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o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제강슬래그 골재의 소파블록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Steel Slag Aggregate for Artificial Armor Unit)

  • 양은익;이광교;한상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91-596
    • /
    • 2004
  • 제강슬래그 골재의 소파블록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적 재료로서의 콘크리트 물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강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해양 콘크리트의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된 콘크리트의 물성 실험은 슬럼프, 공기량,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탄성계수, 탄산화 저항성, 수화열, 동결융해, 황산염 침지, 건조수축 실험 등이다. 또한, 해양 저서생물과 해조류의 번식 및 증식에 대한 조사를 위해 생물학적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강슬래그 골재의 함유는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그리고 탄성계수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내구성 측면에서도 제강슬래그 골재의 함유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았다. 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제강슬래그 골재는 해양 저서생물과 해조류의 증식과 번식에 이상적인 재료로서 평가되었다.

분변계 스테롤을 이용한 남해안 패류양식어장(여자만과 강진만)의 퇴적물내 분변오염도 평가 (Sterols as Indicators of Fecal Pollution in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Areas (Yeoja Bay and Gangjin Bay) of Korea)

  • 최민규;이인석;황동운;김형철;김예정;김숙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37-444
    • /
    • 2013
  • Eight fecal sterols were analyzed in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shellfish farming areas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 to evaluate sewage-derived fecal pollution. The concentrations of coprostanol, a good marker of sewage-derived organic contamination, in sediments were in the range of 10-530 ng/g-dry in Yeoja Bay, and 10-190 ng/g-dry in Gangjin Bay. Coprostanol levels were markedly higher in the inner bay than in the outer bay. These levels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in urbanized bays in Korea, however, they were comparable to levels in other shellfish farming areas including Gamak Bay.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ratios of other sterols suggested that the sterols originated from sewage and plankton/benthos. Sewage was the dominant source at stations located close to the river mouth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outfalls, and plankton/benthos was the primary source in the outer b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of point sources, e.g., WWTP as well as non-point sources, e.g., riverine inputs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An Analysis on Landscape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the Bokha Stream as a Model to Restore the Degraded Urban Stream

  • Lee, Chang-Seok;Moon, Jeong-Suk;Woo, Hyo-Seop;Ahn, Hong-Gyu;Cho, Gang-Hyun;Bae, Yang-Seop;Byun, Hwa-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13-124
    • /
    • 2006
  • Landscape structure, habitat types, vegetation structure and biodiversity in the Bokha stream chosen as a reference stream were investigated to get ecolog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restoration of urban stream degraded by excessive artificial interference. Landscape structure showed a sligh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flooding. Habitat types of nine sorts were identified based on ecolog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field survey such as micro-topography,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disturbance regime, and so on. Each habitat holds specific organisms to each site. Consequently, the number of plant communities, and species of benthos and fish increased as the kinds of habitat type increase. Ordination of habitat types based on vegetation, benthos, and fish data reorganized them into three groups of pool types of two kind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connected to the water course or not and riffle one. Vegetation showed different stratific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depending on topographical position in relation to disturbance cycl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heterogeneity and biodiversity was discussed and a restoration plan was suggested in a viewpoint of vegetation.

광양만 예비 영양류 모형 (A Preliminary Trophic Flow Model for Gwangyang Bay, Korea)

  • 강윤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4-195
    • /
    • 2005
  • A preliminary quantitative model of the trophic structure in Gwangyang bay, Korea was obtained using ECOPATH and data from relevant studies to date in the region. The model integrates and analyzes biomass, food spectrum, trophic interactions and the key trophic pathways of the system. The bay model comprises 9 groups of benthic primary producer, phytoplankton, zooplankton, benthos, bivalve, pelagic fish, demersal fish and piscivorous fish. The total system throughput was estimated at $2.4\;kgWW/m^2/yr$, including a consumption of $41\%$, exports of $9\%$, respiratory flows of $24\%$ and flows into detritus of $26\%$. All of which originate from primary producers measured at $52\%$ and detritus of $48\%$. The total biomass was seen to be high compared to the levels of Somme, Delaware, Chesapeake Bays and Seine Estuary. This seems to be possibly due to artificial bivalve aquaculture and overestimation of benthos and benthic primary producer groups. The deviation can be calibrated by neglecting aquaculture and decreasing the habitat area for the groups. The trophic network of the bay shows a low level of recycling and organization as indicated by Finn's cycling index $3.3\%$, Ascendancy $3.1\;kgC/m^2/yr$ bits, Capacity $5.1\;kgC/m^2/yr$ bits and Redundancy $2.2\;kgC/m^2/yr$ bits. A high relative ascendancy of $62\%$ and a low internal relative ascendancy of $18\%$ indicate the system is not fully organized and stable towards disturbances, depending upon external connections. Although the model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with field data and calibrated further in depth, this study is the first trophic model applied to the region. The model can be a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ecosystem in a quantitative manner.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41
    • /
    • 2016
  •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고흥 남성리 패류양식장의 지형 구조와 저서생물 현장 조사 (Topographic Placement(Structure) and Macro Benthos Community in Winter for the Shellfish Farm of Namsung-ri, Goheung)

  • 조영현;김윤;류청로;이경식;이인태;윤한삼;전수경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5-183
    • /
    • 2010
  • 갯벌 패류양식장의 구조물 설치 및 지형적 공간배치에 따른 저서생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고흥 남성리 양식장의 실제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성리 갯벌양식장의 지반 경사는 약 $1^{\circ}$ 미만으로 매우 평탄하며, 육지로부터 약 150 m까지는 $\sqcup$형, 그 후는 $\sqcap$형 지반형태를 가진다. $\sqcup$형 지반은 간출시 해수를 가두고 $\sqcap$형 지반은 외해 유출을 가로막을 뿐만 아니라 내부인자로서 해수 유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작용/영향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양식장 구분 시설물로 설치된 굴 패각 망태 또는 사석의 축제 형식은 총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양식장 대기 노출 시간과 침수시간은 각각 181분과 434분이었다. (3) 수치실험결과로서 대상해역의 내습 심해파랑은 최대파고 약 0.5m로서 매우 정온한 해역특성을 가지며, 탁월 입사파향은 나로대교 하단부는 S방향, 갯벌양식장 인근은 SE, SSW, S방향으로 조사되었다. (4) 고흥 남성리 주변 해역의 입도분석결과, 퇴적물은 Gravel 0.0~5.81(평균 1.70)%, 모래 14.15~18.39(평균 13.23)%, 실트 27.59~47.15(평균 30.84)%, 점토 35.79~55.73(평균 36.19)%로 구성되어 있으며, Folk 분류법에 의해 (g)M, sM(Sandy mud), gM(Gravelly mud)로 분류되었다. (5) 2010년 1월 남성리 패류 양식장 저서생물 현황조사에서는 총 11종이 1%이상의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이 중 연체동물이 1종, 다모류가 8종, 갑각류가 2종이었다.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김정배;최병미;윤재성;나종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91-503
    • /
    • 2014
  • 본 연구는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2년 5월(이하 춘계)와 7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가로림만에서는 총 247종 $4.4m^{-2}$과 35,745개체(1,625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20종과 27,310개체(1,241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가로림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Ampharete arctica),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Euclymene oerstedi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로 구별되었고, 조립질 퇴적물(그룹 1과 2)과 혼합 및 세립질 퇴적물(그룹 3)이 우세한 정점군으로 나뉘었다. 가로림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BPI지수는 춘계와 하계에 공통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high status; normal)를 나타낸 반면, AMBI지수는 양호한 상태(good status; slightly polluted)를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로림만의 건강도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울돌목 암반조간대 부착생물상 연구 (A Survey of the Rocky Intertidal Biota in Uldolmok, Korea)

  • 박자양;임병진;이재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2-506
    • /
    • 2005
  • 2003년 11월과 2004년 4월의 2회에 걸쳐 상용조류발전소 건설 예정지인 울돌목에서 발전소 건설로 인해 야기될 주변생태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4개 지점의 주변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기존의 부착생물상 조사가 수행됐다. 울돌목 주변의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부착생물상은 서식 형태에 따라 크게 대형해조류(Macroalgae)를 포함한 고착생물, 소 이동성 부착동물, 이동성 소형 무척추동물 등으로 구분된다 부착생물상은 서식양상에 있어 각각의 정점별 특이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각기 다른 비생물학적 요인에 따라 지역 특유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간접적인 결과로 간주된다. 이같은 지역 간 생물상 차이는 조위에 따른 수직분포 분석결과 주로 중부조간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물상에 따라 대별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 PDF

생태이동통로로서의 해양어도의 설계 (Design of Ocean Fishways as Eco-movement Passages)

  • 장경수;이정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4-627
    • /
    • 2009
  • Design of ocean fishways as eco-movement passages for turbine structures, sluice structures and barrages of a environmentally-friendly tidal power system through which fish can pass are suggested. The ocean fishways comprise a plurality of fishways to allow fish to move between the sea-side and the lake-side of the barrages and turbine structures and sluice structure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inventive ocean fishways are cost effective to construct and environmentally-friendly eco-movement passages for fish and benthos to move between sea-side and lake-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urbine blades of a tidal power plant in operation.

  • PDF

Benthic Organisms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in Antarctica: Responses to Seasonal, Decadal and Long-term Change

  • Clarke, Andrew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33-440
    • /
    • 2001
  • Marine organisms in Antarctica live in an environment which exhibits variability in physical processes over a wide range of temporal scales, from seconds to millennia. This time scale tends to be correlated with the spatial scale over which a given process operates, though this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biology. The way organisms respond to variability in the physical environment depends on the time-scale of that variability in relation to life-span. Short-term variations are perceived largely as noise and probably have little direct impact on ecology. Of much greater importance to organisms in Antarctica are seasonal and decadal variations. Although seasonality has long been recognised as a key feature of polar environments, the realization that decadal scale variability is important is relatively recent. Long-term change has always been a feature of polar environments and may be a key factor in the evolution of the communities we see tod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