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diocarp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Abundisporus in Korea

  • Jargalmaa, Suldbold;Park, Myung Soo;Park, Jae Young;Fong, Jonathan J.;Jang, Yeongseon;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25-230
    • /
    • 2015
  • The polypore genus Abundisporus Ryvarden is characterized by resupinate to pileate fruitbodies with a purplish brown hymenophore, slightly thick-walled, pale yellowish and non-dextrinoid basidiospores, and causing white rot. A purple color hymenophore, an easily observable and striking character, was considered the main distinctive feature at the generic level within polypores. However, due to highly similar basidiocarp features, species identification within these purple polypores is particularly difficult. Three species of purple colored polypor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bundisporus fuscopurpureus, A. pubertatis, and Fomitopsis rosea). Based on morphological re-examination, ecological inform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we showed that previous classification was incorrect and there is only one species (A. pubertatis) in Korea. We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ubertatis in Korea, as well as a taxonomic key to distinguish wood rot fungi with a purple hymenophore.

잔나비걸상버섯 원형질체(原形質體)와 만가닥버섯 분열자(分裂子)의 융합(融合) (Fusion between Protopldsts of Ganoderma applanatum and Oidia of Lyophyllum ulmarium)

  • 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7-201
    • /
    • 1989
  • 야생형(野生形)인 만가닥버섯 Lyophyllum ulmarium(=Hypsizigus marmoreus) ASI 8007에서 분리한 분열자(分裂子)와 잔나비걸상버섯 영양요구주 Ganoderma applanatum ASI 7-18 (cys met)의 원형질체(原形質體)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融合)하여 융합주를 얻었다. 융합주는 GCM(Ganoderma complete modium)에서 양친균총이 혼합된 형태였으나 3회 계대 배양되면서 만가닥버섯 균총으로 변하여 균사에는 클램프연결체와 분열자를 지녔고, 만가닥과 거의 유사한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균사체로 esterase 동위효소(同位酵素)를 분석하였는데 만가닥이 1개 밴드, 잔나비걸상이 2개의 밴드를 가진데 비하여 융합주는 양친의 3개와 새로운 2개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이들 융합주 상호간에는 균총형태, 생장속도, esterase 동위효소, 자실체 특성에 있어서 거의 차이가 없어 아주 안정되게 양친의 유전물질을 보유하였다.

  • PDF

Ganoderma lucidum의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 형성(形成) (Formation of the Nonbasidiocarpous Basidiospore of Ganoderma lucidum)

  • 신관철;서건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0-234
    • /
    • 1988
  • Ganoderam lucidum은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를 형성(形成)하여 다른 담자균류(擔子菌類)에서 볼 수 없는 특이(特異)한 생활환(生活環)을 보였다. G. lucidum은 배지상(培地上)의 기중균사(氣中菌絲)에서 Basidial strom상(狀)의 균사조직(菌絲組織)을 형성(形成)하고 조직표면(組織表面)에 있는 균사(菌絲)의 정단세포(頂端細胞)가 담자기(擔子器)로 분화(分化)되어 그 위에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를 형성(形成)하였다. 자실체(子實體)없이 Basidial stroma에서 형성(形成)된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는 정상 담자포자(擔子胞子)와 유사한 형태(形態)를 보이고 있었으나 크기가 약간 작고 포자표면(胞子表面)의 hollow수(數)가 현저히 적었다.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의 형성(形成)은 균(菌)의 계통(系統)에 따라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였고 광(光) 및 환기조건하(換氣條件下)에서만 형성(形成) 되었으며 배지(培地)에 따른 차이(差異)는 거의 없었다.

  • PDF

Wood Decay Fungi in South Korea: Polypores from Seoul

  • Jang, Yeongseon;Jang, Seokyoon;Lee, Jaejung;Lee, Hwanhwi;Lee, Hanbyul;Lee, Young Min;Hong, Joo-Hyun;Min, Mihee;Lim, Young Woon;Kim, Changmu;Kim, Jae-Jin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40-146
    • /
    • 2014
  • In Seoul, a majority of plant communities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over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how wood decay fungi have responded and adapted to the changes in vegetation remains unknown. Through an ongoing investigation of Korean indigenous fungi, ca. 300 specimens with poroid basidiocarp were collected in Seoul during 2008~2012.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molecular analysi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DNA region sequences helped identify 38 species belonging to 28 genera, 10 families, and 5 orders in this area. Among them, three polypores, Abundisporus pubertatis, Coriolopsis strumosa, and Perenniporia maackiae were found to be new to South Korea.

Phellinus gilvus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 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gilvus)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0
    • /
    • 2000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s)은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본초도감에서는 비장강화, 위장활성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한다. 온도별 배양결과 $30^{\circ}C$에서 69 mm/14일(PDA배지) $25^{\circ}C$에서는 42 mm/14일(PDA배지)로 나타났으며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와 MCM 배지에서 38 mm/14일, 34 mm/14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pH\;6{\sim}7$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참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4 mm/14일 정도였으나 소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7 mm/14일 정도로 참나무추출물배지에 비해서 매우 느렸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5:5)과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미강(4.5:4.5:1) 등에서 균사생장이 좋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20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100%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90일 정도였다. 자실체 수량은 참나무원목에서 180 g, 소나무원목에서 29 g, 사과나무에서는 150 g 정도로 나타났으며 생체수율은 각각 24%, 9%, 15% 정도였다.

  • PDF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Two New Species of Laccaria (Agaricales, Basidiomycota) from Korea

  • Cho, Hae Jin;Lee, Hyun;Park, Myung Soo;Park, Ki Hyeong;Park, Ji Hyun;Cho, Yoonhee;Kim, Changmu;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88-295
    • /
    • 2020
  • Species of Laccaria (Hydnangiaceae, Agaricales, and Basidiomycota) are well-known ectomycorrhizal symbionts of a broad range of hosts. Laccaria species are characterized by brown, orange, or purple colored basidiocarps, and globose or oblong, echinulate and multinucleate basidiospores. While some Laccaria species are easily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using onl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thers are hard to distinguish at the species level due to small differences in morphology. Heretofore, ten Laccaria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hile studying the fungal diversity in the National Parks of Korea, two new Laccaria species were discovered. Species identification was done based on molecular analyses (ITS, 28S rDNA, rpb2, and tef1), then were confirmed by their corresponding morphologies. The two newly discovered Laccaria species are proposed here as Laccaria macrobasidia and Laccaria griseolilacina. The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 macrobasidia that distinguish it from its closely related species are orange-brown colored basidiocarp, long basidia and the absence of cheilocystidia. L. griseolilacina is characterized by a light grayish lavender-colored pileus and the absence of cheilocystidia. Two new speci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present paper.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종간 원형질체융합 균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usion Products between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florida Following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 유영복;변명옥;고승주;유창현;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64-169
    • /
    • 1984
  • 식용버섯의 재배와 소비가 증가해가는 중요성에 비추어 새로운 품종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주요 재배 버섯인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를 융합하여 종간 체세포 잡종을 선발하였으며,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종간 원형질체 융합율은 0.18-3.80%였다. 2. 융합된 균총의 생장은 빠른 것, 중간 그리고 아주 느린 것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그 형태는 불규칙 하였다. 3. 선발한 40개의 체세포 잡종 모두가 정상적인 자실체를 맺었으며, 자실체의 형태가 모본과는 달리 아주 다양하게 나타났다. 4. 체세포 잡종의 자실체색은 짙은 회색을 가진 느타리버섯과 연한 백색을 가진 사철느타리버섯의 중간색을 나타내었다. 5. 무포자 또는 극히 적은량의 포자를 지닌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이들의 자실체 형태는 정상이었다. 6. 수량이 다소 낮은 무포자 균주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체세포 잡종의 자실체 수량이 모본보다 증가했다.

  • PDF

Artificial cultivation of Med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using Mulberry logs

  • Hong, In-Pyo;Sung, Gyoo-Byung;Chung, In-Mo;Lee, Won-Chu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4-81
    • /
    • 2002
  • The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ASI 26011 were 25-30$^{\circ}C$ and pH 6.0, respectively.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was excellent on MCM medium. In case of carbon sources,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was best on the culture media that were contained with sucrose, mannose and glucose. Potassium nitrate and sodium nitrate were good for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as a nitrogen source. For comparison of the mycelial colonization of P. linteus on logs, several techniques of inoculation were tested; the sterilized short log inoculation, drilling inoculation and log-end sandwich inoculation. The mycelial colonization of P. linteus on logs was good in the treatment of sterilized short log inoculation, but poor in the traditional methods such as drilling inoculation and log-end sandwich. The initial mycelial growth and the full mycelial colonization of P. linteus were the best on 20 cm logs under the condition of 42% of moisture content in log. Also the initial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was accelerated over 12 hours of sterilization. Burying method of logs after 5-6 months of incubation was the best for formation of basidiocarp of P. linteus. The formation of fruiting body of P. linteus was quite good in the cultivation house at the 31-35$^{\circ}C$ and over 96% of relative humidity.

한국산 고등 균류의 성분 연구(제67보) -영지버섯 자실체의 항암성분-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LXVII) -Antitumor Components of the Basidiocarp of Ganoderma lucidum-)

  • 현진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58-69
    • /
    • 1990
  • 담자균류인 영지 Ganoderma lucidum의 자실체를 열수추출한 후 얻은 단백 다당체를 DEAE cellulose 이온교환수지와 Sepharose CL-4B 젤 여과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한 분획들을 각각 CR, IN, IA, GL과 GH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성분을 20mg/kg/day 용량으로 투여하였을 때 sarcoma 180 고형암에 대하여 Fr. GL이 81%의 가장 높은 종양 억제을을 나타냈으며 그 분자량은 47,000 dalton이었다. 그 구성성분은 82% 다당류, 8% 단백질 및 0.9% hexosamine 이었다. 그 다당류를 구성하는 단당류를 분석한 결과 glucose, galactose, mannose, fucose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항암작용의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마우스의 면역에 미치는 항암 성분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 활성화된 마크로파지에서 분비되는 superoxide anion 양을 1.6배로, 그리고 hemolytic plaque assay에서의 용혈반 형성 세포수를 6배로 각각 증가시켰다. 이 결과로 항암작용은 고형암에 직접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면역세포를 활성화 혹은 강화시키는 작용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