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zo (a) pyrene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2초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몇가지 생리활성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 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3
    • /
    • 1994
  •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분석된 9개 시료(감잎, 들깨씨, 모과, 생강, 호두, 쑥, 칡뿌리 메밀, 수수)를 선택하여 소화효소에 대한 활성저해, 식품오염세균에 대한 항균성, 그리고 Ames 법에 의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보았다. 소화효소 활성저해를 실험한 7개시료중 모과만이 $\alpha-amylase$에 대해 97%의 활성저해를 보였고, 무경쟁저해를 나타냈다. Pretease에 대하여 모과, 감잎, 쑥은 각각 86%, 51%, 20%의 저해효과를 보였고, 이때 쑥시료는 비경쟁저해를 나타냈다. Lipase는 모든 식품에 의해 50%이상 활성화되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저해는 축합형 탄닌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9)를, protease는 총페놀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4)를 보였다. 표준물질인 tannie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catechin과 7개 식품시료의 총페놀 분획을 얻어 항균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tannic acid는 3균주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들깨, 수수, 칡뿌리는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인 반면 Salmonella enteritidis와 Streptococcus faecalis에 대해서는 시료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준물질 및 9개 식품의 총페놀 분획은 모두 Salmoni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해 돌연변이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benzo[a]pyrene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 tannic acid는 TA98의 경우 $40{\sim}80%$, TA100의 경우 $70{\sim}95%$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다. TA100에 대해 모과는 30%의, 호두는 44%의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으나 기타 식품에서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용액에 침지하여 $-3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저장 85일경과 후에도 품질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찹쌀 또는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두 원료를 혼합했을 경우에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열속도는 급속히 증가하였다.하였다. 6. 수분(水分) potential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이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에서 콩보다 인삼(人蔘)이 낮았으며,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및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인삼(人蔘)의 광합성(光合成)이 타식물(他植物)보다 낮은 것은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 수분(水分) potential이 낮은 것과도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1g\;/\;\ell$ 이였으며, White+NAA $4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1g\;/\;\el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후

  • PDF

증숙 발효 공정에 의한 파삼의 진세노사이드 전환 수율 증진 (Enhancement of Ginsenosides Conversion Yield by Steaming and Fermentation Proces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 최운용;임혜원;최근표;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3-230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using steaming and fermentation proces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For increase in contents of Rg2, Rg3, Rh2 and CK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a steaming process was applied at $90^{\circ}C$ for 12 hr which was followed by fermentation process at Lactobacillus rhamnosus HK-9 incubated at $36^{\circ}C$ for 72 h. The contents of ginsenoside Rg1, Rb1, Rc, Re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steaming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process but ginsenoside Rg2, Rg3, Rh2 and CK increased after process. It was found that under the steaming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process, low molecule ginsenosides such as Rg2, Rg3, Rh2 and CK were increased as 3.231 mg/g, 2.585 mg/g and 1.955 m/g and 2.478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alpha}$]pyrene in extracts of the low quality fresh ginseng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11 ppm but it was 0.22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This result could be caused by that the most efficiently breakdown of 1,2-glucoside and 1,4-glucoside linkage to backbone of ginsenosides by steaming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steaming process and fermenration process can increase in contents of Rg2, Rg3, Rh2 and CK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메밀 Flavonoids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지질대사 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메밀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연구- (Studies on Antimutagenic and Lipotropic Action of Flavonoids of Buckwheats -Desmutagenic Activity of Buckwheat Leaf Extracts)

  • 함승시;최근표;최용순;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703
    • /
    • 1994
  • In spore rec-assay using B. subtillus H17(rec) and M 45(rec) , the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leaves showed antimutagenicity in condition of low concentrations, but its did comutagenicity in condition of high concentrations. In Ames test, the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leaves reduced the mtabenicity of N-methyl-N' -nitro-N-nitrosoguaidine (MNNG), benzo (a) pyrene(B($\alpha$)P), 2-amino-fluorene(2AF), and 3-amino -1, 4-dime-thyl-5-H-pyrido(4, 3-b) indol(Trp-P-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by hex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Among Them hex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n the mutagenicity of B($\alpha$)P, and so did chloroform fraction on the mutagenicity of MNNG in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To elucidate the antimutagenic mechanism of the ethanol extract, it was mixed and co-incubated with various metagens, S9 mix, and the bacteria with different experimental orders and different reaction times. The ethanol extract did not affect reversion rate of pre-mutated. S.typhimurium. However, when the ethanol extract was added to the mutagens before their interaction with S.typhimurium , it reduced the mutation rate to 152$\pm$12-273$\pm$18 colonies/plates in case of MNNG, and 135$\pm$13-195$\pm$10 colonies/ plates in case of B($\alpha$)P), showing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 PDF

발암성 화학물질들이 Herpes Simplex Virus의 복제, 세포융해, DNA 합성 및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hemical Carcinogens on the Replication, Cytolyticity, DNA Synthesis, and Protein Expression of Herpes Simplex Virus in Viral Infected Cells)

  • 천연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3-222
    • /
    • 1992
  • Benzopyrene (BP), 7,12-dimehyl benzanthracene (DMBA), nitrosomethyl urea (NUMU) 및 nicotine과 같은 발암성 화학물질들이 바이러스 감염된 vero 세포의 단층 세포 배양에서 I형 단순성포진 바이러스 (HSV-1)의 복제, 세포융해, DNA합성 및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1. BP와 DMBA는 HSV-1의 복제와 세포융해작용을 유의성있게 억제하였으나 nicotine과 NMU는 별로 억제하지 않았다. 2. 모든 발암성 화학물질은 바이러스의 DNA합성을 억제하지 못하였지만 새로 합성되는 후손바이러스 DNA로 부터 표현되는 gamma 단백질의 표현은 BP와 DMBA에 의해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모든 발암성 화학물질은 바이러스의 alpha 및 beta 단백질의 합성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발암성화학물질이 존재하고 있는 배지내에서 새로 합성되는 바이러스의 DNA로 부터 표현되는 gamma 단백질의 결함이 있음을 알 수가 있었으며 이같은 개념은 발암화학물질의 존재하에서 바이러스의 DNA와 단백질이 거의 정상적으로 합성됨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의 복제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뒷받침해주고 있다.

  • PDF

초고압 증숙처리가 산삼배양근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Pressure and Steaming Extraction Processes on Ginsenosides Rg3 and Rh2 Contents of Cultured-Root in Wi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최운용;이춘근;서용창;송치호;임혜원;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0-276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h2 and Rg3 using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in wild cultured-Root in wild ginseng. For selective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 ultra high extraction was applied at 500MPa for 20 min which was followed by steaming process at $90^{\circ}C$ for 12 hr. It was revealed that contents of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complex process described above, whereas contents of ginsenoside Rh2 and Rg3 were increased up to 4.918 mg/g and 6.115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alpha}$]pyrene in extracts of the cultured wild ginseng roots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64 ppm but it was 0.78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From th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 Rh2 and Rg3, are converted from Rb1, Rb2, Rc, and Rd which are easily broken down by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can selectively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d this process might enhance the utilization and valu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 Effects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otato on the Antimutagenesis

  • Ham, Seung-Shi;Park, Kun-Pyo;Park, Book-Kil;Deoghwan Oh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32-235
    • /
    • 199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antimutagenic effects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PEBRPs) obtained by reaction of polyphenol compouns with oxidase extracted from potato. Catechol (Ca) PEBRPs showed the strongeest inhibitor effects with 90% inhibition on benzo-($\alpha$)-pyrene(B($\alpha$)P) induced mutagenesi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but he least with40% inhibition on the 2-aminofluorene (2-AF) induced mutagenesis in TA98. The strong antimutagenic activities with 80% inhibition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100$\mu\textrm{g}$/plate of hydroquinone(HQ)-PEBRP on the B($\alpha$)P or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e(Trp-P-1) induced mutagenesis in TA98, whereas HQ-PEBRP showed the least antimutagenic effect on 2-AF-induced mutagenesis. The addition of 100$\mu\textrm{g}$ hydroxyhydroquinone(HHQ)-PEBRP to the plate led to approximately 82% inhibitory effects on 2-AF or Trp-P-1 induced mutagenesis in TA98, whereas the least antimutagenicity was obsrved in the4-nitroquinoline-1-oxide(4-NQO) induced mutagenesis in the presence of 100$\mu\textrm{g}$/plate of HHQ-PEBRP. More than 80% inhibiton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200$\mu\textrm{g}$/plate of Pyrogalol(Py)-PEBRP on the B($\alpha$)P or Trp-P-1 induced mutagenesis in TA98, but the least with 38% inhibition on 4-NQO induced mutagenesis in TA98. The results indicate that enzymatic browing reaction products of potato have a strong modulatory effect on mutagen induced mutagenesis in TA98.

  • PDF

식품중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위해성평가 (Dietary Risk Assessment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Foods)

  • 이효민;윤은경;박경아;김윤희;정소영;권기성;김명철;송인상;이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04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의 인체에 대한 위해성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PAHs의 대표독성물질인 benzo(a)pyrene의 독성을 기준으로 하는 TEFs를 적용하여, PAHs의 주요노출식품에 의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숯불구이쇠고기, 숯불구이돼지고기, 숯불구이닭고기, 햄, 베이컨, 및 식용유지 등을 대상으로 PAHs 오염도를 모니터링 한 결과 숯불구이닭고기에서 총 PAMs농도가 9.3ppb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각각의 congener들 모두 다른 식품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숯불구이쇠고기, 베이컨, 숯불구이돼지고기, 햄 및 식용유지의 총 PAHs는 각각 0.2ppb, 0.3ppb, 0.7ppb, 0.8ppb 및 1.2ppb로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다. TEFs값을 적용하여 환산된 오염도 값의 경우에서도 숯불구이닭고기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congener들의 농도를 비교했을 때 숯불구이닭고기, 숯불구이돼지고기, 베이컨, 숯불구이쇠고기 및 햄에서 모두 BaP의 농도가 각각 1.88 $\mu\textrm{g}$-TEQ$_{BaP}$/kg, 0.19 $\mu\textrm{g}$-TEQ$_{BaP}$/kg, 0.08 $\mu\textrm{g}$-TEQ$_{BaP}$/kg, 0.04 $\mu\textrm{g}$-TEQ$_{BaP}$/kg 및 0.02 $\mu\textrm{g}$-TEQ$_{BaP}$/kg로 congener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용유지에서는 dibenzo(a,h)anthracene의 농도가 0.21 $\mu\textrm{g}$-TEQ$_{BaP}$/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PHAs 주요노출식품 섭취로 인한 만성1일 인체 노출량은 4.32${\times}$$10^{-4}$ $\mu\textrm{g}$/kg/day으로 산출되었으며 선정된 식품 중에서 숯불구이 닭고기의 노출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PAMs의 초과발암 위해도는 만성1일 인체노출량과 BaP의 발암력인 7.3 (mg/kg/day)$^{-1}$을 고려하였을 때 3.44${\times}$$10^{-6}$ , 백만명당 3∼4명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대표식단을 통한 PAMs 노출량을 반영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가 추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할 것으로 사료된다.

Nanopharmaceutical Approach for Enhanced Anti-cancer Activity of Betulinic Acid in Lung-cancer Treatment via Activation of PARP: Interaction with DNA as a Target -Anti-cancer Potential of Nano-betulinic Acid in Lung Cancer-

  • Das, Jayeeta;Samadder, Asmita;Das, Sreemanti;Paul, Avijit;Khuda-Bukhsh, Anisur Rahm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4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icacies of a derivative of betulinic acid (dBA) and its poly (lactide-co-glycolide) (PLGA) nano-encapsulated form in A549 lung cancer cells in vivo and in co-mutagen [sodium arsenite (SA) + benzo[a]pyrene (BaP)]-induced lung cancer in mice in vivo. Methods: dBA was loaded with PLGA nanoparticles by using the standard solvent displacement method. The sizes and morphologies of nano-dBA (NdBA) were determined by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their intracellular localization was verified by using confocal microscopy. The binding and interaction of NdBA with calf thymus deoxyribonucleic acid (CT-DNA) as a target were analyzed by using conventional circular dichroism (CD) and melting temperature (Tm) profile data. Apoptotic signalling cascades in vitro and in vivo were studied by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ability of NdBA to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BBB) was also examined. The stage of cell cycle arrest was confirmed by using a fluorescence-activated cell-sorting (FACS) data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ize of the nanoparticles was ~ 110 nm. Confocal microscopy images confirmed the presence of NdBA in the cellular cytoplasm. The bio-physical properties of dBA and NdBA ascertained from the CD and the Tm profiles revealed that NdBA had greater interaction with the target DNA than dBA did. Both dBA and NdBA arrested cell proliferation at G0/G1, NdBA showing the greater effect. NdBA also induced a greater degree of cytotoxicity in A549 cells, but it had an in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normal L6 cells. The results of flow cytometric, cytogenetial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in mice revealed that NdBA caused less nuclear condensation and DNA damage than dBA did. TEM images showed the presence of NdBA in brain samples of NdBA fed mice, indicating its ability to cross the BBB. Conclusion: Thus, compared to dBA, NdBA appears to have greater chemoprotective potential against lung cancer.

한국인에서 Myeloperoxidase (MPO) 유전자의 -463G>A 다형성과 원발성 폐암의 위험도 (Myeloperoxidase -463G>A Polymorphism dose not Contribute to the Risk of Primary Lung Cancer in a Korean Population)

  • 박재형;박정민;김은진;윤석진;이승준;차승익;이응배;김창호;감신;김동선;정태훈;박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57-163
    • /
    • 2005
  • 목 적 : Myeloperoxidase (MPO)는 benzo(a)pyrene, aromatic amines과 같은 발암전구물질 활성화를 통해 폐암 발생에 관여한다. MPO 유전자 promoter 부위의 -463G>A 다형성은 MPO유전자의 발현량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MPO 유전자 promoter 부위의 -463G>A 다형성과 폐암 위험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 법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된 4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건강검진센타를 방문한 건강인 가운데 환자군과 연령 및 성을 match하여 무작위로 선택한 4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MPO -463G>A의 유전자형은 폐암군의 경우 GG, GA, AA형이 각각 353명(81.7%), 76명(17.6%), 3명(0.7%)이였고 대조군의 경우 각각 356명(82.4%), 72명(16.7%), 4명(0.9%)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63 AA+GA 유전자형은 -463 GG 유전자형에 비해 전체 폐암의 경우 위험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adjusted OR= 1.03, 95% CI= 0.72-1.47), 연령, 성별, 흡연력, 조직형으로 구분하였을 경우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MPO 유전자의 -463G>A 다형성은 한국인에서 폐암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야생버섯류중 항변이원성 효과의 검색 (Screening for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Wild Mushrooms in Korea)

  • 김현정;이병훈;김옥미;이갑득;이갑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88-692
    • /
    • 1998
  • 천연생리활성물질의 개발과 미이용자원의 효율적 재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3여종의 한국산 야생 버섯류를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각 시료추출물의 항변이원성 물질 검색을 시도하였다. B(a)P과 MNNG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야생버섯류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실험계를 이용하였으며 B(a)P에 대해 꽃구멍장이버섯(Polyporus dispansus), 깔때기꾀꼬리버섯(Cantharellus infundibuliformis), 진갈색주름버섯(Agaricus subrutilescens), 테미로버섯(Daedalea dickinsii), 목장말똥버섯 (Panaeolus papilionaceus) 및 턱수염버섯(Hydnum repandum) 등의 에탄올추출물에서 비교적 강한 항변이 원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경우는 B(a)P에 대해서 턱수염버섯(Hydnum repandum)이 TA100에서 가장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대부분의 시료는 낮거나 저해활성이 보이지 않았다.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야생버섯류의 에탄올추출물중 5종만 항변이원성이 관찰되었고, 물추출물의 경우는 꽃구멍장이버섯(Polyporus dispansus)이 가장 강한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버섯류는 낮거나 저해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그중 직, 간접 변이원에 대해 가장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꽃구멍장이 버섯의 에탄올추출물은 농도가 높을수록 항변이원성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