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nkfull discharge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Case Study of the Habitat Changes due to the Restoration of Low-Flow Channel (저수로 물길 복원을 통한 서식처 공간 변화 연구)

  • Choi, Jonggeun;Choi, Heung Sik;Choi, Byungwo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1
    • /
    • pp.58-68
    • /
    • 2019
  • This present study conducted the impact of the restoration of low-flow channel on fish habitat in a reach of the Wonju Stream, Korea. The target species were Zacco koreanus, a dominant species in the middle- and upper-stream of Wonju Stream. The River2D model was used for the computation of the flow and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ish habitat using habitat suitability curves. In order to restore the study area, the low-flow channel was identified through the bankfull discharge of the study reach, and the best hydraulic section was designed. In addition, various restor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low-flow channel through rocks, pool/riffle structures, and the change of the channel width.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best hydraulic section effects decreased habitat suitability for the target species. However, when various restor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he WUA (Weighted Usable Area) was improved by about 11%.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0-7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 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0-58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 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Bed Changes downstream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Han River Estuary - from 2009 to 2010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 하류에서 하상변동 - 2009년부터 2010년까지)

  • Hwang, Seung-Yong;Lee, Sam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6
    • /
    • pp.819-829
    • /
    • 2018
  • The bed change survey was carried out and its tendency was analyzed at the downstream of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Han River Estuary (HRE). In order to focus on the bed change in the low flow channel, we calculated the mean bed elevation based on the bankfull discharge. Thanks to the amount of bed changes calculated by using the 'averaged bed', we could compare the riverbeds of various periods with consistent criteria. In the HRE, revealed was the bed change cycle between degradation by flood and aggradation by tide at the non-flood season.

Numerical Simulation of Sand Bars downstream of Andong Dam (안동댐 하류 하천에서 사주의 재현 모의)

  • Jang, Chang-Lae;Shimizu, Yasuyu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4B
    • /
    • pp.379-388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al effects on the river changes downstream of Andong dam and simulated the reproduction of sand bars and the geomorphic changes numerically. The river bed downstream of Aandong dam and Imha dam was decreased and the mean diameter of bed materials w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lower channels was increased. The vegetated area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Andong dam construction. Moreover, the area was abruptly increased after Imha dam construction. The bankfull discharges was estimated to 580 $m^3/s$ after the dams construction and 2,857 $m^3/s$ before the dams. A flood mitigation safety by the dams construction considering return period was increased to 5 to 10 times. As a result of meso-scale regime analysis by using banfull discharge, the regime between single bars and multiple row bars before the dams construction was changed to completely the regime of multiple row bars after the dams.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and bars and lower channels were developed before the dams, and braided river was developed after the dams. This meant that the patterns of sand bars was changed by variable discharge due to the dams construction.

A Study on Carrying Capacity for Floodplain (홍수(洪水)터의 통수능(通水能)에 관한 연구(研究))

  • Ahn, Sang Jin;Lee, Jai K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7 no.1
    • /
    • pp.121-129
    • /
    • 1987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in the floodplai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arrying capacity in stream cross-section,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loodplain management.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turn period of bankfull discharge is about 1 to 2.5 years in Geum river system and the factors which have most important effects in the floodplain are the $Q_{100}$, the drainage area and the stream length. In Gong ju gauging station which has a recreation area, the carrying capacity is smaller than those of the other self-recording gauging station in Geum river basin. This shows that the complex cross-section of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arrying capacity in floodplain.

  • PDF

Lateral Migration Features of the Alluvial Channels in Hapyeong Intake Station, Nakdong River (해평취수장 부근에서 충적하천의 저수로 이동 특성)

  • Jang, Chang-Lae;Lee, Gang-Man;Kim, Gy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4
    • /
    • pp.395-404
    • /
    • 2008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mplex, various migration features of the alluvial channels for river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changes and migration features of alluvial channel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aerial photographs of active channels between 1972 and 2004 in Hapyeong Intake Station, Nakdong river. The lower channels were migrated from left bank to right bank and showed the features of braided channel in 2004. The instability of lower channels w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d channel slope and width. The sinuosity of lower channels was decreased with time. As time increased, the increasing rate of lower channel and lateral migration rate were decreased. As a result of meso-scale regime analysis by using bankfull discharge, multiple row bars were developed, and suspended sediment load was governed in the flow as a sand bed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