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ches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7초

영일만 주변 해수욕장의 미소 플라스틱 분포와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Plastic Debris in the Coastal Beaches of Young-Il Bay)

  • 김삼곤;김종화;김민석;정순범;이정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2-163
    • /
    • 2000
  • Floating resin pellets including plastics were surveyed from 7 coastal beaches near Young-il Bay during summer and winter season on 1998 ~ 2000 year. Plastic fabrication materials in the survey were founded with 6 items using the following; resin pellets, plastic debris, styrofoams, cigar filters, wood pieces and charcoals. The results deduced in the areas are as follows: 1. The seasonal variability of the all debris is revealed that summer season were remarkably larger than those of winter. This is deduced it is attributed to meteorological effects, e.g, the seasonal wind strength, current vectors and resorts of crowded people for beach enjoy. And the distribution of plastic debris is Pohang Songdo $12.9ea/m^2$, Pohang Bookbu $8.8ea/m^2$, Togoo $4.9ea/m^2$, Chilpo $3.2ea/m^2$, Hwajin $1.4ea/m^2$, Wolpo and Guryongpo $0.8ea/m^2$ respectively. 2. Compared with each beaches, Songdo beach, northern part beach of Pohang city and Togoo beach have higher densities than those of the others. Especially, the highest densities of all debris were discovered in the Songdo beach of Pohang city. 3. The change of density over the whole year was similarly distributed in quantities and fabrication materials. 4. These surveys were founded that the most parts of plastic debris materials were made up with PE and PP.

  • PDF

인공해수욕장(人工海水浴場) 건설(建設)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A Fundamental Study for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Beaches)

  • 유청로;장선덕;김숭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1
    • /
    • 1988
  • 부산(釜山) 부근(附近)의 대표적(代表的)인 해수욕장(海水浴場) 3곳(광안(廣安), 해운대(海雲臺), 일광(日光))을 선정(選定)하여 해수욕장(海水浴場)의 이용실태(利用實態)와 해수욕장(海水浴場) 환경(環境)에 대한 기초조사(基礎調査) 및 이용객(利用客)을 대상(對象)으로 설문조사(說問調査)를 실시(實施)하여 파고(波高), 수온(水溫), 사질(砂質), 해저경사(海底傾斜) 등 해수욕장(海水浴場) 자연조건(自然條件)에 대한 이용객(利用客)의 만족도(滿足度)를 구하고, 이들 요인간(要因間)의 상관성(相關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이로부터 해수욕장(海水浴場) 이용객(利用客)의 만족도(滿足度)를 극대화(極大化)할 수 있는 최적조건(最適條件)으로서, 해수욕장(海水浴場) 사장(砂場)을 안락(安樂)하게 이용(利用)할 수 있는 1인당(人當) 이용면적(利用面積)의 최소(最小)값은 $10m^2$, 최대(最大) 평균파고(平均波高)는 0.7m, 최저(最低) 수온(水溫)은 $22^{\circ}C$, 사장(砂場) 모래의 평균입경(平均粒徑)은 0.5mm 전후(前後), 그리고 전빈(前濱)의 경사(傾斜)는 1/20 이하(以下)임을 밝혔다. 이들 조건을 미래(未來)의 해수욕장(海水浴場) 관리(管理), 개선(改善) 및 개발(開發)과 나아가서 인공해수욕장(人工海水浴場)의 건설시(建設時)에 고려(考慮)해야 할 바람직한 해수욕장(海水浴場)의 기본설계조건(基本設計條件)으로 제시(提示)하였다.

  • PDF

동해안 해안선과 해빈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Shorelines and Beaches on East Sea Coast, South Korea)

  • 김대식;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7-164
    • /
    • 2015
  • 본 연구는 동해안의 8개 해빈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2년 동안 지형 측량을 실시하여, 해안선과 해빈의 계절적 변화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였다. 동해안의 해안선은 계절적 변화량이 연간 변화량보다 크게 나타났고, 강원도와 경상북도 해안의 계절적 변화 양상에는 지역적인 차이가 다소 존재하였다. 동해안 8개 해빈의 계절적 변화를 종합하면, 여름철에는 해안선의 후퇴와 해빈의 침식이, 가을철에는 해안선의 전진과 해빈의 퇴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의 여러 중위도 해안의 계절적 변화 경향과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서해안 및 동해안의 선행 연구와는 대체로 일치한다. 여름철에 우세하게 발생하는 침식 현상은 태풍에 의한 폭풍파가 가장 큰 요인이며, 폭풍파에 의한 해안 침식은 늦겨울에도 잘 나타난다. 그리고 가을철에 우세한 해빈의 퇴적 현상은 여름철의 강한 침식 이후에 발생하는 해안 평형 작용의 결과로 판단된다.

  • PDF

제주도 해저 지하수 중 용존유기물질 분포 특성 (Distributio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Jeju Island)

  • 송진욱;김정현;김태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2호
    • /
    • pp.77-85
    • /
    • 2018
  • We observed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 in coastal seawater and groundwater around a volcanic island, Jeju, Korea. The sampling of surface seawater and coastal groundwater was conducted in Woljeongri, Pyoseon, and Kwakgi beaches, in three sampling campaigns (June, July, and October 2016). The concentrations of DOC in groundwater were relatively higher in June and October than in July. Salinity and DOC concentrations in the coastal groundwater of Woljeongri and Pyoseon beaches did not show a marked relationship, whereas those in Kwakgi beach showed a good positive correlation (July: $R^2=0.64$, P < 0.01; October: $R^2=0.95$, P < 0.01).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CDOM (C and M peaks) in the groundwater of Woljeongri and Pyoseon beaches, where saline groundwater discharge dominat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Kwakgi beach, wher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dominates. The relatively higher DOC concentrations in the coastal groundwater of Woljeongri and Pyoseon, with higher CDOM concentrations, seem to be mainly from anthropogenic sources such as local pollution sources (i.e., aquaculture wastewater or domestic sew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DOC in the coastal groundwater of a volcanic island, extensive stud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over a larger-area and greater time-scales using various isotopic tracers.

충남 연안의 경관생태적 지역발전 전략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and the Strategies of Regional Development on South Chung-Chong Coastal Environment)

  • 강대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6
    • /
    • 2017
  • This article is written in the viewpoint of landscape ecological geography. The coast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will make new characters of region in the development strategies program. This study is to describ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relating with it's environment based on the coast. Although landforms constitute prominent landscape features as tidal flats and rock cliff do, it is nonetheless the features such as beaches, sanddunes, and coastal plains that have various ramifications for human communities. Tidal flats, beaches and coastal sanddunes are special in that their formation is attributable to the combined action of tidal flows, waves and winds.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sand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Human impact are involved.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trade appears in regions variously. Individual regions need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Regions are not value-neutral abstract conception, but must be informal commercialized characters of region. The coast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has experienced rapid and dramatic changes. In industrial times, the middle of west coast Korea turned into a major reclamation at larger scale. Reclaimed land was based on location of industry and mechanized agriculture. The west coast highway and bridges between island and l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est coast transportation.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d, trend and value are changing. Environment and ecology emphasize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idal flats and sanddunes. The west coast region now receives attention as eco-tour and sustainable course.

국내 해안의 해빈-해안사구 지형 및 퇴적물 특성과 입도기반 사구유형 분석 (Morpho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each-dune System in South Korea, with the Possibility of a Dune Type Scheme Based on Grain-size Trend)

  • 류호상;강지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3-73
    • /
    • 2020
  • Morphology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coastal dunes should be well documented because they are critical to dune's buffering capacity and resilience against storm surges. The nationwide coastal dune survey produced the dataset, including beach-dune topographic profiles and grain size parameters for frontal beaches, foredunes, and inland dun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ataset to describe geomorphic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astal dunes: foredune slopes, dune heights above approximately highest high water, mean size, and sorting, together with associated variables of coastal setting that influence coastal dunes.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dune type scheme based on gran size tr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ast in which dunes are developed is the primary control on foredune morphology and sediment texture. Coastal dunes on the east coast were developed more alongshore rather than inland, with gentler slopes on the higher ground and out of coarser sand. The shore aspect contributes to this pattern because the east coast cannot benefit from prevailing northwesterly. Second, grain size trends from beaches through foredunes to inland dunes were little identified. Third, 12 dune types were identified from 69 dunes, showing the indicative capability for the status of beaches and dunes. We confirmed that the dataset could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oastal dune morphology and texture, though there is something to be improved, for example, establishing the refined and comprehensive field survey protocol.

제주도 이호.함덕 해빈퇴적물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Iho and Hamdeok Beach Sediments in the Jeju Island, Korea)

  • 윤정수;박용성;김태정;박상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2호
    • /
    • pp.243-252
    • /
    • 2008
  • 제주도의 주요 해수욕장인 이호와 함덕해빈에 대한 해빈단면 조사와 입도분석 연구를 통해 해빈퇴적물의 분포경향과 해빈특성을 파악하고, 폴대와 포사기 조사를 통한 계절별 해빈사의 이동방향과 이동량 및 해빈지형 변화상태를 파악하였다. 이호해빈은 중조립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총길이 590m이며, 경사는 하계 12.3$^{\circ}$, 동계 10.8$^{\circ}$로 하계가 다소 높은 편이다. 함덕해빈은 패각편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총길이 950m이며, 경사와 폭은 각각 하계 5.7$^{\circ}$, 114.5m, 동계 7.4$^{\circ}$, 97.4m이다. 해수중의 해빈 부유사의 이동량은 동계가 33.2 mg/l로 하계의 4.5 mg/l 보다 많았고 주로 북동 방향에서 해빈모래가 공급되고 있었다. 이호해빈은 해빈 동쪽에 축조된 방사제의 영향으로 모래유실에 의한 해빈변형이 일어나고 있었고, 함덕해빈은 해빈 중앙부와 애도지역에서 북서계절풍에 의한 사구쪽으로 표사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선형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한 자갈해빈상에서의 쇄파지표 예측 (A Study on the Predictions of Wave Breaker Index in a Gravel Beach Using Linear Machine Learning Model)

  • 안을혁;이영찬;김도삼;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37-49
    • /
    • 2024
  • 지금까지 쇄파는 발생기구의 본질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실내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 등의 쇄파지표 예측을 위한 많은 경험식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자갈해빈에 대한 쇄파의 특성 및 쇄파지표예측을 위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갈해빈을 대상으로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의 예측을 위하여 회귀 또는 분류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예측 성능을 보이는 대표적인 선형기반 기계학습기법에 기반한 쇄파지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갈해빈에 대하여 기존에 제안된 쇄파지표의 경험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기존의 경험식의 자갈해빈의 쇄파지표 예측성능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형기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쇄파지표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기계학습모델 중 자갈해빈에서 발생하는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에 대한 높은 예측성능을 보인 모델을 기반으로 손쉬운 계산이 가능한 쇄파지표에 대한 새로운 산정식을 제안하였고 수리모형실험결과 및 기존의 경험식과 비교하고 새롭게 제안한 쇄파지표의 예측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쇄파지표에 대한 경험식은 단순한 다항식임에도 불구하고 자갈해빈에 대한 양호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급경사에서 고립파의 처오름과 진행과정 (Run-up and Evolution of Solitary Waves on Steep Slopes)

  • 조용식
    • 물과 미래
    • /
    • 제28권6호
    • /
    • pp.159-168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경계요소법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급경사에서 고립파의 처오름과 진행과정을 연구하였다. 먼저 수치모형을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에 적용하여 처오름 높이를 산정하여 기존의 수리모형실험의 결과, 수치해 및 해석해 등과 비교하여 수치모형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경계요소법에 의한 수치해는 전체적으로 기존의 자료 등과 잘 일치하였다. 다음에 수치모형을 급경사 지형에 적용하여 처오름 높이를 산정한다. 경계요소법은 완경사 뿐만 아니라 급경사에서도 고립파의 최대 처오름 높이 산정에 매우 효율적이며, 경계요소법에 의한 결과는 인공수로의 제방 또는 방파제의 설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급경사에서의 고립파의 파고를 계산하여 Green의 법칙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제주도 서부 하모와 협재 해빈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Hamo and Hyeopjae Beach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 윤정수;김태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5-275
    • /
    • 2011
  • 제주도 서부의 하모와 협재 해빈에서 표층 퇴적물과 해빈단면의 계절별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계절별 해빈사의 이동방향을 조사하였다. 하모해빈은 경사 $7.3^{\circ}-10.8^{\circ}$이며, 화산암 역과 패각편을 포함한 중립질 모래로 구성된다. 협재해빈은 경사 $2.8^{\circ}-6.5^{\circ}$이며, 조립질 패각편 모래로 구성된다. 하모해빈은 해빈 서쪽에 축조된 방사제의 영향으로 해빈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협재해빈은 동계 동안 북서계절풍에 의해 사구 쪽으로 표사이동이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