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diocarp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Enhancement of Water-solubilitie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Contained in the Basidiocarps of Ganoderma lucidum by Hydrolyzing with Chymotrypsin

  • Park, Won-Bong;Cheong, Jae-Yeon;Jung, Won-Ta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423-428
    • /
    • 1996
  • Optimum conditions for hydrolysis were investigated to enhance water-solubilitie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in the basidiocarps of Ganoderma lucidum by treating chymotrypsin. We also attempted with Ganoderma lucidum residue remaining after extracting hot water-soluble compoents in Ganoderma lucidum. After hydrolyzing under optimum conditions (20 ppm chymotrypsin, 2% Gampderma lucidum or 6% Ganoderma lucidum residue, at pH 10 and at $ 40^{\circ}C$), the amounts of total protein and carbohydrate of hydrolysate were measured. Michaelis constant, $K_{m}$, and maximum rate, $V_{max}$, calculated by Lineweaver-Buck plot for the hydrolysis of Ganoderma lucidum were 1.73% and 0.073%/min respectively and those for hydrolysis of Ganoderma lucidum residue were 2.40% and 0.033%/min respectively. The amount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100 g) treated with chymotrypsin was only 3.07 g, but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 (14.34 g) of polysaccharides was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residue (100 g) treated with chymotrypsin. Th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was isolated from the non-hydrolyzed and hydrolyzed sample and molecular weights of the polysaccharide were measured by Sepharose CL-48 gel filtration.

  • PDF

목질진흙 (상황)버섯의 면역활성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 송치현;나경수;양병근;전용재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86-90
    • /
    • 1998
  • 상황버섯 자실체, 액체배양 균사체 및 배양액으로부터 고분자물질(polymer)을 추출하여 면역활성을 anti-complementary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자연산과 인공재배 자실체로부터 생산된 polymer의 면역활성은 각각 65.77%와 63.94%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실체, 균사체 및 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한 polymer의 면역활성 측정결과, 균사체는 41.95%, 배양액은 21.87%로 자실체 보다 낮게 나타났다.

  • PDF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종간(種間) 교잡(交雜)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florida Following Protoplast Fusion)

  • 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8-125
    • /
    • 1992
  • 노랑느타리 Pleuroltus cornucopiae와 사철느타리 Pleurolus florida의 영양요구주(營養要求株)로부터 나출(裸出)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融合)하여 종간(種間) 체세포잡종(體細胞雜種)을 얻었다. 이들은 핵융합주(核融合株) nuclear hybrid 또는 이질이배체(異質二倍體) allodiploid, 이핵체(異核體) heterokaryon, 자연적(自然的) 분리성이핵체(分離性異核體) spontaneous segregated heterokaryon로 나누어졌으며, 6융합조합(融合組合)중에서 1조합(組合)에서만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를 가진 것이 나타났다. 총 59 융합주 중에서 꺽쇠연결체를 가진 2균주와 가지지 않은 10균주가 완전한 자실체(子實體)를 형성하였는데 거의 사철느타리 형태(形態)와 유사(有似)하였으나 버섯의 갓 색택(色澤)이 양친(兩親)인 노랑느타리가 어릴때 yellow, 사철느타리가 orange white 인데비해 체세포 잡종은 light blond-greyish brown 으로 다양한 혼합색(混合色)으로 나타났다. 꺽쇠연결체가 없는 융합주로부터 발용(發茸)된 자실체는 두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졌으며, 이 자실체(子實體) 조직(組織)을 완전배지(完全培地)에 배양(培養)한 결과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빠르고 균사도 꺽쇠연결체를 가져 본래(本來)의 융합주와는 다른 형태로 변하였다.

  • PDF

복령(茯笭)의 형태(形態) 및 균사배양(菌絲培養)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orphology and the Mycelial Cultivation of Poria cocos (Fr.) Wolf.)

  • 홍인표;이민웅;김광포;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0
    • /
    • 1991
  • 복령(茯笭)은 약 3500년전부터 한방에서 수종, 임질, 설사, 신경안정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항암효과가 밝혀짐에 따라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복령의 인공재배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여 수요를 자연량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령을 인위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한 복령의 형태적 특성 및 분리균주의 배양학적 특성 특히 영양원과 균사생장과의 관계를 실험하였다. 1. 형태적 특성 : 야생복령의 형태는 구형 또는 고구마형이며, 외피는 흑색으로 주름이 있고 내부는 옅은 오랜지색이며 중심에 진한 오랜지색의 심이 있는 분말상태로 직경은 $10{\sim}30cm$, 개체 중량은 $300{\sim}600\;g$ 정도이다. 분리배양한 균주의 균사 폭은 $4{\sim}8\;{\mu}$ 정도이며 톱밥배지에서 형성된 자실체는 벌집모양과 비슷하며 구멍은 다각형으로 직경은 $0.5{\sim}1mm$, 깊이 $2{\sim}3mm$ 정도이다. 2. 배양학적 특성 : 복령의 생육에 적합한 탄소원으로서는 가용성전분, glucose 및 sucrose 등이며, galactose, lactose는 부적합하였고, 탄소원농도가 1.5%에서 2.5%로 증가해도 균사발육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질소원으로는 무기질소원보다 유기질소원이 생육에 양호하였고 유기질소 중에서도 yeast extract, malt extract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질소함량이 0.05%에서 0.1%로 증가함에 따라서 균사생육도 왕성하였다. 한편 탄소원과 질소원의 최적 농도비는 탄소원농도 $7.5{\sim}10%$, 질소원농도 $0.10{\sim}0.15%$ 즉 100배 영역이었다. 나무추출액배지에서의 복령균사 생육은 밤나무추출액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소나무수피추출액배지와 오리나무추출액배지에서 비슷한 균사생육을 보인 반면 참나무추출액배지에서는 균사발육이 매우 저조하였다. 한편 C/N율을 적용하여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하여 조제한 배지에서의 균사생육은 영양원 무처리 배지에 비하여 균사생육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Some Phellinus spp.

  • Shin, Kwang-Soo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190-193
    • /
    • 2001
  • Four strains of Phellinus spp. was identifi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region of rDNA sequence analysi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idiocarps of all strains were effused-reflexed and hymenial surface was poroid. Hyphal system was dimitic and basidiospore was globose to ellipsoid. The amplification of ITS regions produced a DNA fragment of 500 to 780 by in all strains examined. The determined sequences were analyzed for the reconstruction of phylogenetic tree. From these results, Phellinus sp. KM-1, KM-2, and KM-4 was identified as P. hartigii, P. baumii, and P. linteus, respectively.

  • PDF

Lepista nuda의 고체배양 (Solid-culture of Lepista nuda)

  • 이상선;최경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05-113
    • /
    • 1995
  • 한국교원대학교 주변의 아카시아림 및 상수리나무와 아카시아의 혼합림에서 민자주방망이버섯(L. nuda)을 채집하여 균사를 순수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사와 농진청 균이과에서 분양 받은 균사를 시료로 수종의 기질에 따른 균사의 성장을 나무 건중량과 탄산가스 발생량으로 측정하였다. 이 결과 아카시아, 뽕나무, 느티나무 순으로 균사의 성장을 나타냈다. 아카시나무 톱밥, 조 및 옥수수를 이용한 고형발효를 한 결과 균사의 성장에 관련된 성장곡선은 그렸으나, 자실형성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유망한 식용버섯으로 다른 수종의 나무에 자라는 균사를 얻었으며, 자실체 형성을 위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Immunological Studies on the Antitumor Componets of the Basidiocarps of Agrocybe cylindracea

  • Kim, Byong-Kak;Hyun, Jin-won;Yoon, Jong-Myung;Choi, Eung-Ch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28-137
    • /
    • 1997
  • The effects of cylindan, a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basidiocarps of Agrocybe cylindracea, on murine sarcoma 180 tumor and murine immune cells were examined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Cylindan exhibited a marked life extension effect in mice against ascite forms of sarcoma 180 and Lewis lung carcinoma at a dose of 50 mg/kg/day, although it did not show any direct cytotoxicity against sarcoma 180, X5563, and MM46 murine tumor cells. Cylindan increased numbers of bone marrow stem cells as well as peritoneal exudate cells in flow cytometr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The tumor bearing mice group apparently showed the increase of macrophages and cytotoxic T lymphocytes in mouse spleen cells during the early stage of tumor growth. But during the later stage, the control group decreased immune cells and cylindan restored the decreased immune cells in the tumor bearing mice to the normal level. In non-specific immune response, cylindan stimulated the bacterial phagocytosis and acid phosphatase production in macrophages. It also activated components of the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and natural killer activity against YAC-1 lymphoma. In number of plasma cells as token of stimulation of the differentiation of B lymphocytes. In cellular immunity, cylindan restored the depressed response of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in the tumor bearing mice to 60% of the normal level and increased the interleukin-2 (IL-2) responsiveness in the IL-2 dependent CTLL-2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lindan did not show direct cytotoxic effects on tumor cells but restored the decreased immune response of the tumor bearing mice.

  • PDF

Mycorrhizal Formations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desiflora by in vitro Synthesis with the Inocul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 Chung, Hung-Chae;Kim, Dong-Hun;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30권2호
    • /
    • pp.70-75
    • /
    • 2002
  • The mycelia were directly isolated from eight species of fungal basidiocarps, confirmed to the ectomycorrhiza in the roots from the fields(forestry); Suillus bovinus, Paxillus involutus, Lactarius hysginus, Russula fragilis, Lepista nuda, Lyophyllum shimeji, Tricholoma matsutake, and Russula integra. The mycelia were pure-cultured with several transferring in various agars, and inoculated to the roots of pine(Pinus densiflora) seedling by in vitro method. After ten months growth under artificially aseptic conditions, all pine seedlings inoculated were stimulated at the growth-height, whereas those not inoculated were nearly dead. Also, the ramifications of ectomycorrhizal pine roots formed in the synthetic in vitro systems and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ycelia. Synthesis of ectomycorrhiza were clearly confirmed in ten months growth, but not distinguished at this moment. It was clearly proved that the mycelia isolated caused the ectomycorrhizae in the roots of pine seedlings.

Amylosporus sulcatus sp. nov. (Russulales, Basidiomycota) from Southern China

  • Huang, Fu-Chang;Liu, Bin;Wu, Hao;Qin, Pei-Sheng;Li, Jin-Feng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311-316
    • /
    • 2018
  • Amylosporus sulcatus sp. nov. is described from Nonggang Nature Reserve, southern Chin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for the new species are provided.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pileate and stipitate basidiocarps. The pileus surface is obviously concentrically and radiately sulcate and tomentum, and the pore surface is snow white.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DNA confirmed it to be a new species.

약용버섯의 계통분류 및 국내유통 Inonotus속내 종간 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edicinal mushroom and taxonomical positions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 김성윤;정민정;김기영;박재민;김문옥;문동오;이태호;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2-59
    • /
    • 2005
  • 국내유통약용버섯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이들 속 및 종간의 유연관계확립을 위하여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였고, 시판 I. obliquus 종의 진위여부와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확립 및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약용버섯으로 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6개의 속(Phellinus, Inonotus, Sparassis, Fomes, Ganoderma, Hericium)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상황버섯과 최근 들어 수입양이 급증하고 있는 차가버섯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일명 차가버섯으로 유통 중인 15개 제품 중 중국에서 수입되어진 59번 균주가 P. pini로 확인되었으며 일본에서 수입되어진 51, 52번 균주가 P. baumii와 P. linteus와 유사종 혹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I. rheades(AY237731)와 I. radiatus(AY354217) 및 F. fomentarius(AY354213)는 NCBI 등록 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실험에서 조사되어진 30번 균주 F. fomentarius가 정확한 말굽버섯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