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ck

검색결과 808건 처리시간 0.029초

Are steroids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ganglion impar blockade in chronic coccydynia? a prospective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 Sencan, Savas;Edipoglu, Ipek Saadet;Demir, Fatma Gul Ulku;Yolcu, Gunay;Gunduz, Osman Haka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4호
    • /
    • pp.301-306
    • /
    • 2019
  • Background: Ganglion impar blockade is a reliabl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 used in patients with coccydynia. Our primary objective was to specify the role of corticosteroids in impar blockade. We compared applications of local anesthetic with the local anesthetic + corticosteroid combination in terms of treatment efficiency in patients with chronic coccydynia. Methods: Our study was a prospective randomize double-blind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fter randomization. The first group (group SL) was made up of patients where a corticosteroid + local anesthetic were used during ganglion impar blockade. In the second group (group L) we used only local anesthetic. We evaluated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Beck depression scale, which were employed before the procedure and in 1st and 3rd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Seventy-thre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e detected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in NRS values in the 1st month in group SL than in group L (P = 0.001). In the same way, NRS values in the 3rd mon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steroids (P = 0.0001).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Beck test, we detected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s in the 1st month (P = 0.017) and 3rd month (P = 0.021) in the SL group than in the L group. Conclusions: Ganglion impar blockade decreases pai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coccydynia and improve depression. Addition of steroids in a ganglion impar blockade is required for treatment response that should accumula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전업주부의 양육 부담과 우울감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계수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the Burden of Nurturing and Depression on Sleep Quality in Female Full-Time Homemaker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onthly Income)

  • 전민정;정나래;황태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1호
    • /
    • pp.34-42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sleep quality in female full-time homemakers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sleep disturbance with psychologic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dopted a structured survey and sequential recruitment method for randomized participation of community-dwelling full-time female homemakers.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K-PSQI),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K-BDI-II), Korean vers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K-BAI), and Korean version of the Beck Hopelessness Scale (K-BHS). The willingness-to-pay (WTP) method was selected to measure the self-evaluated monetary value of household service work.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relevant facto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 mediation model. Results: A total of 166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having poor versus good sleep quality (poor : 24.1%, n = 40 ; good : 75.9%, n = 126 ; cut-off point = 9 on the K-PSQI).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ental health status (K-BDI-II, p < 0.001 ; K-BAI, p < 0.001 ; K-BHS, p = 0.003).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indicating that depression ma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nurturing burden and sleep disturbance. The path from nurturing burden to depression may be moderated by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Conclusion: A relatively high portion of full-time female homemakers may suffer from sleep disturbance and interactions between psychologic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might determine sleep quality, suggesting the need for public health policies targeting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among full-time homemakers.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상 및 불안증상과 혈당조절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of Anxiety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to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 전병희;김현우;김희진;임명호;이석범;백기청;이경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16권2호
    • /
    • pp.95-102
    • /
    • 2008
  • 연구목적 : 당뇨병 환자들은 질환 자체에 대한 부담감과 혈당 관리를 위한 약물 및 식이요법과 운동 요법 등의 유지에 대한 부담감이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혈당조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유병율이 높으며, 이러한 우울증과 불안장애의 증상은 또 다시 혈당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울과 불안증상이 혈당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단국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에서 외래통원치료 중인 30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맥 혈액채취로 당화혈색소(Hemoglobin A1c;이하 HbA1c) 수치를 얻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Beck의 우울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이하 BDI) 및 Beck의 불안척도(Beck's Anxiety Inventory;이하 BAI)를 시행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 : 65명의 당뇨병 환자 중 경한 우울증상을 보인 환자는 27명(41.5%),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상을 보인 환자는 6명으로(9.23%) 일반 인구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다. HbA1c와 BDI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HbA1c와 BAI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567, P<0.001), 다중회귀분석에서 BAI는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beta=0.551$, T=4.912, P<0.001) BDI와 체질량지수, 당뇨병 합병증의 수 및 유병기간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인구에 비해 우울증상을 보이는 당뇨병 환자의 빈도가 높았으며, 불안증상을 보이는 당뇨병 환자의 빈도는 높지 않았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상과 혈당조절간의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불안증상과 혈당조절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울증상은 혈당조절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불안증상은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강한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우울증상의 연관성 :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s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epression Symptoms in Healthy General Population)

  • 이소희;박미나;윤대현;이영;김선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27-32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울 증상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연관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일반인 중 27,452명(남자 15,044명, 여성 12,40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의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점수를 구하고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은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6, p<0.01 ; r=-0.015, p<0.05) 여성의 경우도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9, p<0.01). 남성과 달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남녀 모두 중성지방(TG)이 높을수록,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만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혈당 조절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a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 윤대현;박진호;박민정;신찬수;조상헌;오병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1호
    • /
    • pp.47-52
    • /
    • 2006
  • 연구목적 : 우울증상은 여성에게 흔하며 적절한 혈당 조절은 당뇨병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상대적으로 흔히 발견된다. 그러나 아직 우울증과 혈당조절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과 우울증상 사이의 상호관계를 평가하려 한다. 방법: 여성 당뇨병 환자 216명을 포함한 연구 대상자 4,567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와 장기 혈당조절 지표인 $HbA_{1c}$ 수치를 측정하여 우울증과 혈당조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공복 혈당 수치와 비만도 지표인 체질량지수도 함께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당뇨병 보유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군이 유의미하게 많았고(P<0.001), Beck우울 척도 평균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 여성군에서 $HbA_{1c}$, 평균치 (p<0.01)와 공복 혈당 평균치 (p<0.05)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혈당 조절의 장애가 심할 수록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당뇨병 및 혈당 조절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향후 종적 연구를 통한 우울장애와 당뇨병간 상호작용에 대한 원인-결과론적 이해가 요구된다.

  • PDF

Beck 우울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이용한 사상인(四象人)의 심리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by using BDI and STAI)

  • 서웅;김락형;권보형;송정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6-143
    • /
    • 2000
  • 1. 연구배경 및 목적 한의학 특히 사상의학에서는 인체를 정신과 신체로 이원화하지 않고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인식되어 왔으며, 사상체질 임상에 있어서 정신의학적 측면들의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사상체질별 심리적 상태의 객관적 접근을 위하여 임상심리검사를 이용하여, 불안, 우울 성향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설문지와 임상적 진단을 거쳐 체질이 최종적으로 분류된 건강한 성인남녀 63명-남자 54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태음인 35명, 소음인 17명, 소양인 11명이었다. Beck 우울척도(BDI)와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상태불안 : S-A, 특성불안 : T-A)를 사용하여 우울과 불안의 성향을 측정하였다. 3. 연구결과 1. 상태불안척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별 불안에 대한 비교의 결과,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의 순서로 불안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음인 태음인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특성불안척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별 불안에 대한 비교의 결과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의 순서로 불안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음인 소음인 체질간과 소음인 소양인 체질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Beck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별 우울에 대한 비교의 결과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의 순서로 우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척주관협착증 환자의 Beck Depression Inventory 점수와 이와 관련된 요인들의 분석 (Beck Depression Inventory Score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 김애라;서보병;김진모;배정인;장영호;이용철;강철형;정성원;홍지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138-142
    • /
    • 2007
  • Background: Depression is a frequent comorbid disease of chronic pain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o correlate associated factors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Methods: The data of this survey was collected from 97 patients that visited our pain clinic for the manage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Depression was examined by a self-reported surve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score were also obtain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pouse status, employment status, smoking statu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multiple painful are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mbined disease, pain duration, visual analogue scale, Roland 5-point scale and walking distance) were obtained from an interview with the pati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N ($BDI{\leq}14$, n = 43) and group 0 (BDI > 14, n = 54) according to the BDI scale. Of the 97 patients, 55,7% had a high BDI score. Results: The patients in group N had a higher rate of employment (48.0%, P < 0.05) and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scale scores ($9.4{\pm}2.5$, P < 0.01) as compared to group D patients. The BDI score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Conclusions: Many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s had high BDI scores. Employment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BDI score.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정신건강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Mental Health of Registered Nurses)

  • 주정민;구애진;김성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2020
  • 연구목적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신 증상 위험의 관계를 확인하여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임상 근거를 창출하고, 신체화 증상의 의미에 대해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서울시 내 1개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70명에게 자가기입형 도구(Perceived Stress scale, Fatigue Severity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ion)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 중 12.9%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고 피로, 낮은 에너지, 생리통, 허리 통증이 나타났다. 신체화 증상과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불안한 느낌이나, 자신감의 감소는 신체화 증상의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신체화 증상이 심한 집단은 우울,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신체적 피로가 높은 집단은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통제력이 감소되는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피로 수준의 증가는 불안과는 관련이 없었고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화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 증상 중 강박과 적대감이 증가하였다. 선형회귀모형에서 스트레스, 우울, 불안은 신체화 증상을 39.3%, 신체적 피로 증상을 16.1% 설명하였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문화에서 신체화 증상의 특징으로 스트레스 인지 증상의 감소, 우울과 불안 경험, 강박 및 적대감의 동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신체화와 정신 증상은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상호관련성이 관찰되어 향후 중재 전략 마련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의 관계: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 증상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Psychiatric Patients: Mediating Effect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and Anxiety Symptoms)

  • 이혜린;김은경;최준호;박선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37-144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수면의 질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증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모호한 상황에서의 시나리오 척도(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아동기 외상설문지(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백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백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II)가 사용되였다. 162명의 자료를 기초로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Bootstrapping 분석이 실시되었다. 결 과 연구 결과,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 증상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낮은 수면의 질이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거쳐 불안 및 우울 증상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 증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우선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다른 정신과적 증상 발달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