\mu}g$/g DW during the first 2 weeks. In addition, the change in carotenoid contents was observed during the home-processing of one Korean cultivar. Carrots fried in oil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beta$-carotene ($164.3\pm6.6{\mu}g$/g DW) and $\alpha$-carotene ($50.1\pm0.4{\mu}g$/g DW), while carrots that were prepared by sauteing, pressure-cooking in water and microwaving had the second highest levels. The greatest loss of in carotenoids occurred in response to boiling in water containing 1% NaCl, braising and baking. The content of lutein increased slightly after boiling in water containing 1% NaCl ($9.3\pm0.4{\mu}g$/g DW), while a loss in lutein occurred after preparation using other home-processing methods. A cis-isomer of all-trans-$\beta$-carotene, 13-cis-$\beta$-carotene, was present in detectable amounts in all processed samples, but not in raw roots. Another isomer, 9-cis-$\beta$-carotene, was detected in carrots that were prepared by boiling, frying and pressure-cooking.

Agro-infiltration을 이용한 토마토 β-carotene hydroxylase 유전자(ChyB) 과발현 및 담배식물체의 항산화 효과 증진 (Enhanced Antioxident Effect by over Expression of Tomato β-carotene Hydroxylase Gene (ChyB) Using Agrobacterium-infiltration in Tobacco Plant)

  • 최윤정;윤경영;윤해근;서상곤;문용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67-272
    • /
    • 2011
  • ${\beta}$-carotene hydroxylase는 carotenoids의 생합성 경로에서 astaxanthin 및 zeaxanthin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이다. Astaxanthin과 zeaxanthin은 비타민 A 전구체보다 항암효과가 더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beta}$-carotene hydroxylase 유전자(ChyB)를 토마토 잎에서 분리하고 binary 벡터에 클로닝 한 후 pIG121-ChyB-tom으로 명명하였다. 토마토 ChyB 유전자를 Agrobacterium-mediated infil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생육 8주 된 담배 잎에 일시적 형질전환을 하였다. 감염 0, 1, 2, 3일 후 RT-PCR 한 결과 담배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던 ${\beta}$-carotene hydroxylase 전사체가 감염 1일 후부터 증가하여 2일 후 최대 전사량을 보이고 3일 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 후 0, 2, 3일째 담배 잎을 채취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감염 2일 후 1,1-diphenyl-pricryl hydrazyl(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대조구에 비해 약 30%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외래 유용 유전자를 원예작물에 형질전환하여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우수한 zeaxanthin 및 astaxanthin 등 oxy-carotenoids의 함유량을 증진시킨 새로운 기능성 토마토 및 다양한 원예작물의 신품종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arotenoid Intake and Esophageal Cancer Risk: a Meta-analysis

  • Ge, Xiao-Xiao;Xing, Mei-Yuan;Yu, Lan-Fang;Shen, P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911-1918
    • /
    • 2013
  • This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 of carotenoids and risk of esophageal cancer. A systematic search using PubMed,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Scopus, CNKI, and CBM (updated to 6 May 2012) identified ten articles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ith 1,958 cases of esophageal cancer and 4,529 controls. Higher intake of beta-carotene, alpha-carotene, lycopene, beta-cryptoxanthin, lutein, and zeaxanthin reduced esophageal cancer risk with pooled ORs of 0.58 (95% CI 0.44, 0.77), 0.81 (95% CI 0.70, 0.94), 0.75 (95% CI 0.64, 0.86), 0.80 (95% CI 0.66, 0.97), and 0.71 (95% CI 0.59, 0.87), respectively. In subgroup analyses, beta-carotene show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esophageal adenocarcinoma in studies locat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lpha-carotene, lycopene, and beta-cryptoxanthin showed protection against esophageal squamous cell cancer. This meta-analysis suggested that higher intake of carotenoids (beta-carotene, alpha-carotene, lycopene, beta-cryptoxanthin, lutein, and zeaxanthin)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esophageal cancer. Further research with large-sampl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better clarify the potentially protective mechanisms of carotenoid associations risk of different types of esophageal cancer.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β-카로텐과 비타민 C의 영향 (Effect of β-Carotene and Vitamin C on Chlorophyll-Induced Photooxidation)

  • 류승희;이혜숙;이영순;권태완;송영선;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6
    • /
    • 2005
  •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beta$-카로텐과 비타민 C의 역할을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과 피부조직 균질액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각각의 성분들의 조합시 일어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에서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은 고농도에서 자외선 H에 의한 광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농도의 비타민 C는 이를 억제시켰다. 갓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 농도를 참고하여 이들을 조합하였을 때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억제시켰으며 $\beta$-카로텐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다른 항산화성분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ICR mouse의 피부조직 균질액에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클로로필 a, b 및 $\beta$-카로텐의 첨 가는 광산화를 가속화시켰다. 비타민 C의 경우 5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500 ppm의 비타민 C에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을 혼합하였을 때에도 광산화가 억제되었으며 비타민 C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