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eedling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복합종자세지수를 이용한 보리 포장출아률과 수량예측 (The Use of Multiple Seed Vigor Indices to Predict Field Emergence and Grain Yield of Naked and Malting Barley)

  • Kim, Seok-Hyeon;Bin, Yeong-Ho;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4-141
    • /
    • 1989
  • 보리종실의 샐리적 특성을 포장출아력과 비교함으로써 포장유묘출아율과 수량의 예측에 적합한 검정방법을 구명하고자 맥주보리 2품종과 쌀보리 2품종을 인위노화처리시켜 고온발아검정(warm germination test), 저온발아검정(cold germination test), Tetrazolium 유모세검정(TZ vigor test), 전기전도도검정(electroconductivity test)의 결과를 포장출아율 및 수량과 비교 검토 하였다. 고온발아검정과 저온발아검정이 포장출아율 예측에 효과적인 검정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맥주보리에서는 Y(포장출아율)=-2.962+0.229X$_1$ (% warm germination) -0.001X$_2$ (vigor, WGT) +0.354X$_3$ (vigor, CT) -0.558X$_4$ (% cold germination)으로 나타났다. 다중화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맥주보리의 경우 고온발아검정에서의 발아율만으로 포장출아율을 64%예측할 수 있었다. 고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율은 각각 4, 7, 9%씩 결정계수를 높혔다. 네가지 검정치의 누가적 예측효율은 맥주보리에서 84%, 쌀보리 54%였다. 수량에서는 포장출아율에서 보다 맥주보리, 쌀보리 공히 예측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 PDF

볏짚추출물이 독새풀과 보리의 초장 및 유근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ice Straw Extract on Growth of Barley and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Kom.) Ohwi)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1998
  • 노동력 부족으로 대부분의 농가가 논에서 태우거나 볏짚이 있는 상태에서 보리를 파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물과 잡초의 발생이나 생육이 억제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구명하고자, 추출온도, 시간, 추출농도, 생육시기, 품종에 따른 볏짚 추출물이 보리 또는 독새풀의 초장, 근장,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볏짚 10%(w/v), $24^{\circ}C$, 5시간 추출액이 보리의 초장, 근장 및 발아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2. 5%(w/v)의 볏짚 추출액은 보리의 초장의 신장과 발아를 촉진하나, 독새풀은 억제하였고, 10-20%(w/v)에서 독새풀의 초장, 근장 및 발아율이 61.0-100% 억제되었다. 3. 볏짚의 유묘기, 분얼기, 출수기, 성숙기, 수확기의 추출물중 유묘기의 추출물이 보리의 초장, 근장 및 발아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4. 17종의 벼 품종 중 대림벼 추출물이 보리의 생육을 가장 많이 억제하였고, 안중벼가 가장 낮았다. 5 볏짚 추출물에 대하여 10종의 보리품종중 새올보리의 생육이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부농이 가장 낮았다.

  • PDF

보리 피과성이 발아 및 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lled and Hulless Barley Isogenic Lines on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

  • 이은섭;정덕현;천종은;남중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8-83
    • /
    • 1986
  • 본 실험은 과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낮은 출현율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피주성 isogenic line을 육성 공시하여 발아 및 출현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는 수확기의 강우, 탈곡기회전수, 파종심도, 온도등을 달리하여 비교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확 전일 강우시는 피성에 비하여 과성의 발아율이 4∼6 % 낮았으며, 5 일 인공강수처리에서는 과성의 발아율은 현저히 저하되었다. 2. 탈곡기회전수가 600rpm에서 1,000rpm 으로 상승할 때 피성의 발아율이 100 %에서 90%로 저하된 반면, 과성은 98%에서 76%로 발아율이 크게 저하되었다. 3. 과성에서 발아율보다 출현율이 피성에 비하여 큰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그 차이가 컸다. 4. 파종심도, 고탈곡회전수, 수확시의 강우 순으로 피성보다 과성의 출현율을 크게 저하시켰다. 따라서 과맥을 육종할 때 출현율 및 유묘활력 향상을 위한 육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EG로 프라이밍 된 보리(Hordeum vulgare L.)종자의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EG Priming Seed in Barley (Hordeum vulgare L.))

  • 이성춘;박문수;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25
    • /
    • 2002
  • 노동력의 절약은 물론 농기계의 효율을 증진시키고 생산비를 절약하여 취약한 보리재배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보리종자에 종자처리를 하여 발아시기와 유묘생장을 조정함으로서 벼·보리수확 동시파종재배를 실용화하기 위하여 보리종자에 프라이밍 처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발아율은 대조구보다 PEG 처리구에서 더 높았는데 처 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2. 평균발아율은 PEG 처리한 다음 수세하여 PEG를 제거한 종자가 수세하지 않은 종자에 비해, PEG처리 후 재건조 종자의 발아율은 건조하지 않은 종자보다 저조하였다. 3. 발아소요시간은 PEG 처리에 의해 크게 단축되었는데 처리기간이 길면 길수록 길었다. 4. 포장 출아율은 PEG 처리 종자가 대조구에 비해 훨씬 높았는데 처리기간이 지 연될수록,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조하였다. 6. 출아소요시간은 PEG처리한 다음 수세 하여 PEG를 제거한 종자가 수세하지 않은 종자에 비해 단축되었으며, PEG 처리 후 재건조 종자는 재 건조하지 않은 종자보다 지연되었다. 7. PEG 처리 종자의 포장 출아율은 모든 토양수분 함량에서 대조구 보다 훨씬 높았으며, 포장 용수량의 50%에서 70과 90%보다 높았다. 8. 토양수분함량별 출아소요시 간은 포장용수량의 50%토양수분함량에서 가장 단축되었으며, 이보다 높으면 지연되었다 9. PEG 처 종자의 유묘장은 D.W 프라이밍 종자가 대조구보다 컸으며, PEG처리 종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작았다. 유근장도 이와 비슷하였다.

Studies on Pathogenicity of Wheat Scab Fungus(Gibberella zeae) to Various Crop Seedlings

  • Chung H. W.;Chung H. S.;Chung B. J.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21-25
    • /
    • 1964
  • 1. 본 시험은 이병된 식물의 잔재물 또는 토양중에 있는 맥류적미병균(Gibberella zeae (Mont.) Sacc.)이 14종의 작물유묘에 미치는 병원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2. 이들 작물은 병원균을 인공적으로 접종한 토양, 그리고 맥류적미병의 발생이 자연적으로 심했던 곳과 경했던 곳의 토양에 공시하여 본균에 대한 이병성을 검정하였다. 3. 인공접종시험에 있어서 보리, 밀, 호밀, 콩, 벼, 메밀, 옥수수, 목화, 녹두는 이병성이었고, 팥, 참깨, 수수, 무, 배추 등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 인공접종시험에 있어서, 이병성작물의 발아율은 벼, 옥수수, 목화를 제외하고 접종토양과 배접종토양에 있어 현저한 유의차가 있었다. 아시전립고는 보리, 옥수수에서만, 아시후립고는 호밀, 밀, 벼, 메밀, 보리, 옥수수에서 일어났다. 이병성작물의 대부분은 제2차근이 거의 부패하였고 제1차근도 부패 내지 변색되어 있었다. 이병성작물은 초장이 접종토양과 비접종토양에 있어 현저한 유의차가 있었다. 5. 자연상태에서 맥류적미병의 발생이 심했던 곳과 경했던 곳의 토양에 보리, 밀, 호밀을 파종하였으나 본균에 의한 침해나 영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Effects of Elicitors on Seedling Growth, Total Polyphenol and Chlorophyl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Hordeum vulgare L.)

  • Salitxay, Timnoy;Phouthaxay, Phonesavanh;Pang, Yeoun-Gyu;Yeong, Yu-Chi;Adhikari, Prakash Babu;Park, Cheol-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33-40
    • /
    • 2016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growth parameters,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chlorophyll content as well as the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young barley seedling (YBS) affected by elicitation. Salicylic acid (SA), methyl jasmonate (MJ),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ALF) and microbial metabolism activator (MMA) were used. Elicitation was conducted for two times and various concentra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 revealed that, MJ 1 ml/L treated-YBS gave the longest seedling length of 1.33 cm, followed by the ones treated with SA 1.38 mg/L and ALF 2 ml/L, respectively. ALF 3 ml/L treatment gave the highest fresh weight of 10 seedlings, followed by MJ 5 ml/L and SA 13.8 mg/L treatment with 1.56 g, 1.55 g and 1.53 g respectively. SA 138.12 mg/L elicitor treated-YBS gave the highest Chl a, Chl b content of $8.57{\mu}g/mg$ and $3.83{\mu}g/mg$, respectively while the highest carotenoid content was found in MJ ml/L treatment with $1.62{\mu}g/mg$. Among elicitor treated-YBS, SA showed better TPC. The highest TPC was found in SA 1.38 mg/L treatment with 18.82 mg/g TAE. Likewise, SA 1.38 mg/L showe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all the treatments. However, the lowest TPC was found in ALF 1ml/L treated-YBS with 9.46 mg/g TAE, which was even lower than the control (14.31 mg/g TAE).

보리 분얼성 동질유전자계통의 재식밀도 조절에 따른 특성 변화 (Change of Agronomic Traits of Tillering Isogenic Lines under Different Seedling Density in Barley)

  • 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44
    • /
    • 1996
  • 보리 분얼성 isogenic line 4계통(Kindred, Morex)을 이용하여 파종양 및 결주율에 따른 주요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 다얼성 계통은 단간성 계통에 비하여 곡립의 수양은 46%, 엽면적지수 56%가 높았으나, 단간성 계통은 정립률이 69% 천립중은 27%가 높았다. 2. 단단성 계통은 출수기가 4∼8일, 성숙기는 2∼3일 빨랐다. 3. 곡립수양은 수수에 따른 직선회귀에 잘 적용되어 수수의 기여도가 매우 컷다. 4. 결주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1수입수 및 천립중이 다소 증가하나 수수의 감소로 곡립의 수양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5. 반면에 결주율이 증가될 때 정립률, 엽의 광합성능 및 분얼수가 증가하였다. 6. 분얼성 isogenic line이 재해에 의해서 결주가 발생시 수수가 곡립의 수양을 좌우하였다. 7. 단간성 인자의 도입, 육종 및 보급을 위해선 이들 동질유전자 계통을 포장에 다년간 반복 실험하여 보다 정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PDF

잡초와 작물에 대한 알팔파 잔유물의 Allelopathy 효과 (The Allelopathic Effect of Alfalfa residues on Crops and Weeds)

  • 유창연;전인수;정일민;허장현;김이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1-140
    • /
    • 1995
  • 본 실험은 allelopathic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alfalfa식물을 이용하여 주요 특용작물과 잡초의 발아 및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falfa 건조분말의 토양혼화시 건조분말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물, 들깨, 도라지 및 잡초(바랭이, 강아지 풀, 털진득찰, 개비름, 까마중)의 발아율 및 줄기와 뿌리생육이 억제되었으며, 건조분말농도가 10% 이상일때는 80% 이상 발아 및 생육의 억제를 가져왔다. 2. Alfalfa의 생체추출물도 작물(알팔파, 보리, 호밀, 참깨) 및 잡초(피, 강아지풀, 쇠비름)의 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생체추출 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반응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생체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잡초 및 작물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3. 알팔파 건조분말 추출물질도 알팔파, 도라지, 보리, 참깨 및 잡초(바랭이, 털진득찰, 강아지풀, 쇠비름, 피) 등의 발아율, 줄기 및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추출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건조분말 농도가 10% 이상이었을때 털전득찰, 쇠비름 등의 발아가 전혀 안되었으며 강아지폴은 15%만 발아가 되었다. 4.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알팔파가 함유한 phenol compounds 중 salicylic acid가 전체 phenol compounds의 70% 정도 차지하고 있어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syringic acid, ferulic acid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한계기 구명 (Critical Date of Wet Direct Seeding of Rice after Barley Cropping at Honam Plain Area)

  • 백남현;최민규;박홍규;남정권;고종철;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08-212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 한계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1998{\sim}1999$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조생종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 중생종 금오벼 1호, 주안벼를 공시하여 6월 5일, 6월 10일, 6월 15일, 6월 20일에 10 a당 7 kg씩 담수표면산파하여 생육 및 쌀 수량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68{\sim}81%$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입모율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도복은 오봉벼, 주안벼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나 삼천벼, 상미벼, 금호벼 1호는 도복발생이 심했다. 3. 안전출수기로 본 파종한계기는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의 경우 6월 20일까지, 금오벼 1호와 주안벼는 6월 15일까지였다. 4. 쌀 수량은 6월 5일 파종과 6월 10일 파종은 파종기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6월 15일 이후 파종에서는 수량감소가 컸다. 5.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출수기, 수량 등을 고려한 파종한계기는 6월 10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