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t pulp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ffect of Source of Dietary Fiber and Starch on Ileal and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 Wang, J.F.;Wang, M.;Lin, D.G.;Jensen, B.B.;Zhu, Yao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40-1046
    • /
    • 2006
  • Studies were carried out with a repeated $4{\times}4$ Latin square design with eight cannulated pigs fed four experimental die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and starch sources on apparent ileal and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Each period lasted 15 d, with diet acclimation from d 1 to 7, feces collection for 48 h on d 8 to 9 and ileal sample collection for 12 h on d 13 to 15. The four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mainly of cooked rice with the addition of protein sources (CON), partial replacement of cooked rice with either potato starch (PS), sugar beet pulp (SBP) or wheat bran (WB). Chromic oxide was used as an indigestible marker. With the exception of histidine, lysine and tryptophan,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between diets. The inclusion of potato starch did not affect the ileal and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comparison with diet CON, a decreased (p<0.05) ileal digestibility of histidine was found in pigs fed diet SBP, while the ileal digestibilities of histidine, lysine and tryptophan were decreased (p<0.05) by the inclusion of wheat bran. Inclusion of fiber sources (sugar beet pulp and wheat bran) caused a reduction (p<0.05) in the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the net disappearance of amino acids in the large intestine. Of the indispensable amino acids, there was a 'net synthesis' for methionine in the large intestine of pigs when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dietary fiber. The decrease in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indicates an increase in the synthesis of bacterial protein in the large intestine.

버섯 생산량에 의한 배지 소요량 추정 (Estimate of Substrate Requirement by Mushroom Production Amounts)

  • 장현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159-171
    • /
    • 2009
  • Required total substrates amounts for mushroom production are 212,186M/T in Korea. 80% of these total substrates amounts, 169,748 M/T is used for main substrates. Also 20%of these total substrates amounts, 42,438 M/T is used for additives. Main substrates 169,748 M/T is composed of sawdust, waste cotton, cotton seed hull, straw and com cob etc.. Additives 42,438 M/T is composed of rice bran, wheat bran and beet pulp etc. In the mushroom management, the cost of substrates purchase is composed for the most of management. Substrates amount is limited to supply, and the demand of mushroom substrates is on the increase continuously. So there is nothing but the cost of substrates are raising.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must develop the cheap substrates for the mushroom production.

Comparison of Rabbit Caecal Content and Rabbit Hard Faeces as Source of Inoculum for the In vitro Gas Production Technique

  • Bovera, Fulvia;D'Urso, Simona;Di Meo, Carmelo;Piccolo, Giovanni;Calabro, Serena;Nizza, Antonin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649-1657
    • /
    • 2006
  • In order to find an alternative source of inoculum to caecal content for studying the fermentation activity of rabbit hindgut, caecal content and faeces of 25 hybrid Hyla rabbits were used as inocula for an in vitro gas production trial. About 1 g of three substrates (dehydrated alfalfa meal, dehydrated beet pulp, barley) was weighed, in quadruplicate per inoculum, in 120 ml bottles; 75 ml of anaerobic medium and 4 ml of reducing solution were added and bottles were placed at $39^{\circ}C$. Caecal content and faeces were diluted respectively 1:2 (CI) and 1:8 (FI) with anaerobic medium and were introduced in the respective bottles (10 ml). Gas production was recorded 20 times at 2-24 h intervals throughout fermentation (96 h).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e. degraded organic matter, OMd; potential gas production, A; fermentation rate, Rmax; time at which it is reached, Tmax; pH, volatile fatty acid, VFA) were studied by inoculum and feedstuffs. The feedstuffs, according to their chemical composition, showed very differen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OMd, A and Rmax allowed feedstuff classification as follows: barley>beet pulp>alfalfa. The inocula differ (p<0.05) in Tmax, were higher for CI (15.53 vs. 11.96 h) and in VFA production. In particular, CI produced higher levels of acetate (38.9 vs. 33.4 mM/g OM incubated, p<0.01) and isobutyrate (0.72 vs. 0.42, p<0.01) but less propionate (7.1 vs. 10.3, p<0.01) and butyrate (11.3 vs. 14.0, p<0.01). However, the trend of gas production, similar for the inocula according to the fermented substrate, and the good regression equation to estimate some caecal fermentation parameters from faeces suggest that, after standardisation, the faeces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inoculum for gas tests in rabbit.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시 배지 살균 조건에 따른 균사생장 및 자실체 생육 비교 (Comparison in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According to Sterilization Condition of Substrate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 이윤혜;조윤정;지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9-103
    • /
    • 2002
  •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시 살균 온도 및 시간에 따른 배지의 pH와 수분함량 변화, 균사생장 및 자실체 생육 등을 비교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시험의 품종은 춘추 느타리 2호와 수한느타리 1호이고 시험배지는 미루나무톱밥 + 폐면 + 비트펄프(40 : 40 : 20%, v/v)와 미루나무톱밥 + 면실피 + 비트펄프(40 : 40 : 20%, v/v)를 사용하였다. 살균 후 배지의 수분함량은 폐면 혼합배지는 저온 살균에서는 1.8% 증가한 반면 면실피 혼합배지는 저온 살균에서 4.1% 감소하였고, 상압 살균과 고압 살균처리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pH는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감소량이 많아 저온 살균($60^{\circ}C$, 12시간)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상압 살균 ($100^{\circ}C$, 6시간) 보다 고압 살균 ($121^{\circ}C$, 90분)에서 감소량이 많았다.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일수는 저온 살균에서 균사밀도는 가장 낮았으며 배양일수도 가장 길었다. 2주기까지의 수량은 춘추느타리 2호는 폐면 혼합배지의 저온 살균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며 그 밖의 처리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생물학적 효율은 면실피 혼합배지를 고압 살균했을 때 96.6%로 가장 높았다. 수한느타리 1호는 면실피 혼합배지의 상압 살균 처리에서 각각 수량 259.1g/pot, 생물학적 효율 94.9%로 가장 높았다. 또한 춘추느타리 2호는 균사 배양 완료 후 배지 경도와 수량과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이며 수한느타리 1호는 배지경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으면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시 첨가제 및 첨가량이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According to Additives and Mixing Ratio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 이윤혜;조윤정;김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4-108
    • /
    • 2002
  •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의 첨가제 및 첨가량에 따른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특성을 비교하여 적정 배지를 개발하고자 기본배지로 미루나무톱밥과 야외발효를 한 폐면을 부피비로 동량 혼합한 후 첨가제는 미강, 비트펄프, 면실박을, 첨가량은 10, 20, 30%로 각각 혼합하여 시험한 결과 배지의 pH와 총탄소량은 처리별 큰차이 없으나 총질소량이 면실박 첨가구에서 높아 이에 따라 C/N율이 낮아졌다. 균사배양 완류 후 배지 경도는 미강 첨가구에서 $22.9{\sim}37.9kg/cm^{2}$로 가장 높았으나 비트펄프는 $9.3{\sim}11.6kg/cm^{2}$으로 낮았으며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배양일수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재배기간이 길었고, 비트펄프 첨가구에서 $58{\sim}60$일로 짧았으며, 면실박을 20% 이상은 혼합시 균사 배양과 자실체 발생은 되나 높은 질소량에 따른 낮은 C/N율로 자실체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1주기에 대한 2주기의 수확가능한 수확율은 비트펄프 첨가구에서 $75{\sim}85%$로 가장 높아 2주기까지 안정한 수확이 가능하였고 수량 및 생물학적효율은 비트펄프 20% 첨가시 가장 높았다.

In situ 나일론백 그리고 모바일백 방법을 이용한 국내 부존사료자원의 반추가축용 사료 가치 평가 (Evaluation of non-conventional feeds for ruminants using in situ nylon bag and the mobile bag technique)

  • 백열창;최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73-83
    • /
    • 2017
  • 본 연구는 반추동물 사료로서 한국에서 생산된 부존사료자원 15종의 화학적 조성, 소화율 그리고 에너지 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반추위 그리고 십이지장 캐뉼라가 장착된 거세한우 3두(평균체중 $520{\pm}20.20kg$)를 개별 계류식우사에 공시한 후 14일의 순치기간과 3일간의 시험기간을 두었다. 실험 방법으로는 화학조성 분석법, in situ 나일론백과 모바일백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료 내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엿밥, 깻묵, 장유박 및 두유박의 조단백질 함량은 30% 이상이었다. In situ 나일론백을 이용한 사료의 분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트펄프, 맥주박, 커피박, 엿밥, 수수겨, 임자박, 라면박 및 두유박의 반추위 미분해 단백질 함량은 50% 이상이었다. In situ 모바일백을 이용한 사료 내 가소화 영양소총량(TDN)의 분석은 비트펄프, 맥주박, 막걸리박, 수수겨, 깻묵, 라면박, 미강, 장유박, 비지, 두유박 및 밀기울이 50% 이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요약하자면, 상기 부존사료자원은 배합사료 또는 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사료자원으로서의 높은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은 부존사료자원의 화학적 조성, 소화율 및 에너지 가를 반추동물 섬유질배합사료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사료효율 향상, 사료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양돈용 발효사료의 발효조건 설정 연구 (Establishment of Produc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Feed for Swine)

  • 조성백;김동운;양승학;박규현;최동윤;유용희;황옥화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7-144
    • /
    • 2012
  • 본 연구는 유산균과 효모로 구성된 혼합 생균제를 양돈 사료에 첨가하여 양돈용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 구명 및 발효사료 급여에 의한 돼지 장내 환경변화를 평가하고, 원료사료별 발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양돈 발효사료의 유산균과 효모 수를 측정하였을 때 사료 내 혼합 생균제 첨가수준은 0.25%, 수분 함량은 40~50% 정도가 적정하였다. 2. 비육돈에 발효사료를 급여하였을 때가 발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보다 소화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분 중 휘발성지방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양돈용 단미사료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지방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비트펄프와 타피오카가 우수한 발효기질로 확인되었다.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병재배시 분쇄 열매탈과팜이삭(PEFB : Palm Empty Fruit Bunch)의 비트펄프 대체효과 (Substitution effect of PEFB(Palm Empty Fruit Bunch) for beet pulp in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 강민구;김우현;박준홍;김승한;박석희;우진하;최성용;박소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6
    • /
    • 2014
  • 느타리버섯 병재배용 재료중 비트펄프를 대체하기 위해 열매탈과팜이삭(PEFB)를 6, 8 mm 형태의 펠렛으로 성형한 후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5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느타리버섯을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한1호의 경우, T1 78.8 g, T2 90.6 g, T3 76.0 g, T4 88.6 g, T5 55.4 g으로 대조구인 T1보다 T2, T4처리구에서 수량이 많았다. 춘추계통의 김제5호의 경우, T1 111.6 g, T2 139.8 g, T3 133.47 g, T4 126.8 g, T5 136.2 g으로 T2, T5처리구에서 수량이 많았다. 위 시험결과를 종합해볼 때, 열매탈과팜이삭(PEFB)를 비트펄프로 대체하여 느타리버섯 재배에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꽃송이버섯(Sparassis latifolia) 생육배지 조성에 따른 재배특성 및 수량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parassis latifolia depend on the substrate mixture)

  • 허병수;최규환;조영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68
    • /
    • 2022
  •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육성한 꽃송이버섯 '너울'의 표준 생육배지 구명을 위해 톱밥과 첨가물의 종류, 배합비를 달리하여 재배특성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톱밥 종류에서는 낙엽송 처리가 재배일수 97일로 가장 짧았으며 수량 역시 143.6 g으로 우수함에 따라 꽃송이버섯 재배에 적합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첨가물 선발시험에서는 수량이 밀기울 처리에서 116.6 g으로 가장 많았고, 수율 역시 밀기울 처리에서 53.1%로 가장 높음에 따라 꽃송이버섯 생산에 적합한 첨가물로 밀기울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낙엽송 톱밥:비트펄프:밀기울을 이용한 배합비 조성에 따른 시험 결과, 수량은 80:15:5와 85:10:5 처리에서 각각 114.4 g, 111.4 g이었고, 수율은 85:10:5 처리에서 52.5%, 80:15:5 처리에서 51.8%였으나 수량과 수율에서 두 처리간의 통계상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생산에 적합한 표준 생육배지로는 낙엽송 톱밥:비트펄프:밀기울을 이용한 80:15:5 또는 85:10:5 배합비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꽃송이버섯 재배에 적합한 C/N율은 184~223 수준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배지의 C/N율이 105 이하일 때는 발이가 어려움에 따라 꽃송이버섯 재배에 있어서 배지 pH 외에 배지의 C/N율 역시 발이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eet pulp as soluble fiber source and dietary energy levels for growing pigs under heat stress

  • Yo Han Choi;Ye Jin Min;Da Yeon Jeon;Hyun Ju Jin;Yong Dae Jeong;Hyun Ju Park;Abdolreza Hosseindoust;Sang Hun Ha;Jun Young Mun;Jin Soo Kim;Jo Eun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989-1001
    • /
    • 2023
  •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and energy levels administered during two growing periods (d 0-28 and d 29-56) for pig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 total of 96 growing pigs were used in six treatments as: Two treatments in thermoneutral temperature (21℃-24℃) with dietary energy of 3,300 and the inclusion of high or low fiber, two treatments in heat stress (30℃-34℃) with dietary energy of 3,300 and the inclusion of high or low fiber, and two treatments in heat stress with dietary energy of 3,450 and the inclusion of high or low fiber. Among standard energy level treatments, heat-stressed pigs showed lower average daily gain (ADG), feed intak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gross energy,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in phases 1 and 2. Moreover, higher concentrations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 short-chain fatty acid (SCFA) in feces were shown in pigs fed high fiber diets. There was a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dietary fiber and energy for the fecal concentration of isobutyrate in phase 1 and valerate in phase 2. Pigs in heat stress treatments showed a higher rectal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hair cortisol, plasma zonulin, and fecal lipocalin-2. Among heat stress treatments, the overall ADG was increased in pigs fed high fiber. Pigs fed high dietary fiber showed a greater concentration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 SCFA. High fiber treatments decreased plasma zonulin. In conclusion, the inclusion of beet pulp, soluble fiber, at the level of 4% looks necessary in pigs diet during heat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