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f tallow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2초

정상 또는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서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이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Hypolipidemic Effects of Peptide Fractions of Casein on Serum Lipids in Rats Fed Normal or High Fat Diet)

  • 오주환;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3-2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이 정상 및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서의 혈청 및 조직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섭취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상 지방식이 (7% soybean oil & cholesterol-free; Expt I)를 섭취한 흰쥐는 정상 혈청 지질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배설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긴 하였지만 이때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군의 혈청,간조직의 지질농도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인자인 HDL/LDL비는 친.소수성 펩타이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 (18% beef tallow & 1% cholesterol; Expt II)를 급여하였을 경우,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군에서 분중으로의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설량이 유의 적 (p<0.05)으로 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 고지방식이를 급여했을 때 친.소수성펩타이드 분획물군이 casein군에 비해 혈중 및 간조직 중의 지질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HDL/LDL비도 casein군에 비해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군에서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이는 고 혈증 위험요소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CL & CB)의 아미노산 조성 결과, 친.소수성 펩타이드 식이의 glycine과 methionine함량은 casein 식이의 조성과 거의 비슷한데, arginine과 lysine함량은 casein 식이의 조성과 상당히 달랐다. 또한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지는 arginine/lysine 비와 glycine/methionine 비는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 식이(CL & CB)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실험 결과와 같이 고찰해볼 때, 아미노산 조성이 혈중 및 조직 중의 지질저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고,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였다. 친.소수성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보았을 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 혈중 및 간조직의 지질함량을 저하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능한 기전으로는 분중으로의 지질 배설량을 증가시킨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섭취기간이 길어질수록 효과가 확실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의 아미노산 조성비의 차이라기보다는 펩타이드 자체의 효과임이 시사되었다.

Effects of Dietary Fat Types on Growth Performance, Pork Quality, and Gene Expression in Growing-finishing Pigs

  • Park, J.C.;Kim, S.C.;Lee, S.D.;Jang, H.C.;Kim, N.K.;Lee, S.H.;Jung, H.J.;Kim, I.C.;Seong, H.H.;Choi, Bong-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1759-1767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fat sources, i.e., beef tallow, soybean oil, olive oil and coconut oil (each 3% in feed), on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gene expression in growing-finishing pigs. A total of 72 crossbred pigs (Landrace${\times}$Large White${\times}$Duroc) were used at $71{\pm}1$ kg body weight (about 130 d of age) in 24 pens ($320{\times}150$ cm) in a confined pig house (three pigs per pen) with six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The growing diet was given for periods of $14{\pm}3$ d and the finishing diet was given for periods of $28{\pm}3$ d. The fat type had no significant effect either on growth performance or on chemical composition or on meat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Dietary fat type affected fatty acid composition, with higher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UFAs)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in the olive oil group. Microarray analysis in the Longissimus dorsi identified 6 genes, related to insulin signaling pathway, that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among the different feed groups. Real time-PCR was conducted on the six genes in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LM). In particular, the genes encoding the protein kinase, cAMP-dependent, regulatory, type II, alpha (PRKAR2A) and the catalytic subunit of protein phosphatase 1, beta isoform (PPP1CB) showed the highest expression level in the olive oil group (respectively, p<0.05, 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ype of dietary fat affects fatty acid composition and insulin signaling-related gene expression in the LM of pigs.

어유(魚油)식이에 의한 흰쥐체내의 생화학적 변화연구(II) - Lipoprotein Lipase 활성과 미토콘드리아 호흡계의 변화 - (The Study of Biochemical Changes Induced by Fish Oil Diet in Rat ( II ) - Changes in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and Structure -)

  • 하태열;정승은;임정교;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297-304
    • /
    • 1984
  • 다섯 종류의 실험유지로 고등어유, 장어유, 콩기름, 채종유 및 쇠기름을 사용하여 먹이의 10%(w/w)되는 조제식이를 2주간 휜쥐에게 시행하여, 혈장, 심장, 지방조직의 lipoprotein lipase의 활성도, mitochondrial respiration측정하고, mitochondrial membrane matrix 지질의 지방산구성을 조사하였다. Lipoprotein lipase의 활성은 혈장에서는 쇠기름군이 식물유 및 어유군에 비해 약 60%정도 높고, 지방조직에서는 거의 3배가량 높았으나, 식물유와 어유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각 군간에 mitochondrial respiration율은 심장조직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었고, 채종유군이 P/O ratio가 심장, 간장조직에서 모두 낮았고 어유(魚油)군의 간장조직mitochondrial respiration이 타조직에 비해 낮았다.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matrix분획의 지질 지방산조성은 콩기름군에서 $C_{18:2}$, $C_{20:4}$ 함량이 높고 고등어유군은$C_{22:1}$가 간장조직에서 발견되는 반면 채종유군은 동일 지방산이 심장 mitochondria에서 발견되었다.

  • PDF

Eicosapentaenoic Acid, Docosahexaenoic Acid 농축어유와 들깨유가 저지방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Concentrated Oils of Eicosapentaenoic Acid, Docosahexaenoic Acid and Perilla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a Fed Low Fat Diet)

  • 권순영;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6호
    • /
    • pp.626-636
    • /
    • 2001
  • To compare the effect of three kinds of n-3 fatty acids-eicosapentaenoic acid(EPA), docosahexaenoic acid(DHA) and perilla oil (PO)-on serum and liver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phospholipid(PL) at low fat level(5%, w/w), 4-weeks old Sprague-Dawley rats were fed with one of five different oil diets for 4 weeks. Beef tallow(BT) and corn oil(CO) was used as control for sturated or n-6 fatty acid respectively. Se겨m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TC) and phospholipid(PL) were lower in PO DHA and EPA groups than in BT and CO groups. HDL-cholesterol levels were higher in CO and PO groups than in EPA, DHA and BT groups. Liver PL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DHA and EPA groups than in CO, PO and BT groups, but liver TC and heal PL and TC concentrat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Hepatic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atidylcholine (PC)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PE), two major phospholipids in liver, reflected their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In PC and PE, total percentage own-6 series was higher in CO group than in any other groups, and that own-3 series was higher in DHA and PO groups than in EPA, CO and BT groups. Moreover, the ratio of 20 : 4/18 : 2 was lower in PO and DHA groups than in EPA, CO and BT groups. On the contrary, the percentage of C22 : 6 was lower in EPA, CO and BT groups than in PO and DHA group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n-3 series(EPA, DHA and PO) were more effective in lowering um lipids than n-6 fatty acids or saturated fatty acid. Based on the result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hepatic phospholipid, we suggest that the dietary effect of PO and DHA on antiatherogenic characteristics seems to be similar extent. In addition, the effect of EPA might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BT or CO in the view of eicosanoids production from the precursor fatty acid. These difference of hepatic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ome from other characteristics of dietary oil as well as the type of unsaturation, not from the carbon chain length or the degree of unsaturation of n-3 fatty acid.

  • PDF

식이지방 수준에 따라 n6 와 n3 계 불포화지방산이 혈장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Differential Effect of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s in Rats Fed Low and High Fat Diets)

  • 남정혜;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14-325
    • /
    • 1991
  • 식이지방의 수준에 따라 n6 와 n3 불포화지방산이 혈장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또 그 기전이 다른지를 연구하고자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에게 저지방(LF, 10% Cal)식이와 고지방식이(HF, 40% Cal)를 각각 6주동안 투여하였으며, 사용된 기름은 포화지방산 급원으로는 쇠기름, n6 linoleic acid(LA) 급원으로 corn oil, n3 ${\alpha}-linolenic$ acid(LL) 급원으로 perilla oil, n3 eicosapentaenoic acid(EPA)와 docosahexaenoic acid(DHA) 급원으로 fish oil이었다. Ultracentrifugation 방법으로 VLDL fraction을 분리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해서 화학적조성을 구하였다. Plasma cholestere 수준은 LF 와 HF 모두 n6 LA에 의해서는 오히려 증가되었고 n3 LL과 n3 EPA에 의해서는 감소되었으며, HF 에서 n3 EPA가 가장 cholesterol 저하효과가 있었다. HDL-Chol 농도는 n6 LA에 의해서 증가되었으나, HF 경우 n3 EPA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Plasma TG 농도는 n3 EPA에 의해서 가장 감소되었고 간의 lipogenic enzyme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VLDL fraction의 TG상대적양(%)이 유의성 있게 낮아졌다. 이때 LF 군에서는VLDL fraction의 apo-B의 상대적양(%)이 감소되지 않았으나 HF군에서 n3 EPA에 의해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므로 n3 EPA의 hvpotriglyceridemic effect는 간에서 lipogenesis를 억제하여 plasma VLDL로 TG 분비가 억제되었을 것이며, HF일 경우는 간에서 apo-B 생성도 억제되었다. 관상동맥성심장질환의 예방적 차원에서 평상시에도 쇠기름과 corn oil 보다는 n3 PUFA가 풍부한 들기름이나 생선을 더욱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불포화도가 다른 유지가 단식과 정상식이 흰쥐의 체중 및 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Fat and Oil Types on Weight Gain and Liver Metabolism in Fasting or Normal Diet Rats)

  • 서화중;박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1993
  • 단식 또는 기초사료를 투여한 성장기 rat 에 우지 또는 들깨유를 매일 일정량 투여하여 2일 간격으로 체중변화와 장기중량, 혈액의 생화학적검사 간조직검사를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완전 단식rat군(F)과 단식중 우지 (FT)와 들깨유(FP)를 투여한 rat군은 1일 평균 -6.2~-4.0%인 체중감소를 보이고 기초식이군 (B) 또는 기초식이에 우지 (BT)나 들깨유(BP)를 투여한 rat군은 1일 2.3~4.0%의 체중증가를 보였다. F군은 4일만에 모두 아사하였고, FT와 FP군은 6~10일 사이에 모두 아사하였다. 단식에 의한 영향으로 아사직전 이들 rat는 간중량(3.6~4.0g) serum cholesterol(70~73.2mg/㎗), serum triglyceride (6.5~7..5mg/㎗) blood glucose (76-91mg/㎗)의 현저한 감소와 GPT (117.5-186.5u), blood urea nitrogen (38~65mg/㎗)을 대폭 증가하는 특징을 가졌다. 유지시료 불포화도에 따른 영향에서 FP군은 FT군에 비해 약 2일 정도 생존일수의 감축과 serum cholesterol, serum triglyceride, blood urea nitrogen 감소를 보이나 GPT, blood glucose를 약간 증가하였다. BP군은 BT군에 비해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를 상당히 감소하고 blood urea nitrogen의 근소한 감소와 GPT는 대폭 증가하였다. Blood glucose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 검사 결과 F군은 아사직전 간실질내 염증 세포 침윤을 보이고 FT, FP군은 유지 시료의 불포화도 차이에 관계없이 아사직전 일부 rat가 염증세포 침윤, 간실질의 염증, 간세포의 손상된 모양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어떤 목적으로 단식 또는 유지만을 공급하는 무단백질 제한식이를 할 때 극심한 체중감소를 보이고 혈중 cholesterol과 trig1yceride는 크게 낮아지며 간을 포함한 모든 조직의 붕괴의 조짐으로 blood urea nitrogen이 크게 증가되고 그에 따른 간기능저하로 GPT도 크게 상승하고 rat의 경우 4~6일만에 사망하였다. 단식중이거나 혹은 정상식이내 고도 불포화 유지 (들깨유)의 섭취는 포화지방 (우지)에비해 혈중 cholesterol 과 triglyceride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GPT가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볼때 장기간 고도 불포화 유지를 다량 섭취함은 간기능을 저하 시킬 수 있음이 나타났다.

  • PDF

자주복 유어의 필수지방산 요구 및 적정함량 (Requirement of Young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for Essential Fatty Acids and Its Optimal Level)

  • 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3-361
    • /
    • 1996
  • 자주복 유어의 필수지방산 요구 및 사료중의 적정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45g의 유어를 사용하여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사육실험의 결과, 성장은 실험개시 4주부터 실험구들 사이에 차이가 보여 실험 종료시에는 $0.5\~1\%$ n-3 HUFA 실험구와 $0.5\%$ DHA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교하여 우세한 성장을 보였다(P<0.05). 또한, EPA, DHA 및 n-3 HUFA 실험구 사이에 효율성의 비교에서 EPA$1\%$ EPA실험구는 사료중에 $0.5\%$에서 $1\%$로 지방산을 증량시킴에 의해 첨가효과가 인정되었으나, DHA와 n-3 HUFA실험구는 EPA실험구와 상이하게 $1\%$ DHA실험구에서 급격한 성장의 저하와 $1\%$ n-3 HUFA 실험구에서는 성장의 정체가 나타났다. 실험기간동안에 생잔률은 $73\~93\%$의 범위로 지방산과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사료효율은 n-3 HUFA실험구와 $0.5\%$ DHA실험구에서 높았고, $1\%$ LNA실험구는 $0.5\~1\%$ EPA실험구와 $0.3\%$ DHA실험구와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유어기의 자주복은 EPA나 DHA등의 n-3 HUFA를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함이 사료되며, 사료중의 $0.5\%$ 정도의 HUFA 또는 $0.5\%$ DHA가 적정함량으로 추측된다.

  • PDF

가시오가피 열수추출물과 카르니틴 공급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and Senticosus and Dietary Carnitine on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of Rats on Hypercholesterol Diet)

  • 이승교;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5-113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y effects of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 on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of rats on hypercholesterol diet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either a hypercholesterol diet with water or a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 The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the control group (CO),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ES), and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ESC). Eleutherococcus senticosus was extracted, made into 0.5% solution, and fed to the ES and ESC groups. A 3% carnitine diet was supplied to the ESC group. Hypercholesterol diets contained 18% beef tallow and 5% cholesterol. After 4 weeks of administering these diets, serum and liver were obtained and the level of serum lipid and the activities of GOT and GPT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level of liver lipid and TBARS and the activity of GSH-Px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eight gain and FER in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ESC) was low significantly(P<0.05). 2) In the groups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ES) and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r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ESC),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both significantly low (P<0.05,P.0.01). 3) Serum GOT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P<0.05) in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ES) and in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y carnitine(ES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rum GPT activity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s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or dietary carnitine. 4) Liver triglyceride was low (P.0.05) in the group supplied wit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ESC).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other lipid composition, TBARS level, and GSH-px activity in liver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In summary, the effects of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 on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such as weight gain, FER, total serum cholesterol and liver triglyceride) were low when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dietarty carnitine were supplied simultaneously.

  • PDF

단식중인 흰쥐에서 지방섭취가 생존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Fat on Survival Metabolism of Fasting Rat)

  • 서유승;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64-671
    • /
    • 2002
  • 완전 단식군의 흰쥐(FO)와 단식중에 소기름(FT), 옥수수기름(FC), 들깨기름(FP)만을 각각 투여하고 비교하니 FO군은 대부분 6일까지 생존하고 FT, FC, FP군은 대부분 16일까지 생존하였다. 폐사 직전의 모든 흰쥐 체중은 -24.5~-25%로 감소되었다. 단식중 유지 섭취는 다소 생명을 연장하나 식이 유지 종류에 따른 생존기간과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는 괄목할 차이가 없었다. 간장과 신장 무게 변화도 체중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FO군의 혈중 총 cholesterol 농도, 중성지방 농도, 혈당은 대폭 감소되고 GPT 활성값과 BUN 농도는 상당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FC군과 FP군에서 유지의 n-6/n-3비율 혹은 불포화도 특성 차이가 총 cholesterol농도, 중성지방농도, 혈당농도, BUN농도, 단식 초기의 GPT활성도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기아사 직전의 FP군에서 GPT활성도가 FT, FC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 결론은 기아 상태의 흰쥐에 유지 단독섭취는 유지 종류에 관계없이 생존일수를 다소 비슷하게 연장하였고 n-6/n-3비율, 불포화도 특성차이가 전반적으로 단식중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료 지질원이 메기 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김경덕;김진도;임상구;강용진;손맹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45-45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3.6 g) were fed with one of the following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0% beef tallow (BT), 5% BT plus 5% corn oil (CO), 5% BT plus 5% linseed oil (LO), or 5% BT plus 5% squid liver oil (SO) as the lipid source for 5 week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vival among groups. The weight gain of fish fed the LO (high in 18:3n-3) and SO (high in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CO (high in 18:2n-6) and BT diets (P<0.05). The feed efficiency of fish fed LO and SO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BT diet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sh fed the CO diet.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SO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 and BT diets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LO diet. The 18:1n-9 of whole-body polar lipid fraction in fish fed the BT diet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fish fed the other diets. Fish fed the CO and LO diet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18:2n-6 and 20:4n-6, and 18:3n-3, than the fish fed the other diets in polar and non-polar lipid fractions, respectively (P<0.05).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20:5n-3 and 22:6n-3 were observed in the whole-body polar lipid fraction of fish fed the SO diet compared with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linseed oil and squid liver oil containing n-3 fatty acids are good dietary lipid sources for the growth of far eastern cat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