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Training

검색결과 1,729건 처리시간 0.032초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지원에 관한 연구 - 대전ㆍ충청권을 중심으로

  • 황영숙;모선희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5권1호
    • /
    • pp.14-2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types of services, difficulties, education programs, motivation,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hospice volunteers and also to suggest supporting programs for the volunteer. For these purpos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mong the 200 hospice volunteers in ten hospice organization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In this research, 85.5% of the respondents were women and most of them were housewiv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The majority of hospice volunteers had an education background of more than high school. Christianity (94%) was the dominant religion of volunteers. Among the service area of the hospice, emotional caring, such as listening closely and establishing empathy were the most frequently done by the respondents and the next one was spiritual care. Hospice volunteers who had started with altruistic motivation show more dynamic activities in emotional, spiritual, physical caring and so on, than those with non-altruistic motiv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at they felt a hospice volunteer was valuable. However they had a hard time to overcome the sorrow coming from sharing empathy with the dying patients. Those who had started with altruistic motivation usually took part in two times per a week and had more positive attitude. Volunteers who had been working more than five years showed better attitude than those who had been working less than three years. The longer the voluntary services, the more positive attitude experienced by volunteers. Hospice volunteers encountered the most considerable difficulty with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heir actual capability. Insufficiency of time was the next reason for the considerable difficulty of the hospice volunteer. On the other hand, those who served more than twice per week replied that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heir capability were the least considerable difficulty. Insufficiency of time was the reason of difficulty for male volunteers, as well as for females under thirty and thos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respectively. Generally most of the hospice volunteers (70%) were satisfied with their services and they usually satisfied with physical caring, spiritual caring, hospice's family caring. The less difficulty in voluntary services, more satisfaction for the volunteers in the e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attitude of the hospice volunteer and frequency of voluntary services while the volunteers' difficulty affect negatively their attitud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voluntary services. Most of the hospice volunteers want to have more education about basic skills, volunteer's attitude and role, spirituality, the way of attending on the hospice and so on. Most of them considered discussion and sharing different cases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ey also wish to had more supporting programs for the hospice volunteers(in the order of their needs) such as regular events, newsletters, personal concern, social meetings among the volunteers, insurance and minimum expens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more programs should be run in order to activate the voluntary service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education background. A continuous practical supporting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considering every field of voluntary services. Expanding the role of the volunteers allows them more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voluntary services and th activate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hospice system as a part public medical system, which can not only facilitate the voluntary services for a hospice but also enhance professional hospice volunteers. Finally, experts are needed to operate the voluntary services effectively.

  • PDF

서울시내 일부 노인들의 소외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Extent of Alienation Revealed among A Group of Aged People in Seoul City)

  • 김행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2-43
    • /
    • 1974
  • A steady increase in the aged population poses a great challenge to nurses with their diversities of health care needs, especially of psychological nature, such as an alienation problems among the 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alienation problems among the aged in urban are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ged people.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has tried to identify causes of alienation in the aged,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alienation in relation to sex, family structure, religion, economic statu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survey was done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st part of August to the end of September 1973. After a day's training, 10 interviewers have interviewed 210 stratified random samples of people over the age of 65 residing in Seoul with the free-ended questionnaire prepared by the investigator.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ested by Critical Ratio. Following Hypothesis have guides formulation of the study: I. The extent of alienation in old man would be higher than in old woman, II.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live alone would be higher than those living with their family. III.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have no spouse would be higher than who live with their spouse. IV.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people without religious beliefs would be higher than the people with religious biles. V.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ould be higher in proportion to decreased level of their economic productivity. Ⅵ.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do no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actively participate. The analytic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ellows: 1. The extent of alienation in woman wa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man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CR=3.66) Accordingly hypothesis I was denied. 2.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ile live alone wa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live with their family b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CR=7.31) So hypothesis II was supported. 3. The extent of alienation of the aged who have no spouse wa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live with their spouse at the significant level of P <0.01. CR=4.65) Accordingly hypothesis III was supported,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alienation between the people with and-without religion. Thus hypothesis IV was rejected. 5.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as found to be higher in proportion to decreased level of their economic ability. a. The aged with greatest income showed least alienation b. The aged with no income had a greater extent of alienation than the aged with minimal income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1 level . (CR=4.82)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eatest income group and the minimal income group was. found to be less significant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inimal income group and the-people without income. Thus hypothesis V was positively supported. 6.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do no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actively participate. (P <0.01, CR=6.24) According1y hypothesis Ⅵ was supported.

  • PDF

체육영재의 영재성 평가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the Developed Evaluation Method for Competition Intelligence of Sport Talented Children)

  • 김광회;김원현;김도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65-4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김광회 등(2015)의 체육영재의 영재성 검사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로써 이를 위하여 총 3회에 걸친 지도자 관찰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후 관찰평가 결과의 하위영역(실천지능, 학습지능, 훈련지능)과 영재 학생들의 체력 및 종목적합률(KOSTASS) 향상도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목별 지도자의 영재성 하위 영역간 상관성은 모든 영역에서 0.8 이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체육영재성의 모든 하위영역은 제자리멀리뛰기, 50m 달리기, 사이드스텝 테스트 향상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p<.05). 셋째, 체육영재성의 모든 하위영역은 KOSTASS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는 김광회 등(2015)이 제시한 영재성 평가도구가 체육영재 학생들의 기초체력 요인의 향상도 수준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학습과정이 요구되는 체력요인에 대한 상관결과는 체육영재성 평가도구가 학습과정 및 과제습득 수준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P.가 생쥐의 수영능(水泳能)과 수영부하(水泳負荷)로 야기(惹起)된 흰쥐의 피로회복(疲勞恢復)에 미치는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f B.E.P.(Biological Energy Projector) on the swimming Time of Mice and on the Recovery of Muscular Fatigue of Rats)

  • 이철완
    • 혜화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7-371
    • /
    • 1995
  • We have completed a study to measure the contents of glucose, BUN, creatinine. LDH, and T-protein with respect to a fatigued condition in the bloods of rats which a constant swimming is loaded and to measure the maximun swimming time of mice The test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basic study on the efficacy of B. E. P. (Biological Energy Projector) for emitting a light energy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out of far-infrared rays. As a result.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t testing of mice's maximun swimming time, all of B.E.P.(2. 4. 8. 24hrs) treated group have been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only 24hrs-B.E.P.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4 weeks. 2. The contents of glucose, BUN. creatinine, LDH, and T-protein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swimming of mice have been distinctly changed but not been significantly changed at their increase and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3. At 3rd day out of the swimming loading, the contents of glucose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24hrs-B.E.P treated group surpassed 8hrs-B.E.P. treated group. 4. At 1st and 3rd day, the contents of creatinine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at B.E.P. (8, 24hrs) treated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have been recovered to the condition of the normal group. 5. After three days, the contents of BUN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E.P.(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have been recovered to the condition of the normal group. 6. The contents of LDH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ecreased in B.E.P.(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24hrs-B.E.P. treated group has been decreased distinctly than the normal group. 7. The contents of T-protein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in B.E.P. (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normal group. As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execise of mice and the fatigue metabolism of rats were influenced by the light energy emitted the B.E.P., and it has been also proved that the external stimulation could be used as a preferable stimulative factor for the biological metabolism. If the clinical training and study are positively achieved, the B.E.P. would be used as curative mea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helping human body.

  • PDF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학서(學書) 연마와 서예론(書藝論) 고찰 (A Study on Changam, Lee Samman's a course of learning calligraphy and calligraphy theory)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27-334
    • /
    • 2020
  •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지칭될 만큼 독자적 서풍을 창안한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1770~1845)은 '법고(法古)'를 중시하였는데, 한위대(漢魏代) 서예를 근본으로 하고, 동국진체(東國眞體)를 완성한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를 마음의 스승으로 삼아 수련하였다. 만년에는 올바른 필법 전수를 위해 『창암서결(蒼巖書訣)』을 저술하여 보편적 서예의 기본원리와 자신의 서예관을 피력하였다. 창암(蒼巖)이 지향하는 서체는 해서(楷書) 근골(筋骨)의 확립을 통한 초서(草書)로 완결된다. 이를 위해 한위(漢魏)의 서체를 전범(典範)으로 제안하였는데, 온후간원(穩厚簡遠)한 한위근골(漢魏筋骨)은 무위자연적(無爲自然的) 무법(無法)의 경지를 보여준다. 이로 보아 창암(蒼巖) 서예론의 핵심이자 궁극적 지향점은 '자연(自然)'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법의 극치에 이르러 다시 무법(無法)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여기에서 음양(陰陽)이 생성되고 형(形)·세(勢)·기(氣)가 부드러움을 도모하면 기괴(奇怪)함이 생겨난다고 보았던 것이다. 한편, 고법(古法)에 얽매이지 않고 우졸(愚拙)한 자연천성(自然天成)을 발현하면 장법과 포치가 일운무적(逸韻無跡)한 득필천연(得筆天然)을 이룬다고 강조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그의 서체가 자연을 예술로 승화하면서, 조선 고유의 서예미를 끊임없이 접목·시도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하여 근골이 풍부하고 생명력과 역동감이 넘치는 형세를 이룬 일운무적(逸韻無跡)을 체화(體化)하였고, 득필천연(得筆天然)한 극공(極工)의 심미경지를 이루어 독창적인 '행운유수체(行雲流水體)'로 구현하였고 마침내 호남지방에 동국진체(東國眞體)의 서풍과 서예정신을 더욱 창달시켰다.

SNR 기반 가중 KL 거리를 활용한 화자 변화 검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peaker Change Verification Using SNR based weighted KL distance)

  • 조준범;이지은;이경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59-16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방송 뉴스에서 화자 변화 검증 성능 향상을 위해서 입력소음음성 향상과 SNR(Signal to Noise Ratio)기반 가중 함수 $w_m$를 적용한 KL 거리 $D_s$를 실험하였다. GMM-UBM(Gaussian Mixture Model-Universal Background Model) 기반 KL(Kullback Leibler) 거리 D를 이용한 화자 변화 검증 시스템(실험 0)을 기본 시스템으로 한다. 실험 1은 실험 0의 입력소음음성 향상을 위해 MMSE Log-STSA(Minimum Mean Square Error Log-Spectral Amplitude Estimator)를 적용하였다. 실험 2는 실험 1의 기존 KL거리 D 대신에 $D_s$를 적용하였다. 실험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소음을 반영하기 위해 스포츠 뉴스와 실외 인터뷰를 중심으로 구축하였다. 실험은 화자 변화 정보의 누락을 막기 위해 MDR(Missed Detection Rate) 0%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 0은 FAR(False Alarm Rate) 71.5%의 성능을 보였다. 실험 1은 FAR 67.3%로 실험0에 비해 4.2% 향상되었고, 실험 2는 FAR 60.7%로 10.8% 향상되었다.

측량대가 기준의 적정성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Plan through Appropriateness Analysis of Standard of Survey Cost)

  • 한수희;이병길;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1-222
    • /
    • 2020
  • 본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하고 있는 측량대가 산정체계인 「측량대가의 기준」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측량대가기준은 최초 제정 이후 크게 개정되지 않았으나 측량산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대가기준의 현실화는 기술자 양성과 산업 발전을 위해 절실히 필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량대가기준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측량대가기준의 개요와 기본적인 특성 및 연혁을 분석하고 국내 유사 기준과 비교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관·산의 의견을 수렴하고 노임단가와 간접비 요율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표준품셈의 정비가 필요하며 직접경비에 누락된 항목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외국의 대가기준 및 지적 분야와의 대가기준을 비교해 볼 때, 측량 분야의 노임단가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간접비의 요율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간접비가 적절히 계상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는 교육·홍보의 강화를 통해 대응하여야 한다. 넷째, 신기술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측량용역대가 심의위원회의 운영 또는 표준시장단가체계 도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 내 식생활 단원의 내용 분석을 통한 학생들의 실천도 조사 (Analysis of Students' Level of Participat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Unit of Dietary Life from Grade 9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김윤선;김복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5-78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 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추출된 체험 중심 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과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은 대체로 활동자료를 통해 가정생활에서의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표/그림/사진과 읽기자료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체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활동과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념을 설명하고 있었다. 체험 중심 학습 내용 중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항목은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순이었으며, 실천도가 낮은 항목은 '음식 만들어보기'와 '균형 잡힌 식단 작성하기'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를 제시한 항목에서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기술 가정교과 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강의중심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교육매체 및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주제전문인력 확보 및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Subject Specialized Manpower and Institutionaliz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서자격 발급현황이나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운영현황, 그리고 유사 문화시설의 전문인력 현황 및 채용방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주제전문사서 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제전문사서 양성 방안으로는 정규교육과정과 재교육과정을 통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학부부터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과 기존사서를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주제전문사서의 기본적인 자격은 석사이상의 학력으로 3년 이상의 주제분야서비스 경력을 갖추어야 하며, 주제분야 배경을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주제분야에서 학사학위나 석사학위를 갖추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주제전문사서의 처우 개선을 위해 행정직군 내의 주제사서직렬을 연구직 아래의 학예직군으로 하위 직렬에 연구사서(또는 문헌정보)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하는 것이다. 즉 현재의 사서직렬은 그대로 두고 주제전문사서의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함으로써 사서와 주제전문사서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 송기호;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