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zene ring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6초

치환 브롬화벤질류의 가용매분해반응 (Solvolysis of Substituted Benzyl Bromides)

  • 여수동;김혜령;김성홍;박병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81-587
    • /
    • 1988
  • EtOH-$H_2O, Acetone-H_2O$의 이성분 혼합용매계에서 치환 브롬화벤질류의 가용매분해반응을 $25^{\circ}C$$45^{\circ}C$에서 전기전도도법으로 연구하였다. 반응속도상수는 벤젠고리에 전자주게 치환기가 도입되거나, 물함량이 증가할수록 컸으며 전자받게 치환기로 바뀜에 따라 용매의 이온화능, Y에 대한 치환 브롬화벤젠류의 가용매분해반응의 감도, m은 연속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에 친핵도에 대한 감도는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전자주게에서 전자받게로 치환기가 변함에 따라 전이상태는 loose한 결합상태에서 tight한 상태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PES 모형과 양자역학적 해석 방법에 의한 전이상태 구조변화의 논의와도 일치하였다.

  • PDF

메탄올-물 혼합용매에서 전도도법에 의한 벤조산 및 치환된 벤조산의 해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Benzoic Acid and Substituted Benzoic Acids in Methanol-Water Mixtures by Conductometric Method)

  • 조민수;박형련;이순기;이계수;이본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6-203
    • /
    • 1991
  • 25$^{\circ}$C 때 벤조산과 메타 및 파라위치에 할로겐(F, Cl, Br)이 치환된 $pK_a$값을 메탄올-물 혼합용매(0∼80% 메탄올) 중에서 Fuoss-Kraus 식에 근거한 전도도법과 Gelb의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할로겐 치환기에 따른 벤조산의 $pK_a$ 변화를 전자받게 유도효과와 전자주게 공명효과로 복합시킨 치환기 상수(${\sigma}_1$${\sigma}_R$)로써 논의하였다. ${\sigma}_1$$D^{-1}$에 대하여 양(+)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성을 보인 반면 ${\sigma}_R$$D^{-1}$에 대하여 음(-)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를 field effect의 유전상수 의존성과 할로겐 치환기의 ${\pi}$-고립쌍 전자와 이온화 중심간의 through-space ${\pi}$-상호작용으로 해석하였다.

  • PDF

有機 할로겐 化合物과 弗化加里의 反應 (第1報) 有機 할라이드, 酸 및 에스테르와 弗化加里의 디메칠 호름아마이드 溶媒系反應 및 高溫-脫炭酸-熱分解反應 (Reaction of Potassium Fluoride with Organic Halogen Compounds. (Part I) Reactions of Potassium Fluoride with Organic Halides, Acids, and Esters in presence of Dimethyl Formamide and their Pyrolytic Decaboxylation in presence of Potassium Fluoride)

  • 김유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9-196
    • /
    • 1963
  • <디메칠호롬아마이드> 溶媒系에서 有機含할로겐化合物을 弗化加里와 反應시켜 본 結果 $CF_3COOH,\;C_3F_7COOH,\;C_2F_5COOH$와 같은 含弗素有機酸에서는 脫炭酸反應이 일어나며, 含鹽素有機酸, $CH_2ClCOOH,\; CH_3CHClCOOH,\;CHCl_2COOH $$o-Cl-C_6H_4COOH$은 一部 弗化反應이 일어나고 雙合(dimerization) 反應이 隨伴된다는 것을 究明하였다. 芳香族할라이드類에서는 反應度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芳香環에 誘電子置換基가 두個있는 試藥에서는 主로 雙合反應을 일으켰다. 알콜 및 에스테르類는 通常的인 弗化反應을 잘 일으켰다. 같은 反應을 溶媒 使用치 않고 高溫에서 進行시켜 본 結果 雙合反應物의 收率을 增加시켰고 $o-ClC_6H_4COOH$에서는 環化物(fluorenone)을 少量生成하였다. 反應段階中의 各 試藥의 消耗및 生成에 對한 化學量的關系를 比較檢討한 結果 酸의 反應에서는 普通 脫炭酸反應보다 弗化反應이 優先 進行됨을 究明하였다. 弗化加里의 反應觸發作用및 反應機構에 關하여서는 論議하였다.

  • PDF

Tetrahomodioxa p-phenylcalix(4) arene dihexylether의 합성 및 구조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Structure of Tetrahomodioxa p-phenylcalix(4)arene dihexylether)

  • 노광현;박영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3_4호
    • /
    • pp.158-164
    • /
    • 2002
  • Tetrahomodioxa p-phenylcalix(4)arene dihexylether (C/sub 66/H/sub 68/O/sub 6/)를 합성하여 분자 및 결정 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p-Phenylphenol의 탈수, 고리화 반응으로 만든 tetrahomodioxa p-phenylcalix(4)arene을 DMF에서 NaH와 hexyl iodide를 환류시켜 합성하였다. 결정은 사방정계이고 공간군은 P2₁2₁2₁, a =9.764(2), b = 16.167(2), c = 32.994(3) Å, V=5208(1) ų, Z= 4, Dc=1.221 gcm/sup -3/이다. 직접법으로 구조를 해석하였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R 값은 2009개의 회절 반점에 대해 0.070 이었다. 이 분자는 마주 보고 있는 phenyl group 두 쌍이 거의 평행을 이루며, C-1,2-alternate conformation이고, lower rim의 1,3 위치에 hexyl 기가 치환된 비대칭 homooxacalixarene이다.

Inhibition of Phospholipase $C{\Upsilon}1$ and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Lignans and Flavans from Machilus thunbergii

  • Lee, Ji-Suk;Kim, Jin-Woong;Yu, Young-Uck;Kim , Young-Cho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0호
    • /
    • pp.1043-1047
    • /
    • 2004
  • Thirtee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CH_2Cl_2$ fraction of Machilus thunbergii as phospholipase $C{\Upsilon}1\;(PLC{\Upsilon}1)$ inhibitors.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nine lignans, two neolignans, and two flavans by spectroscopic analysis. Of these, 5,7-di-O-methyl-3',4'-methylenated (-)-epicatechin (12) and 5,7,3'-tri-O-methyl (-)-epicatechin (13) have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is plant. In addition, seven compounds, machilin A (1), (-)-sesamin (3), machilin G (5), (+)-galbacin (9), licarin A (10), (-)-acuminatin (11) and compound 12 showed dose-dependent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LC{\Upsilon}1$ in vitro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8.8 to 26.0 ${\mu}M$. These lignans, neolignans, and flavans are presented as a new class of $PLC{\Upsilon}1$ inhibitors. The brief study of th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these compounds suggested that the benzene ring with the methylene dioxy group is responsible for the expression of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LC{\Upsilon}1$.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inhibition of $PLC{\Upsilon}1$ may be an important mechanism for an antiproliferative effect on the human cancer cells. Therefore, these inhibitors may be utilized as cancer chemotherapeutic and chemopreventive agents.

A DFT Study on the Polarizability of Di-substituted Arene (o-, m-, p-) Molecules used as Supercharging Reagents dur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 Abaye, Daniel A.;Aniagyei, Albert;Adedia, David;Nielsen, Birthe V.;Opoku, Francis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3권3호
    • /
    • pp.49-57
    • /
    • 2022
  • Dur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analysis of proteins, the addition of supercharging agents allows for adjusting the maximal charge state, affecting the charge state distribution, and increases the number of ions reaching the detector thus, improving signal detection. We postulate that in di-substituted arene isomers, molecules with higher polarizability values should generate greater interactions and hence elicit higher signal intensities. Polarizability is an electronic parameter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o predict many chemical interactions. Many properties can be predicted based on charge polarization. Molecular polarizability is a vital descriptor for explaining intermolecular interactions. We employed DFT (density functional/Hartree-Fock hybrid model, B3LYP)-derived descriptors and computed molecular polarizability for ten disubstituted arene reagents, each set made up of three (ortho, meta, para) isomers, with reported use as supercharging reagents during ESI experiments. The atomic electronic inputs were ionization potential (IP), electron affinity (EA), electronegativity (𝛘), hardness (η), chemical potential (µ), and dipole moment (D). We determined that the para isomers showed the highest polarizability values in nine of the ten se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ortho and meta isomers. Polarizability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substituents on the benzene ring. Polarizabi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IP, EA, 𝛘, η, and D but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emical potential. This DFT study predicts that the para isomers of di-substituted arene isomers should elicit the strongest ESI responses.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e three isomers, especially of larger supercharging molecules, could be carried out to establish this premise.

Ferrate(VI)를 이용한 tetracycline 항생제 분해효율 및 중간생성물 연구 (Study on degradation efficiency and pathways of tetracycline by ferrate(VI))

  • 박경덕;김일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6-226
    • /
    • 2021
  • Tetractycline은 sulfonamides, penicilines 등과 함께 축산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생물질의 한 종류이다. 2011년 사료 내 항생제 투여를 금지한 이후 자가치료 및 예방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축의 체내로 투여되는 tetracycline는 주로 분뇨에 포함되어 배출되는데, 강우 등 물 순환에 따라 지표수 및 지하수로 이동하여 미생물에 독성을 일으키거나 내성균이 발생하기도 한다. Tetracycline 등의 항생물질 처리 방식으로 흡착 등 다양한 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제 중 하나인 ferrate(VI)를 이용하여 tetracycline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ferrate(VI)는 염소산화물 및 H2O2에 비해 비교적 강한 산화력을 가지며, 처리 후 발생되는 철염(Fe3+)은 독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Ferrate(VI)는 병원균 제거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난분해성 물질과 항생물질을 성공적으로 분해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적으로 제조한 potassium ferrate(VI)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중 환경에서 tetracycline를 분해하고, 분해특성 및 중간생성물 연구를 수행하였다. Ferrate(VI)는 염기성 환경에서 tetracycline 분해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pH에 따른 tetracycline과 ferrate(VI)의 이온화가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ferrate(VI)는 pH가 낮을수록 쉽게 환원되는 특징이 있으며, 염기성으로 갈수록 안정화하여 오래 잔류하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생성물 조사 결과, ferrate(VI)와 tetracycline 사이의 분해 메커니즘은 주로 OH 라디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며, hydroxylation과 amino group에서의 demethylation의 형태로 발생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반응으로 benzene ring이 깨지면서 결과적으로 CO2 및 H2O 등으로 무기물화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Z-1-에칠-2-니트로-1-부텐일-(4'-메칠)-페닐 술폰의 구조 (Structure of Z-1-Ethyl-2-Nitro-1-Butenyl-(4'-Methyl)-Phenyl Sulfone)

  • 안중태;;박경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51-354
    • /
    • 1993
  • Z-1-에칠-2-니트로-1-부텐일-(4'-메칠)-페닐 슬폰, C$_{13}$H$_{17}$NO$_4$S의 분자량은 283.4으로 a = 12.194(7), b = 7.290(4), c = 16.532(14)${\AA}$, ${\beta}$ = 103.4(2)$^{\circ}$, V = 1429.5 ${\AA}^3$, Z = 4, D$_c$ = 1.32 gcm$^{-3}$, ${\lambda}$(Mo K${\alpha}$) = 0.71069 ${\AA}$, ${\mu}$ = 2.2 cm$^{-1}$, F(000) = 600, T = 298 K으로 단사정계에 계속하여 P2$_1$/c의 공간군을 갖으며 1762rodml I > 1.0${\sigma}$(I)인 회절반점에 대하여 R=0.050이었다. 분자는 메칠벤젠고리에 결합된 S 원자와 NO$_2$기에 결합된 "치환된 부텐골격", C-C(S)=C(NO$_2$)-C으로 이뤄진 cis-형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다. 메칠벤젠고리와 치환된 부텐부분은 거의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들 자신의 분자평면으로 부터의 각각의 최대편차는 벤젠기의 C(1) 원자의 0.018${\AA}$와 NO$_2$기의 N 원자의 0.045${\AA}$이다. 부텐골격의 평면은 메칠벤젠의 평면과 88.5$^{\circ}$를 또 NO$_2$기와의 평면은 78.6$^{\circ}$를 이루고 있다. 부텐평면으로부터의 NO$_2$기의 회전은 NO$_2$기가 가지고 있는 공명구조의 기여도를 감소하여 SO$_2$기의 O(2) 원자와 NO$_2$기의 O(3) 원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반발로 그 거리가 2.8${\AA}$의 예상된 van der vaals 거리보다 긴 2.894 ${\AA}$로 되어 있다.

  • PDF

헛개나무내의 Matrix Metalloproteinase-9 활성 억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 in Hovenia dulcis Thunberg)

  • 김은호;이광수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135-141
    • /
    • 2011
  • 세포외 기질의 주요 단백질 구성요소들을 가수분해시켜 재편성(turnover)과 재형성(remodeling)에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이다. MMPs 중에서 MMP-2와 MMP-9는 catalytic domain이 fibronectin-like domain에 의해 hemopexin-like domain 부위와 떨어져 있는 점이 다른 MMP들과 다르다. MMP-9 억제제의 개발로 간암전이를 막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Hovenia dulcis Thunberg에서 MMP-9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고, 분리된 물질에 대한 MMP-9의 활성억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Ethyl acetate (EA)에 의해 용출 분리된 두개의 화합물(화합물 A, 화합물 B)과 MeOH로 용출 분리된 한 개의 화합물(화합물 C)에서 MMP-9의 활성에 저해를 보였고, $^1H$$^{13}C$ NMR, GC-MS 그리고 IR로 이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화합물 A는 hydroxyl기와 methoxyl기로 치환된 벤젠고리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catechine 계열로 추정되었으며, 화합물 B와 C는 hydroxyl기와 methoxyl기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분자내 carbonyl기를 갖고 있는 nobiletin 계열의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화합물 A는 MMP-9 활성을 1.0%농도에서 76% 억제하였으며, 화합물 B는 동일한 농도에서 66%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화합물 C는 1.0%농도에서 71%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화합물 A가 MMP-9의 활성 저해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질리덴아세톤 유도 화합물들의 곤충면역반응 억제와 살균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enzylideneacetone-derived Compounds on Insect Immunosuppress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 서삼열;천원수;홍용표;이영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5-253
    • /
    • 2012
  • 벤질리덴아세톤(benzylinedeneacetone: BZA)은 두 곤충병원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a와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에서 유래된 대사산물의 일종이다. 이 물질은 곤충의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억제하며 또한 다양한 세균이나 곰팡이에 대해 항생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물질이 갖는 비교적 높은 약해와 낮은 식물체 침투력은 효과적 농약으로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개의 서로 다른 BZA 유사체를 스크리닝하여 면역억제 및 항균활성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용해도가 높고 약해가 낮은 물질을 선발하였다. BZA의 벤젠 고리에 수산기가 붙은 유도체는 면역억제 및 항균활성이 뚜렷이 낮아졌다. 또한 BZA의 케톤기를 카르복실기로 변형하면 면역억제와 항균활성을 잃게 되었다. 그러나 BZA의 탄화수소 사슬을 짧게 하여 형성된 아세테이트 유도체인 4-hydroxyphenylacetic acid (HPA)는 면역억제와 항균활성을 잃지 않았다. 또한 HPA는 BZA 보다 고추(Capsicum annuum)에 대해 약해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낮은 약해를 유발하면서 높은 곤충면역억제와 식물병원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이는 BZA 유도체를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