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rley Seed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1초

Chemical Control of Gray Mo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 Kwon, Byung-Sun;Shin, Dong-You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30-13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Gray mold,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after barley cropping.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Scutellaria baicalensis. All seed disinfectants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date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The major seed disinfectants were Benomyl Wp, $20\%$, Captan Wp, $50\%$, Hymexazol Ec, $30\%$, Carboxin D, $37.5\%$. Dry root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Benomyl Wp, $20\%$, seed disinfectant than the other seed disinfectant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seed disinfectant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 PDF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Growing/Finishing Pigs Fed Barley-Based Diets Supplemented with an Extruded or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or Meal

  • Thacker, P.A.;Qiao, Shiy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02-105
    • /
    • 2002
  • Seventy-two crossbred pigs weighing an average of 41.5 kg were assigned on the basis of sex, weight and litter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factorial (4 treatments${\times}$2 sexes) arrangement. The control diet was based on barley and soybean meal while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sisted of diets in which a portion of the dietary protein was supplied by 20% of a 50:50 blend of extruded ($130^{\circ}C$ for 20 to 25 sec) peas and full-fat canola seed, 20% of a 50:50 blend of unextruded peas and full-fat canola seed or a diet containing 10% peas, 6% canola meal and 4% canola oil (to equal the level of canola oil provided by 10% whole canola seed).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gross energ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the control diet than for the other three diets. Extrusion produced no beneficial effects (p>0.05)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gestibility between the diet based on intact canola seed compared with the diet containing canola meal and oil. Choice of protein supple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gain, feed intake or feed conversion during the grower or finisher phases and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Extrusion of the pea-canola blend produced no beneficial effects on pig performance as the performance of pigs fed either the extruded or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was similar.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pigs fed diets containing intact canola seed was similar to that of pigs fed canola meal and oil. Castrates gained faster and consumed more feed than gilts (p<0.05). However, their feed conversion was poorer than that of the gilts during the finisher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traits between pigs fed the control and any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s. Extrusion had no effect on carcass traits and the carcasses of pigs fed canola meal and oil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pigs fed whole canola seed. Castrates had a significantly lower dressing percentage, lower estimated lean yield but greater loin fat depth than gilts (p<0.05).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peas in combination with canola seed or canola meal are an acceptable alternative to soybean meal as a protein supplement for use in growing-finishing swine diets. Extrusion did not appear to have any beneficial effect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canola seed-pea blend as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were similar for pigs fed the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compared with the extruded product. Since the process adds to the cost of the raw products, its use is unlikely to be economical.

Inheritence, linkage and Possible Use of Fractured Starch Mutant in Barley (Hordeum Vulga L.)

  • Chung, Tae-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51-157
    • /
    • 2001
  • In order to breed barley lines with reduced viscosity of wort, a fractured starch mutant of naked barley cultivar, Nubet, was obtained from the M2 seeds mutated by the diethyl sulfate treatment. Seeds of this fractured starch mutant were opaque and the endosperm consists of angular, irregular and fractured starch. The mutant was caused by single recessive mutation and assigned by the symbol fra. The gene was located on chromosome 4, distal in long arm by linkage recombinations using translocation homozygote lethal test set. The linkage value between the fractured starch mutant and 72-4a, 72-4d were 26.0$\pm$4.9, 34.2$\pm$3.1 perc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reduced seed size, fewer kernels per spike and higher tillering ability, lower $\beta$-glucan viscosity and higher lysine content of the grain were associated with this mutant. $\beta$-glucan viscosity of the Nubet grains increased from 3 weeks after anthesis to matury and most of the viscose substances appeared to be stored in the middle of the endosperm tissue. Since the mutant grains showed better milling property as compared to Nubet, it can be used as breeding resources to develope new barley cultivars for maltins and milling purpose.

  • PDF

한국에서의 Fusarium균에 의한 보리의 토양전염성병 (Soil-borne Diseases of Barley in Barley in Korea Caused by Fusarium spp.)

  • 성재모;;정봉구;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19
    • /
    • 1977
  • Fusarium spp가 1976년 포장에서 채집한 벼밀 보리에서 분리되었다. 병원성이 있는 것은 Fuarium(Calonectria) nivale, F.(Gibberella) moniliforme와 F.(Gibberella) roseum 'Graminearum'과 'Avenaceum'이었다. 부생균가운데 F.(Nectria) episphaeria가 분리되었다. F. nivale와 F. episphaeria의 완전시대인 Calonectria Nectria가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분리된 Fusaria는 벼에서 $66.3\%$가 F. moniliforme 이고 보리, 밀에서$68.2\%$가 F. roseum 'Graminearum 이었다. 자낭각은 실험실 조건하에서 형성되었고 F. moniliforme는 밀이삭, 보리씨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나타났다.

  • PDF

식물 품종 및 종자의 품질평가 기준에 대한 규정현황 (Legal Aspects for Quality Evaluation Standard of Plant Variety and Seed)

  • 최근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200-215
    • /
    • 2002
  • There are som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rganization control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eties and seeds such as UPOV, OECD, ISTA, AOSA. The National List system to check variety performance such a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ant varieties and seeds was established by each countries. The UPOV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 regulates the requirement of plant variety protection that is distinctness (D), uniformity (U), stability (S) (here in after called DUS), Novelty and Denomination, and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are used to examine the requirement of plant variety protection by each crops.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seed scheme regulates the seed certification for seed trade between countries. ISTA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and AOSA(Association for Official Seed Analyst) regulates the seed analysis standard and methods. Most of the countries in Europe has the National List system, which check the value for cultivation and use(VCU), that is to say, variety performance such as yield, quality and stress to environment. All the seeds should be enlisted in the National List before sell the seed in their country. Al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checked variety performance are for instance, amylose and amylopectin content in rice, molting quality, $\beta$-glucan, protein in barley, protein and sugar content in soybean, sugar and amylopectin content in corn etc. Conditions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y of plant are DUS. Quality characteristics may b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used to check DUS in crop by crop.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new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standard method fur examine the VCU and DUS test for each crop.

파종방법 및 파종량이 사료용 보리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Method and Seeding Rate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rage Barley)

  • 김원호;서성;신재순;임영철;김기용;최기춘;김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7-323
    • /
    • 2004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품종을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생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원소재 축산연구소에서 2001년 10월부터 2003년 5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사료용 보리의 내한성, 내병성 그리고 내도복성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산파 130 kg/ha와 조파 130 kg/ha에서 각각 $32.0\%$$32.7\%$로 낮았다. 그리고 생초수량에 있어서는 조파 130kg/ha구에서 32,07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산파 130 kg/ha구에서 20,944 kg/ha으로 가장 적었다(P<0.05). 또한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조파 160과 130 kg/ha구에서 각각 9,170와 9,138kg/ha으로 가장 많았고 산파 130 kg/ha구에서 5,710 kg/ha으로 가장 적었다(P<0.05).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답리작 논에서 사료용 보리의 파종방법에 있어 조파로 할 경우 ha당 130에서 160 kg/ha와 산파로 할 경우 190에서 220 kg/ha로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보리의 종실수량(種實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Germination behavoir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and the Density Effect on Barley Grain Yield)

  • 장영희;하용웅;맹돈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7
    • /
    • 1986
  • 맥류잡초중(麥類雜草中) 냉이의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생밀도(發生密度)에 따른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을 구명(究明)코저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한 바 몇가지 결과(結果) 얻었기에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냉이가 낙종후(落種後) 7월(月) 중순(中旬)까지(성숙후(成熟後) 약(約) 2개월(個月))는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기간(期間)으로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으나 그 이후(以後) 8월(月)에는 80% 이상(以上)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2. 냉이의 발아온도(發芽溫度)는 $15^{\circ}C$에서 발아(發芽)가 잘 되었고 $6^{\circ}C$ 이하(以下)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떨어졌으며, 명암(明暗) 어느 조건(條件)에서나 발아(發芽)에는 지장(支障)이 없었다. 3. 냉이의 휴면타파(休眠打破)를 위한 저온(低溫)과 고온처리(高溫處理)는 5^{\circ}C 저온(低溫) 3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40%, $40^{\circ}C$ 고온(高溫) 2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2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가 다소(多少) 인정(認定)되었다. 4.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클수록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적었으나 $m^2$당(當) 협수(莢數)는 많았으며 발생밀도별(發生密度別) 보리의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냉이 발생지수(發生指數) 500주(株)/$m^2$까지는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하였다. 5. $m^2$당(當)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 100~100 주(株)/$m^2$의 종자생산량(種子生産量)은 1,200천개(千個)~3,000천개(千個)였으며 그 중 경작(耕作)에 의한 매몰(埋沒) 또는 불량환경(不良環境) 등(等)으로 발아(發芽)되는 것을 극(極)히 적은 0.01~0.03%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6.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밀(密)할수록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은 컸으며 이는 냉이가 많이 발생(發生)하는 지대(地帶)는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로서 보리 감수율(減收率)을 추정(推定)할 수 있는 자료(資料)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보리호위위병(BaYMV)이병에 따른 쌀보리 품종의 생육특성 및 품질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Quality of Naked Barley Infected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 이중호;김양길;서재환;박종철;최재성;김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01-505
    • /
    • 2003
  • 보리호위축병 피해지역에 대한 수량감소의 예측을 위하여, 보리호위축병(BaYMV)에 대한 저항성 품종과 이병성 품종간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증질 변이를 건전구와 이병구에서 비교 조사하였다. 1. 보리호위축병의 이병주는 BaYMV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병정도는 감수성 품종인 백동에서 9, 저항성 품종인 내한쌀보리에서 1정도 발병하였다. 2. 감수성 품종인 백동은 천립중을 제외한 간장, 수당립수, $\textrm{m}^2$당 수수 등의 수량구성요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량은 대조구의 20%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3. 보리호위축병 감염구에서 종자의 발아율은 감수성 품종과 저항성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정립률은 감수성 품종인 백동에서 설립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정립률과 조단백질 함량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보리호위축병은 간장, 수량, 정립률, 수수, 천립중, 1수립수 등의 피해와 부의 상관을, 조단백질 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여 보리호위축병에 이병이 되면 수량 및 품질에 크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비의 부숙 과정 중 추출물이 종자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on Seed Germination)

  • 강상재;이창희;서상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7-414
    • /
    • 2007
  • 슬러지퇴비의 제조과정에서 2, 6, 8, 12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이 몇 가지 식물의 종자 발아율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시료 중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퇴비화 6주째까지는 그 함량이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은 퇴비 화가 진행될수록 전반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는 감소하다가 퇴비화 후반부에서는 중성 부근을 나타내었으며 EC는 6주째에는 증가하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점차 그 함량이 증가하다가 퇴비화 12주째에는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변화는 총질소의 변화와 같은 양상이었으며 암모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와의 비율은 8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12주째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이온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비화 초기 단계보다 퇴비화 후반부에서 모든 양이온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pH 6.48정도를 나타내었으며 EC는 퇴비화 2주째는 $3.43dS{\cdot}m^{-1}$에서 12주째 $1.72dS{\cdot}m^{-1}$로 낮게 나타났다. 배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상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비해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퇴비화 과정 중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콩과 보리 종자의 발아시험 결과 콩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극히 미약했다. 반면 보리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 작용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퇴비화 2주, 6주, 8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퇴비의 수용성 추출액의 저해작용은 식물의 종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종자 발아와 뿌리 생육에 대한 저해는 퇴비의 부숙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부숙 초기 퇴비의 수용성 물 추출액이 종자 발아와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크게 나타났으며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성별 지하수위가 밀, 보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able Depth in Different Soil Texture on Quality of Barley and Wheat Grain)

  • 이홍석;구자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8-284
    • /
    • 1995
  • 본 연구는 토성별 지하수위가 밀, 보리의 생산물 종실의 품질 및 발아와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추구함으로서 적정지하수위와 지하수위에 따른 피해 정도를 구명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올보리와 그루밀을 공시하여 1992년 10월 ~ 1993년 6월에 걸쳐 대형포트(550 liter)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성을 식양토와 사양토로 조성하여 전 생육기에 걸쳐 지하수위가 20, 30, 40, 50, 70cm가 되도록 조절하고 비가림 재배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립비율과 종보비중은 토성과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1,000립중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토성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다. 2. 조단백 함량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많아졌으며 특히 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토성에 따른 조단백 함량의 변화는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보다 적었으며 사양토에서의 것이 식양토의 것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그 차이는 적었다. 3. 조지방 함량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사양토에서의 조지방 함량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4. 회분 함량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특히 사양토에서 그 경향이 뚜렷하였다. 5. 밀의 제분율은 토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지하수위 20cm에서 종실 제분율이 65% 정도로 나타났고 지하수위 40cm 이하에서 제분율이 67% 이상으로 나타났다. 6. 2$0^{\circ}C$에서 3일 이내의 발아율에서 보면 보리와 밀 모두 모든 처리에서 95%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토성에 관계없이 지하수위 20cm에서 가장 낮은 발아율을 보였고 지하수위가 낮아질수록 발아율도 높아졌다. 7. 보리에서 24시간 이내의 발아율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48시간 이내의 발아율에서는 사양토의 지하수위 20cm 처리를 제외하고는 89% 이상의 발아율로 나타나 48시간 이내에 대부분이 발아하는 발아세를 보였다. 8. 보리 맥아에서의 당화력(diastic power)은 지하수위 20cm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지하수위 30cm 이하 처리에서의 당화력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토성에 따른 맥아 당화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