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jamin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2초

증강현실이 재현하는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 (The Visual communication by Augmented Reality)

  • 나소미;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07-512
    • /
    • 2016
  • 급변하는 현재에 미디어로 인해 변해가는 상황들에 대해 증강현실과 관련된 영상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특징, 매체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증강현실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이 새로워지는 것이며, 이는 즉 인터페이스의 차이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변화 시키는 것이다. 이를 현재 직면하고 있는 뉴미디어 시대에 있어서 나타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과거에 대한 연구로부터 현재의 이론적인 모방과 절충을 잘 접목시킨 철학자이자 미디어 이론가인 벤야민 (W.Benjamin), 마샬 맥루한 (M.McLuhan), 노르베르트 볼츠 (Norbert Bolz)와 장 보드리야르 (Jean Baudrillard) 이론으로 현재의 문화적 맥락 안에서 증강현실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벤야민의 「번역가의 과제」와 폴 드만, 들뢰즈, 보르헤스 (The Problem of Pure Language in Walter Benjamin's "The Task of the Translator" from the Perspectives of Paul De Man, Gilles Deleuze, and Jorge Luis Borges)

  • 김지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309-330
    • /
    • 2013
  •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pure language introduced in Walter Benjamin's "The Task of the Translator" and looks at various perspectives on this concept represented in theories of Paul De Man and Gilles Deleuze and a short story of Jorge Luis Borges. According to "The Task of the Translator," pure language is defined as a vessel of which fragments are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Just as fragments are part of a vessel, so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are fragments of a greater language, which is pure language. On the other hand, De Man, from a deconstructive criticism, says that pure language does not exist except as a permanent disjunction, which inhabits all languages as such, and that any work is totally fragmented in relation to this pure language and every translation is totally fragmented in relation to the original. While De Man consider pure language incorporeal, Deleuzian interpretation regards it as a virtual object or differenciator in relation to which the two series of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coexist and resonate. Finally in Borges's "Pierre Menard, Author of the Quixote" Menard attempt to translate Cervantes's Don Quixote identically in every detail. By showing a case in which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are the same, Borges raises a question what would take place in relation to pure language if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were identical. In Deleuze, identity and resemblance are the result of a differenciator, but in Borges, identity is a differenciator which produces differences. If we apply this logic to the last paragraph of "The Task of the Translator," we can say the interlinear version of Scriptures, as the prototype or ideal of all translation, in the form of which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must be one, is a differenciator, an endless difference-making machine.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 : 심미적 진정성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 Aesthetic authenticity)

  • 류도향
    • 철학연구
    • /
    • 제145권
    • /
    • pp.45-69
    • /
    • 2018
  • 이 글은 포스트휴먼이 단순히 과학기술의 효과가 아니라 인문학의 이념에 의해 제약될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을 성찰하는 한 가지 시도이다. 필자는 휴머니즘 또는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cism)의 시각에 갇힌 근대성을 넘어선 새로운 인간에 대한 물음이 두 가지 의미에서 비판적으로 제기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포스트휴먼은 근대의 계몽적 주체에 의해 억압된 타자인 신체, 감성, 자연, 여성의 목소리를 회복할 수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본질이나 불변의 토대를 상정하지 않고 지금 이곳에서 비인간적인 것과 싸우면서 인간성을 보존할 수 있는가? 위 물음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필자는 근대의 계몽적 휴머니즘의 파국을 각기 다른 경로를 따라 동시에 겪었던 하이데거(M. Heidegger, 1889-1976), 벤야민(W. Benjamin, 1892-1940), 아도르노(Th. W. Adorno, 1903-1969)와 대화를 시도한다. 세 철학자는 근대 휴머니즘과 기술문명이 초래한 비인간적 세계상황을 목도하면서 계몽적 주체의 타자인 예술과 예술작품으로부터 인간 이후의 인간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필자는 세 철학자가 주장한 새로운 인간상을 '끊임없이 탈존하는 인간'(하이데거/ 2장), '신경감응을 통해 타자와의 유사성을 회복한 인간'(벤야민/ 3장), '비인간적인 사회를 규정적으로 부정하는 인간'(아도르노, 4장)으로 특징짓고, 각각의 현재성을 검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4차산업혁명 시대가 인간의 감각, 충동, 무의식에 이르기까지 세계 전체를 더욱더 촘촘히 관리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시스템으로 전개되는 한, 포스트휴먼시대 인간다움의 필요조건이 '심미적 진정성'(${\ddot{a}}sthetische$ $Authentizit{\ddot{a}t$)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세계의 인쇄인들 -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9권5호
    • /
    • pp.112-113
    • /
    • 2010
  • 인쇄업을 천직으로 알고 평생을 한길만을 가신 분들도 많지만 인쇄업을 하다가 다른 직업을 선택해 성공한 사람들도 많다. 그들의 인생에서 인쇄가 차지하는 부분은 그리 크지 않았을 지라도 인쇄와 함께 했던 시간들은 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고에서는 ‘세계의 인쇄인들’이라는 코너를 마련해 인쇄업을 했던 위인들을 찾아 그들의 삶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