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ttery fire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19초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 사례 및 원인조사 기법 분석 (Analysis of Car Fire Cases Related to a Lithium Battery and Cause Investigation Technique)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98-106
    • /
    • 2019
  • 차량의 내비게이션과 블랙박스의 보조배터리로 리튬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어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발화개소 내에 리튬배터리가 있을 때, 리튬배터리에서 발화된 것인지 화재로 인해 리튬배터리가 피해를 입은 것인지를 판별하는 화재조사 기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 사례들을 소개하고, 리튬배터리의 화재발생 원인을 분석하며, 리튬배터리에서 발화된 것인지 외부에서 발화된 후 리튬배터리가 화재로 인한 피해를 입은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화재조사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리튬 전지의 안전한 항공 운송을 위한 개선 방향 고찰 (A Consideration on Improvement of Safe Lithium Battery Air Transportation)

  • 조현명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5-142
    • /
    • 2017
  • As PED(Personal Electronic Device) market has been rapidly grown, the demand on Lithium battery, which is most commonly used power source of PED, also has been increased. Dew to this trend, the amount of Lithium battery air transportation is also increasing. However, it should be treated very carefully because Lithium is one of very explosive metal. So ICAO, IATA and civil aviation agencies try to enhance the safety of Lithium battery air transportation by aircraft certification and operating regulations. To enhance in-flight safety, the aircraft for transporting Lithium battery should equip certified fire extinguishing system. But recent studies find that Halon, currently used extinguishing agent, is not effective on extinguishing Lithium battery fire. Besides, there is no certified Halon replacement for air use and no acceptable specific minimum performance standard(MPS) for Lithium battery fire. For this issue,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ing MPS of Lithium battery fire is needed for safe air transportation of Lithium battery.

Exposure Assessment Study on Lithium-Ion Battery Fire in Explosion Test Room in Battery Testing Facility

  • Mi Sung Jo;Hoi Pin Kim;Boo Wook Kim;Richard C. Pleus;Elaine M. Faustman;Il Je Yu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1호
    • /
    • pp.114-117
    • /
    • 2024
  • A lithium-ion battery is a rechargeable battery that uses the reversible reduction of lithium ions to store energy and is the predominant battery type in many industrial and consumer electronics. The lithium-ion batteries are essential to ensure they operate safely. We conducted an exposure assessment five days after a fire in a battery-testing facility. We assessed some of the potentially hazardous materials after a lithium-ion battery fire.We sampled total suspended particles, hydrogen fluoride, and lithium with real-time monitoring of particulate matter (PM) 1, 2.5, and 10 micrometers (㎛). The area sampling results indicated that primary potential hazardous materials such as dust, hydrogen fluoride, and lithium were below the recommended limits sugges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bor and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Threshold Limit Values. Based on our assessment, workers were allowed to return to work.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화재사례와 실험을 통한 화재위험성 분석 (Analysis of Fire Risk through Battery Fire Cases and Experiments of Wearable Devices)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7-55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ignition probability about Lithium-polymer batteries of what variously were being produced wearable devices recently. The study analyzed ignition probability by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operating state and overcharged, over-discharged,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of Lithium polymer batteries, analyzing wearable devices on the market. Then it classified experimental results to implement analysis comparison about weight, X-ray imaging, battery decomposition. With these experiments, the study analyzed combustion-possibility and fire patterns. These statistics will be used to measure and verify the cause of a fire when identify wearable devices using Lithium-polymer batteries.

ESS (에너지 저장장치) 배터리 화재사례를 통한 감식기법 및 연소 확산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Technique and Prevention of Combustion Diffusion through ESS (Energy Storage System) Battery Fire Case)

  • 이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83-391
    • /
    • 2020
  • 연구목적 : 에너지 저장실의 외부 화염에 의한 내부자기 점화 및 점화를 식별하고, 과열로 인한 점화와 외부 열원에 의한 점화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분리막 녹는점 측정, 배터리 외부 수열 실험, 배터리 과충전 실험, 과충전과 외부수열에 의한 연소 시 전극 판 비교분석, 과충전 연소 특징, 외부수열 화재 연소특징, 3.4(전극판 비교)/ 3.5(과충전)/ 3.6(외부수열) 분석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화재 발생 시까지 센서의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가 극심했음으로 기존처럼 한 모듈 당 온도 센서 두 개로는 측정값이 부족해 온도제어를 통한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결론: 단락이 점화원으로 작용하여 혼합가스에 착화돼 가스폭발이 발생하고, 폭발 압력에 의해 전극이 잘게 파손되며, 가루형태의 리튬산화물이 불꽃반응에 의해 폭죽과 유사한 불꽃이 분출되었다.

리튬이온 및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폭발과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losion and Fire Risk of Lithium-Ion and Lithium-Polymer Battery)

  • 이범주;최경주;이상호;정연만;박영;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855-863
    • /
    • 2017
  • 리튬 이온 및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체적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아 전자담배, 스마트폰, 전기자전거, 드론, 보조배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심지어 골프카트 및 전기자동차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충전 중 배터리 폭발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폭발로 인하여 화재 및 신체 위해가 발생하고 있어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리튬 배터리의 작동 원리를 알아보고, 재현실험을 통하여 폭발 원인을 검증해 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화재감식 기법 개발과 안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식주퇴 시스템 축소 모델에 대한 ADAMS 해석 (ADAMS Simulation on the Scale Model of the FOOB System)

  • 김종혁;배재성;황재혁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4
    • /
    • 2011
  • Due to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chnology, the future tank system will have the multi-function for more powerful firing. and the tank, mounted this multi-function, must be lighter to maintain the mobility. Therefore, new brecoil technology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the recoil force for lighter platform. The present study covers a FOOB(Fire-Out0-Of-Battery) system that can reduce the recoil force dramatically. The firing sequence of the FOOB system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system. The gun is latched in out-of-battery position prior to firing. As soon as firing is occurred, the gun is unlatched and accelerated. The forward momentum is imparted to the recoiling parts. This momentum is opposed by the ballistic force imparted by firing and the recoil force and recoil length will be reduced. In this study, the ADAMS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with the scale model of the FIB(Fire-In-Battery) system and the FOOB system. The ADAM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FOOB system could reduce the operating time and recoil length and the recoil force.

연식주퇴 시스템의 전방운동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ward Momentum of a Soft Recoil System)

  • 박선영;배재성;황재혁;강국정;안상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76-981
    • /
    • 2010
  • A soft-recoil or FOOB (Fire-Out-Of-Battery) system can reduce the recoil force considerably. Its firing sequenc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or FIB (Fire-In-Battery) system. In FOOB system, the gun is latched and preloaded in its battery position prior to firing. When unlatched, the gun is accelerated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n the forward momentum of the recoil part is generated. Since this momentum reduces the recoil impulse, the recoil force will decrease significantly. When designing the soft-recoil system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forward momentum profile of a recoiling part. In the present study, the method to determine the forward momentum has been studied and its optimum value has been obtained theoretically.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oft-recoil system is performed to show that the present soft-recoil system works functionally well.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리튬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Lithium Batteri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 심상보;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114-122
    • /
    • 2016
  • 본 논문은 리튬배터리의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대표적인 리튬배터리 종류인 리튬폴리머배터리 및 리튬이온배터리를 실험시료로 선정하였다. 고온에 따른 폭발위험성 측정결과 리튬폴리머배터리의 경우 평균 $170^{\circ}C$,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평균 $187^{\circ}C$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단락전류에 따른 온도상승측정결과 보호회로가 정상작동 할 경우 과전류를 제한하여 온도상승이 거의 없었지만, 보호회로가 고장 났을 경우 리튬폴리머배터리의 경우 평균 $115.7^{\circ}C$ 및 리튬이온배터리 경우 평균 $80.5^{\circ}C$까지 상승하여 화재 및 화상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염수농도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의 방전특성과 화재 위험성 분석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Fire Risk of Mobile Phone Batteri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alt Water)

  • 우진수;소수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66-71
    • /
    • 2020
  • 리튬-이온 배터리를 폐기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염수를 이용한 방전 방법은 자칫 화재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의 염수 방전 과정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중 휴대폰 배터리를 대상으로 하여 염수에 배터리를 담가 방전 시킬 때 방전특성과 발열에 의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염수농도와 배터리의 개수를 변화시킨 여러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서 방전전압 및 배터리의 발열온도를 측정하여 방전 과정 및 발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예측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염수농도가 높을수록 휴대폰 배터리의 방전이 더 잘 되었으며, 발열온도 또한 높게 측정 되었고, 염수에 침수된 배터리 1개의 발열온도보다 중첩된 배터리의 발열온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배터리의 가장 높은 발열이 발생하는 부분은 (+),(-)전극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