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Survey

검색결과 4,961건 처리시간 0.061초

A Study for Worker's Change of Average Time on the Time Use Survey

  • Nam, Ki-Seong;Kim, Hee-J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849-860
    • /
    • 2005
  • This Paper analyzed activities of the average time use survey in 1999 and 2004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urvey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nsidered general analysis for activities like that personal care(eating), employment and study, leisure, travel by purpose. Change of time of living causes a lot of effects on society whole economy, culture etc., and is used basic data in policy proposal of the country and enterprise's marketing operation establishment. Analysis for average time could look at change in a role of gender, holiday of saturday's enforcement and increasing of temporary post. Using this analysis we can do more developed and analytical sociological study.

  • PDF

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주거용 의자설계에 관한 연구 (Resicential Chair Design for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 박영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3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 residentical life, using furniture and opinion of auxiliary furniture ot find out alternative forms of desirable furniture.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a survey of residential life and furniture usage and a new chair design based on the survey. Documentary research, observational investigation and questionaire survey methods were used. According to the survey, a chair was chosen as the most needed piece of furniture. The alternative chair was designed to accomodate to the individual physical needs of each child. The structural charasteristics of the chair form consist of four parts: 1) basic seat 2) supporting metal frame 3) detachable chair legs 4) detachable table top. Auxilliary options include adjustable parts such as a head rest, seat belt, arm rest and pedestal.

  • PDF

냉동 창고 상시 적재하중에 관한 확률론적 연구 (Probabilistic Analysis of Design Live Loads on A Refrigeration Store)

  • 김대호;정재훈;원영술;주경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09-120
    • /
    • 2001
  • Live load data were collected with a systematic manner from a survey of a refrigeration stores. Using the collected floor live load survey data, the basic statistics, a histogram of the uniformly distributed loads, and the equivalent uniformly distributed loads are computed for various structural memb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maximum values of a combined live loads during the design life have been estimated and compared with current design live loads. The ultimate goal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probabilistic live load models to analyze survey data of domestic refrigeration stores, and to propose design live loads for structural types.

  • PDF

지표레이다(GPR) 탐사에 의한 하상퇴적물 조사

  • 장현삼;정성태
    • 지구물리
    • /
    • 제5권1호
    • /
    • pp.51-62
    • /
    • 2002
  • 지표레이다(GPR)를 이용하여 하상 퇴적물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은 수심이 약 2.5 m 정도로 얕고, 물이 흐르지 않는 호수이며, 조사대상인 뻘(mud)층의 두께가 얇아 GPR이 매우 효율적인 탐사방법이다. 조사결과 수심하부 층서구조, 즉 mud층, 모래층, 자갈 및 기반암의 구조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mud층의 분포 및 총 퇴적량은 향후 이 지역에서의 준설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촌 마을과 주택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농촌주택 조사체계 정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rvey System of a Rural Housing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ing on Rural Village and Housing)

  • 배웅규;김원;정동섭;윤용우
    • 농촌계획
    • /
    • 제20권1호
    • /
    • pp.77-89
    • /
    • 2014
  •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ystem to investigate and analyze various impacting factors to Rural Housings such as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s located in a Rural Village to the Village and a Unit Hous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inside the Unit Housing and the Village, and to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Space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argely summarized as following four kinds. Rural Housing Survey System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and they are a Preliminary Survey, Basic Survey and In-depth Survey. Along with these, the scope of the survey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a survey result by a unit of village, of land, of housing, and of resident's opinion survey. Secondly, the surveys by village unit are on location properties, Village Identity, Street Network, Land Use, Landscape Features and Public Facilities, and consist of Literature, Discussion and Field Survey. Thirdly, the land Unit Surveys are on a Driveway, Gate Location, Housing Placement, Outer Space Design in a Yard and Outer Space Use Characteristics, and consist of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For the fourth, the Housing Unit Surveys are on an Internal Space Design and Placement, and consist of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Finally, the Resident Questionnaire Survey consisted of Entire Discussion Survey and a Household one, and then the Entire Survey was on the Village's History, Village's Characteristics,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Activities while an individual one was on Main Living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Participators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ngik University -)

  • 박진원;황광진;조규남;백현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20-33
    • /
    • 2007
  • 본 논문은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공과대학에서 교수, 재학생 및 졸업생 등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여러 대학들을 조사하여 실무형 공학교육을 각각 기업 맞춤형, 전공 강화형, 기본소양 강화형 및 기타 등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들에 대한 공학 교육 당사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한 것이다. 그리고 취업을 위해 어떤 교육 내용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실무형 공학교육을 기업 맞춤형 교육으로 가장 많이 이해하고 있었고 실무 적응을 위한 기본소양 강화 교육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도 상당수가 있었다. 신입사원 채용 시험에 교수와 졸업생은 인성, 품성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재학생은 전공 실력과 영어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공계 학생으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점은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영어 능력을 들었으나 교수는 전공 실력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본 연구는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를 위한 공학교육의 발전 방향을 유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추출했다고 판단되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해 좀 더 세밀하고 광범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색채 이미지 유형에 따른 성별 색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패션샵 파사드의 색채 적용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Color Preferences of Genders of Color Image Types - From the Perspectives of Color Application of the Fashion Shop Facade -)

  • 여미;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36-147
    • /
    • 2012
  • This study researched about gender color preference as basic data for color application of fashion shop Facade. A HUE TONE system from V(vivid) to DK(dark) was used based on 10 colors of the IRI-120 color chart,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was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on males and females of over teenage years, and it was analyzed and presented as a color matching chart. And it was suggested as a color guideline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Few definitions can be giv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reference degree according to gender was similar but different senses were shown visually even though the same adjective expressive vocabulary of a color image was suggested. This means there is an unchanging basic conservative disposition that males and females do not have and therefore they infer different idea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and factors. Second, females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colors than males in the gender color preference result, which confirmed the deviation of each color group that is characteristically preferred according to a category. Third, high preferred color matches according to gender were shown for each vocabulary in various senses such as similar color matching, complementary color matching, separation color matching, and accent color matching. A universal empirical theory by general sensibility was obtained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securement of a color design planning as basic data and the extent of usability by quantitatively showing the order of priority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great help as basic data for invigor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a color planning for designers and users.

  • PDF

경상계열 학생들을 위한 기초수학 교과목 지도방안 (A Teaching Method of Basic Mathematics Subject for Studen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 신현주;표용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41-16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P대학에서 경상계열 학생들을 위해 기초수학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영수학입문 수강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수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지도 및 평가방법과 수학카페 이용 현황 등을 중심으로 교과목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와 취득성적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질문을 학습내용별로 정리하고 일부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지도 방법과 지도상의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지필고사에서 경상계열 학생들이 주로 범하는 대표적인 오답의 유형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경상계열 학생들의 수학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학습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The Composition of Teacher Curriculum based on Maker Educatio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이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5-6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메이커 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과정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 및 의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난 반면 메이커 교육의 효과, 중요성, 가치, 지속적 적용과 발전가능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이커 교사교육과 교육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조사결과를 기초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크게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다. 기본과정에는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스페이스의 개념 및 의미 등에 대한 기반 내용을 포함시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심화과정에서는 다양한 도구, 재료 및 디지털 매체 활용방법과 메이커 교육 수행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메이커 교육활용 능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디지털 수업역량을 강화하는데 기본방향을 제안해 줄 수 있다.

간호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Burnout depending on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 조영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13-42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조직의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소진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 M시에 소재한 5개 중소병원 간호사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 유형은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과 정적 상관관계가, 심리적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 문화유형이 간호사의 긍정심리에 정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간호조직 내 시스템 구축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