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l-2.

검색결과 1,658건 처리시간 0.034초

KGN(난소과립세포)에서 BCL2L10 단백질의 세포사멸 유도 기능 연구 (BCL2L10 Protein Induces Apoptosis in KGN-Human Granulosa Cells)

  • 김재홍;이경아;배지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13-120
    • /
    • 2011
  • BCL-2 family 단백질들은 세포사멸 신호전달 체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CL2L10 단백질은 그 중 하나로 세포의 사멸과 생존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BCL2L10 단백질은 세포 또는 조직 특이적으로 서로 상반되는 친 세포사멸 또는 항 세포사멸 효과가 각각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난소세포에서의 BCL2L10의 발현 여부 및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간 난소 과립세포주인 KGN 세포에서의 BCL2L10 단백질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당한 양의 단백질이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세포사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BCL2L10 단백질을 dose-dependent하게 과발현시킨 후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BCL2L10은 KGN 세포에서 과발현 시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관찰하였다. BCL2L10 단백질을 과발현 시 Caspase 9와 3를 활성화 하였으며, 면역염색법을 통해서 BCL2L10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CL2L10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에서 cytochrome c가 세포질로 분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연구는 BCL2L10의 과발현이 KGN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또한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여 세포질로 cytochrome c를 분비하여 Caspase 9와 3을 활성화 시키는 메커니즘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BCL2L10단백질이 인간 난소과립세포의 생존과 사멸을 조절하는 인자임을 최초로 규명한 것으로서, 추후 난소에서의 BCL2L10단백질의 생리적인 기능 및 신호 조절 연구의 기반 데이터로서 그 의의가 있으며 활용될 수 있다.

Mitochondrially Targeted Bcl-2 and Bcl-XL Chimeras Elicit Different Apoptotic Responses

  • Liu, Sen;Pereira, Natasha Ann;Teo, Joong Jiat;Miller, Peter;Shah, Priya;Song, Zhiwei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3호
    • /
    • pp.378-387
    • /
    • 2007
  • The Bcl-2 family of proteins interacts at the mitochondria to regulate apoptosis. However, the anti-apoptotic Bcl-2 and $Bcl-X_L$ are not completely localized to the mitochondria. In an attempt to generate Bcl-2 and $Bcl-X_L$ chimeras that are constitutively localized to the mitochondria, we substituted their C-terminal transmembrane tail or both the C-terminal transmembrane tail and the adjacent loop with the equivalent regions from Bak or Bax mutant (BaxS184V) as these regions determine the mitochondrial localization of Bak and Bax. The effects of these substitutions on subcellular localization and their activities were assessed following expression in HeLa and CHO K1 cells. The substitution of the C-terminal tail or the C-terminal tail and the adjacent loop of Bcl-2 with the equivalent regions from Bak or the Bax mutant resulted in its association with the mitochondria. This change in subcellular localization of Bcl-2 chimeras triggered cells to undergo apoptotic-like cell death. The localization of this Bcl-2 chimera to the mitochondria may be associated with the disrup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Unlike Bcl-2, the loop structure adjacent to the C-terminal tail in $Bcl-X_L$ is crucial for its localization. To localize the $Bcl-X_L$ chimeras to the mitochondria, the loop structure next to the C-terminal tail in $Bcl-X_L$ protein must remain intact and cannot be substituted by the loop from Bax or Bak. The chimeric $Bcl-X_L$ with both its C-terminal tail and the loop structure replaced by the equivalent regions of Bak or Bax mutant localized throughout the entire cytosol. The $Bcl-X_L$ chimeras that are targeted to the mitochondria and the wild type $Bcl-X_L$ provided same protection against cell death under several death inducing conditions.

The Preventive Effects of Bcl-2 and $Bcl-_{XL}$ on Lovastatin-induced Apoptosis of C6 Glial Cells

  • Choi, Jae-Won;Lee, Jong-Min;Oh, Young-J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6권5호
    • /
    • pp.235-239
    • /
    • 2002
  • It has been reported that lovastatin induced cell death and suppressed proliferation in various cell lin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cytotoxic effects of lovastatin could be prevented by Bcl-2 or $Bcl-_{XL}$ in C6 glial cells. Overexpression of human Bcl-2 or $Bcl-_{XL}$ prevented lovastatin $(25{\mu}M)-induced$ changes such as DNA fragmentation, chromatin condensation, disruption of cell membrane, and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Lovastatin-induced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was unaffected by Bcl-2 or $Bcl-_{XL}$ over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cl-2 and $Bcl-_{XL}$ can prevent lovastatin-induced apoptosis in C6 glial cells, though th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remains unaffected by these proteins.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과 세포분열주기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 of bcl-2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its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 국향;고혁제;구기선;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36-43
    • /
    • 1999
  • 연구배경: bcl-2는 apoptosis를 억제하여 세포 수명을 연장시켜 종양세포의 생존기간 중 다른 암유전자의 추가척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켜 암을 유발하는 암유전자이다. 이러한 bcl-2는 apoptosis 억제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 bcl-2 양성인 경우에 그 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오히려 예후가 양호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을 계측하고, 세포분열주기와 비교한 후 생존률과의 관계를 검색하였다. 방 법: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받고, 외과적 절제술후 paraffin에 보관된 57례의 병리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bcl-2의 발현을 확인하고, bcl-2와 병리조직형, TNM 병기, 유식세포분석법에 의한 세포주기비율(S-and $G_1$-phase fraction) 그리고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57례 중 남녀비는 43:14 였고,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암 34례, 선암 19례, 대세포암 4례였으며, TNM I 병기 14례, II 병기 21례, III 병기 22례였다. bcl-2는 43.8% (25/57)에서 발현되었으며 면평상피암 47%(16/34), 선암 32%(6/19)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TNM I 병기 28.6%(4/14), II 병기 52.3% (11/21), III 병기 45.5%(10/22)로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G_1$-주기비율은 75.5($\pm10.8$)%, 65.5($\pm11.4$)% 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S-주기비율은 14.1($\pm7.8$)%, 24.7($\pm10.5$)%로서 역시 유의하게 bcl-2 발현군의 세포분열능이 저하되어 있었다 (p<0.005).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2년 생존률은 65%, 71%, 3년 생존률은 54%, 52%, 5년 생존률은 41%, 46% 그리고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 37개월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p>0.05, Kaplan-Meier, log rank) 결 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는 43.8%에서 발현되었으며, 병리조직형, TNM 병기에 따른 발현률의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은 비발현군에 비하여 S-주기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고, $G_1$-주기비율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cl-2 발현군의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로서 비발현군의 37개월보다 연장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 PDF

HS-1200 Overcomes the Resistance Conferred by Bcl-2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 Park, Jun-Young;Moon, Jeong-Bon;Kim, In-Ryoung;Kim, Gyoo-Cheon;Park, Bong-Soo;Kwak, Hyu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91-102
    • /
    • 2012
  • Bcl-2 protects tumor cells from the apoptotic effects of various anti-neoplastic agents. Increased expression of Bcl-2 has been associated with a poor response to chemotherapy in various malignancies, including leukemia. Hence, bypassing the resistance conferred by anti-apoptotic factors such as Bcl-2 represents an attractive therapeutic strategy against cancer cells, including leukemic cell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whether the anticancer drug, cisplatin and the synthetic chenodeoxycholic acid (CDCA) derivative, HS-1200 show anti-tumor activity in U937 and U937/Bcl-2 cells. Viability assays revealed that HS-1200 overcomes the resistance conferred by Bcl-2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Various apoptosis assessment assays further demonstrated that HS-1200 overcomes the resistance conferred by Bcl-2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by inducing apoptosis. In addition HS-1200, but not cisplatin, overcomes the anti-apoptotic effects of Bcl-2 in Bcl-2 over-expressing human leukemic cells (U937/Bcl-2 cells). Notably, we observed that the HS-1200-induced formation of mature promyelocytic leukemia (PML) nuclear bodies (NBs) correlates with a sup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effects of Bcl-2 in human leukemic cells over-expressing this protein (U937/Bcl-2 cells). Furthermore, HS-1200 was found to induce the association between PML and SUMO-1, Daxx, Sp100, p53 or CBP in the aggregated PML-NBs of U937/Bcl-2 cells. Thus, PML protein and the formation of mature PML-NBs could be considered as therapeutic targets that may help to bypass the resistance to apoptosis conferred by Bcl-2. Elucidating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PML regulates Bcl-2 will require further work.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ρ-fluorophenylalanin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의 Bcl-2 및 Bcl-xL에 의한 저해 기전 (Ectopic expression of Bcl-2 or Bcl-xL suppresses p-fluorophenylalanine-induced apoptosis through blocking mitochondria-dependent caspase cascade in human Jurkat T cells)

  • 한규현;오현지;전도연;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8-127
    • /
    • 2003
  • Phenylalanine의 구조유사체인 p-fluotophenylalanine (FPA)은 인체 급성백혈병세포주인 Jurkat T 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FPA에 의한 세포자살에 미치는 Bcl-2 또는 Bcl-xL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Bcl-2 또는 Bcl-xL을 stable transfection하거나 empty vectors만을 Transfection한 Jurkat 세포를 이용하여 FPA의 세포독성과 FPA에 의한 세포내 세포자살 신호전달경로를 비교 분석하였다. Jurkt T 세포에 0.63∼3.0 mLf의 FPA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생육도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자살관련 DNA fragmentation, caspase-8 activatoin, Bid cleavage, mitochondria로 부터의 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3 activation, PARP degradation 등이 유도되었다. 한편, FPA에 의해 유도되는 이러한 일련의 생화학적 현상들은 Bcl-2 또는 Bcl-xL의 overexpression에 의해 현저히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caspase-8 activation, Bid cleavage, mitochondnal cytochrome c 방출에 의해 활성화되는 casuase cascade 등의 현상이, Bcl-2 또는 Bcl-xL에 의해 억제됨을 나타내며 FP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에 필요한 과정임을 시사한다.

Bcl-2 Overexpression Inhibits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and Blocks Adriamycin-induced Apoptosis in Bladder Cancer Cells

  • Kong, Chui-Ze;Zhang, Zh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895-901
    • /
    • 2013
  • Resistance to induction of apoptosis is a major obstacle for bladder cancer treatment. Bcl-2 is thought to be involved in anti-apoptotic signal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cl-2 overexpression on apoptotic resistance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bladder cancer cells. A stable Bcl-2 overexpression cell line, BIU87-Bcl-2, was constructed from human bladder cancer cell line BIU87 by transfecting recombinant Bcl-2 [pcDNA3.1(+)-Bcl-2]. The sensitivity of transfected cells to adriamycin (ADR) was assessed by MTT assay. Apoptosis was examined by flow cytometry and acridine orange fluorescence staining. Intracellular ROS was determined using flow cytometry,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were also investigated by the xanthinoxidase and visible radiation methods using SOD and CAT detection kits. The susceptibility of BIU87-Bcl-2 cells to AD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BIU87 cells. Enhanced expression of Bcl-2 inhibited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following ADR treatment. Moreover, the suppression of SOD and CAT activity induced by ADR treatment was blocked in the BIU87-Bcl-2 case but not in their parental cells. The overexpression of Bcl-2 renders human bladder cancer cells resistant to ADR-induced apoptosis and ROS might act as an important secondary messenger in this process.

HDAC 저해제에 의한 인체 백혈병 U937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Bcl-2의 영향 (Effects of Bcl-2 Overexpressing on the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HDAC Inhibitors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 이준혁;허만규;박동일;최병태;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2-56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인체백혈병세포 U937에서 HDAC 저해제에 의한 증식억제, 세포주기 교란 및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Bcl-2 유전자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U937/vector 및 U937/Bcl-2 세포주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HDAC 저해제인 TSA 및 Na-B 처리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TSA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억제 및 생존율의 감소는 Bcl-2의 과발현에 의하여 차단되는 효과를 보였으나, Na-B는 U937/vector 및 U937/Bcl-2세포사이에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세포주기 교란효과에서 Na-B는 TSA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며, 이는 TSA에 의한 apoptosis가 U937/Bcl-2 세포에서는 억제되었으나, Na-B에 의한 apoptosis는 Bcl-2의 과발현에 의하여 차단되지 못한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결과였다. 또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발의 Bcl-2에 의한 차단 효과는 TSA에 의하여 활성화된 caspase의 활성 억제, Bcl-2 발현 자체의 완화 등 apoptosis 조절 인자들의 발현 및 활성 변화에 기인 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 survivin, bcl-2, bax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Expressions of Apoptotic Genes (survivin, bcl-2, bax) and Clinical Relevance in Osteosarcoma)

  • 강현귀;김한수;이미라;설소미;오주한;이상훈;강경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8-125
    • /
    • 2005
  • 목적: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과 관련된 survivin, bcl-2, bax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여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항암 약물 치료 전 절개 생검으로 얻은 50예의 골육종 조직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통하여 survivin, bcl-2, bax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임상적으로 항암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율, 국소재발, 원격전이, 종양학적 결과 등을 연구하여 surviving, bcl-2, bax 유전자 각각의 발현 또는 이들의 복합적인 발현과의 연관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검사한 survivin 유전자의 발현은 26예(52%)에서 관찰되었고, bcl-2는 23예 (46%), bax는 21예 (42%)에서 관찰되었다. Survivin과 bcl-2의 공동발현은 19예(38%), survivin과 bax의 공동 발현은 13예(26%), bcl-2와 bax의 공동 발현은 8예 (16%), 그리고 이들 3가지 모두의 발현은 총 8예 (16%)에서 관찰되었다. 검사한 3가지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여러 임상적 변수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 하였을 때 조직학적 분류, 나이, 성별, 국소 재발 등과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항암 약물 반응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인자는 bcl-2 (P=0.04), 그리고 survivin과 bcl-2가 동시 발현된 경우 (P=0.044)였으며 나쁜 항암 약물 반응율을 나타냈다. 종양학적 결과 중 질병으로 인한 사망과의 연관성을 보인 인자 역시 bcl-2 (P=0.001), 그리고 survivin과 bcl-2가 동시발현된 경우 (P=0.027)였으며, 이들의 발현은 나쁜 종양학적 결과를 나타냈다. Kaplan-Meier 생존율 분석에서 bcl-2 (P=0.0012)의 발현과 survivin, bcl-2의 동시 발현 (P=0.0075)은 생존율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비교적 높게 보였으며, bcl-2의 발현은 항암 약물치료에 대한 불량한 반응과 낮은 생존율에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이며, survivin은 bcl-2와 동시에 발현되는 경우에만 이러한 종양학적 결과와 의미 있는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한 관찰이 골육종의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난포의 성장과 퇴화에 따른 bcl-2 단백질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xpression of bcl-2 protein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in the rat ovary)

  • 고필옥;정성윤;조경제;최완성;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3
    • /
    • 1999
  • In the mammalian ovary,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continuously occur during the reproductive cycles. Follicular atresia occurs through granulosa cell apoptosis. Apoptosis is known as the physiological cell death, which is regulated by bcl-2 gene family. In the bcl-2 gene family, bcl-2 and bcl-xLong are known as inhibitors of apoptosis, whereas bax and bcl-xShort are known as inducer of apoptosis. We thought that bcl-2 protein is associated with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But it is not known that the distribution of cells containing bcl-2 protein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Therefore,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cells with bcl-2 protein during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the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in the rat ovary. Bcl-2 immunoreactivity was localized in the interstitial cells, theca externa cells and granulosa cells around of antrum. All positive signals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Positive signals were strongly observed in the interstitial and theca externa cells of growing antral follicles. While, positive signals were weakly observed in these cells from atretic antral follicles. Positive signals were very weakly observed in the granulosa cells of growing and atretic antral follicles. According to these data, we suggested that bcl-2 proteins which were strongly expressed in the interstitial cells and theca externa cells of growing antral follicles inhibit follicular atresia. And we purposed that bcl-2 proteins regulated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through the action of bcl-2 gene fami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