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fort scal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9초

속초연안지점의 관측파고와 파영상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Observed Wave Height and Wave Image of Sok-cho Site)

  • 장복진;여운광;이종국;박광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9-335
    • /
    • 2007
  • 해수면의 상태를 보고 파고를 측정하는 목측은 선박이나 먼 바다에서의 파랑관측 방법으로 여전히 이용되고 있으며, 오랜 경험을 가진 숙련자의 경우에는 상당히 정확하게 파고를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목측의 표준지표로 뷰퍼트(Beaufort) 풍력계급표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지표에 설명된 해수면의 모양은 연구자 또는 일반인에게는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파고별 대표영상 등의 보다 구체적인 참고자료가 필요하다. 현대의 현장계측기술은 실시간으로 해양관측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기존의 파고 및 기상 관측시설과 함께 현장의 해상상태 영상자료까지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속초 조도동방등표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실시간해양관측 시스템에 무선영상전송장치를 설치하여 파랑자료와 영상이미지를 수집하고 유의파고별로 현장이미지를 비교 및 분류하였다. 관측된 해상상태 영상들과 뷰퍼트 풍력계급표의 해면 상태 설명과 비교한 결과 해상상태 영상자료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뷰퍼트 풍력계급표는 순수하게 목측이나 파고척을 이용하여 목측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본 연구의 결과는 정밀한 파고센서와 과학적인 해상상태 영상정보 수집으로 파고의 실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관측파고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Building Wind by Field Observation in Haeundae LCT Area, South Korea: Typhoon Omais in 2021

  • Byeonggug Kang;Jongyeong Kim;Yongju Kwon;Joowon Choi;Youngsu Jang;Soonchul Kwo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80-389
    • /
    • 2022
  • In the Haeundae area of Busan, South Korea, damage has continued to occur recently from building wind from caused by dense skyscrapers. Five wind observation stations were installed near LCT residential towers in Haeundae to analyze the effect of building winds during typhoon Omais. The impact of building wind was analyzed through relative and absolute evaluations. At an intersection located southeast of LCT (L-2), the strongest wind speed was measured during the monitoring. The maximum average wind speed for one minute was observed to be 38.93 m/s, which is about three times stronger than at an ocean observation buoy (12.7 m/s)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3 to 4 times stronger wind can be induced under certain conditions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s due to the building wind effect. In a Beaufort wind scale analysis, the wind speed at an ocean observatory was mostly distributed at Beaufort number 4, and the maximum was 8. At L-2, more than 50% of the wind speed exceeded Beaufort number 4, and numbers up to 12 were observed. However, since actual measurement has a limitation in analyzing the entire range, cross-validation wit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data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winds.

부산항 콘테이너부두에 대형 콘테이너선의 안전접안조종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onducting a large container vessel safely to the newly built container pier to get alongside in busan harbour)

  • 윤점동;윤종휘;이춘기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03-308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항에 입항하는 대형 콘테이너 선박의 안전 접안 조종을 위한 한계풍속을 설정하는데 있다. 계산결과, 정상풍속 13.5m/sec 이하의 바람에서는 예선 4500H.P.의 Z. peller 2척을 이용하여 안전 접안 조선하는데 큰 위험이 없음을 알았다. 그러나 돌풍율 25%를 포함한 강풍 16.9m/sec 이상의 기상상태에서는 선박조종이 위험하게 됨을 알았고, 돌풍율을 포함하여 풍속이 16.9m/sec 에 달하는 강풍하에서 대형 콘테이너 선박을 부득이 접안 조종할 때는 4500 H.P.Z. peller 3척으로 조선보조를 받아야 함을 알았다.

  • PDF

연료 소비 패턴 발견을 위한 컨테이너선 운항데이터 분석의 통계적 절차 (A statistical procedure of analyzing container ship operation data for finding fuel consumption patterns)

  • 김경준;이수동;전치혁;박개명;변상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5호
    • /
    • pp.633-645
    • /
    • 2017
  • 본 연구는 컨테이너선의 연료 소비 패턴의 발견을 위해 운항데이터 분석의 통계적 절차를 제안한다. 우리는 현 시점의 연료 소비를 발견하기 위해 연료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는 동시에 예측 모델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박의 데이터는 크게 운항데이터와 기기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운항데이터는 항로, 항해 정보, 대수속도, 대지속도, 바람과 같은 외력에 대한 정보 등이 있고, 기기데이터는 엔진출력, RPM, 연료 소모량, 기기들의 온도 및 압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선박에 미치는 외력의 영향을 Beaufort Scale (BFS)을 기준으로 구분한 후에 PLS 회귀분석을 통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도시하천의 바람 특성 - 서울 강남구 양재천을 대상으로 - (Wind Characteristics at Urban Stream - Case of Yangjae Stream at Gangnam-gu in Seoul -)

  • 이상정;이원보;김문성;이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201-208
    • /
    • 2012
  • Global warming due to the climate change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 (UHI), air pollutant deposition, urban heavy rainfall, etc. Urban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on mitigating UHI as open space as well as an ecological corridor in urban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ind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in the case of Yangjae Stream at Daechi-dong, Gangnam-gu in Seoul,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data we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a propellor type RM-Young wind monitor.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vailing wind direction was southwest. However, easterly wind is the prevailing one between 8:00 and 12:00. Strong wind whose Beaufort scale is four or more blew frequently from 12:00 to 18:00. In terms of seasonal frequency, the spring shows the highest frequency, then winter was the next.

Rolling Motion Spectrum 에 의한 해난 발생의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Analysis of Cause of several Capsized Sea Accidents by Rolling Motion Spectrum)

  • 윤점동;이동섭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36
    • /
    • 1989
  • Marine casualities in the high sea are mainly classified into the breakage of hull and capsize , of which the latter occurs frequently to a small craft and container vessels by extreme roll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hiphandling techniques for the prevention of ship's large rolling by way of evaluating dangerous degree of rolling in heavy weather. In this study, rolling motion is analiz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 as follow : (1) 8 sample ships is presented for calculation. (2) Analized sea state are Beaufort scale 7 and 10 (wind velocity 30kts and 50kts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wave height is put as 5.2m and 11.2m. (3) The formula recommended by International Towing Tank Conference (ITTC) is used to calculated the wave spectr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Most of the vessels with beam of 20 meters or less was found to be capized in the waves abeam under the sea condition of Bearfort scale7(30kts). (2) For the vessels range 20m to 30m was found safe under the sea conditions of Bearfort scale 7(30kts) and imminent danger under the sea condition of Beaufort scale 11(50kts). (3) It is proved that any vessel could be capsized by heavy rolling regardless of vessel's size whenever the motion is synchronized with waves abeam.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navigator, especially at night , must anticipate the exact wave direction, referring to the wether report and coastaline, not to lay the vessel in the serial wave abeam.

  • PDF

부산항 컨테이너부두에 대형 컨테이너선의 안전접안조종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onducting a Large Container Vessel Safely to the Newly Built Container Pier to get alongside in Busan Harbour)

  • 윤점동;윤종휘;이춘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7-15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항에 입항하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안전 접안 조종을 위한 한계풍속을 설정하는데 있다. 계산결과, 정상풍속 13.5m/sec 이하의 바람에서는 예선 4500H.P.의 Z. peller 2척을 이용하여 안전 접안 조선하는데 큰 위험이 없음을 알았다. 그러나 돌풍율 25%를 포함한 강풍 16.9m/sec 이상의 기상상태에서는 선박조종이 위험하게 됨을 알았고, 돌풍율을 포함하여 풍속이 16.9m/sec 에 달하는 강풍 하에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부득이 접안 조종할 때는 4500 H.P. Z. peller 3 척으로 조선보조를 받아야 함을 알았다.

  • PDF

선박의 속도저하를 고려한 냉항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On the Evaluation of Seakeeping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nominal speed loss ships in a seaway)

  • 김순갑;공길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55
    • /
    • 1996
  • This paper intends to evaluate the seakeeping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nominal speed loss of ships in a seaway. Authors calculate the nominal speed loss in the Sea State of Beaufort Scale 6, 7 & 8 and obtain each response amplitude of ship;s motion by New Strip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m. This study presents some results of the seakeeping performance by the maximum dangerouseness of ships on each sea state.

  • PDF

해상용 계측형 부표 설계 및 수치 시뮬레이션

  • 류연철;이경우;성유창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2
    • /
    • 2012
  • 현재 표준등부표의 종류는 10가지이며, 가장 작은 등부표가 4.4m로 대형인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 설치비용이 적고, 교체와 수리가 용이한 소형 등부표를 검토하였다. 상대적으로 소형인만큼 외력으로 인한 유실, 위치 이동 등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안정성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을 통해서 새로운 등부표의 운동성(Heave, pitch)을 Encounter Frequency별, Beaufort scale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한국 서해에서 상괭이(Neophocaena asiaeorientalis)의 항공 조사 타당성 (Feasibility of Aerial Surveys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off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겸준;손호선;김영혜;김두남;김현우;안두해;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66-969
    • /
    • 2013
  • Vessel-based sighting surveys for cetacean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n waters since 2000. The supporting data estimate the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however, they are insufficient because of the coverage and frequency of the surveys. A preliminary aerial survey was conducted in 2011,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 with respect to a sighting survey operated by a research vessel in order to compare effectiveness and potentiality. A total of 110.00 nautical miles of effective efforts were made with three sightings under Beaufort scale 4 in the aerial survey, while the vessel-operated survey covered 403.38 nautical miles over 7 days without any sightings under Beaufort scale 4.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ltitude in this survey was 22.7 m,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d study of 4.3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