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ded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4초

Efficacy of Newer Molecules, Bioagents and Botanicals against Maydis Leaf Blight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of Maize

  • Malik, Vinod Kumar;Singh, Manjeet;Hooda, Karambir Singh;Yadav, Naresh Kumar;Chauhan, Prashant Kum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21-125
    • /
    • 2018
  • Maize (Zea mays L.; 2N=20) is major staple food crop grown worldwide adapted to several biotic and abiotic stresses. Maydis leaf blight (MLB)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BLSB) are serious foliar fungal diseases may cause up to 40% and 100% grain yield loss,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work out the efficacy of chemicals, botanicals and bioagents for the management of MLB and BLSB under field condition for two seasons Kharif 2014 and 2015. Five molecules (propiconazole 25 EC, hexaconazole 25 EC, carbendazim 50 WP, mancozeb 75 WP and carbedazim 12 WP + mancozeb 63 WP), two bioagents i.e. Trichoderma harzianum and T. viridae and three botanicals namely azadirachtin, sarpagandha and bel pathar were tested for their efficacy against MLB. Eight newer fungicides viz., difenconazole 250 SC, hexaconazole 5 EC, carbendazim 50WP, validamycin 3 L, tebuconazole 250 EC, trifloxystrobin 50 WG + tebuconazole 50 WG, azoxystrobin 250 EC and pencycuron 250 SC were evaluated against BLSB.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propiconazole at 0.1%, carbendazim 12 WP + mancozeb 63 WP at 0.125% and sarpagandha leaves at 10% against MLB pathogen, whereas validamycin at 0.1% and trifloxystrobin 25 WG + tebuconazole 50 WG at 0.05%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BLSB. The slow rate of disease control virtually by the bioagents might have not shown instant effect on plant response to the yield enhancing components. The identified sources of management can be used further in strengthening the plant protection in maize against MLB and BLSB.

경기도 하남시 인근 호상편마암 지역에서 Suspension P-S 속도검층 자료분석 (Data Analysis of Suspension P-S Velocity Logging in Banded Gneiss Area around Hanam, Gyeonggi Province)

  • 유영철;송무영;임국묵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623-631
    • /
    • 2007
  •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 소재 시험시추공에서 획득된 SPS 속도검층자료를 이용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호상편마암의 동적물성치를 추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전처리과정과 속도분석, 감쇄지수와 관련된 Q factor를 도출하였고 단열정보와 탄성파 속도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신선한 암반의 Vp는 5,559m/s, Vs는 3,063m/s로 나타났으며 포아슨비는 0.28로 해석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동적물성치를 구하였고 초음파 텔레뷰어로 산출한 단열정보를 이용하여 단열에 따른 초동지연, 진폭변화비, 속도와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측정된 검층공은 미세단열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암내 미세단열 지역에서는 단열틈 크기와 단열빈도가 탄성파 속도의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Comparative Analysis of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Scorpaenidae and Gobioninae

  • Park, In-Seok;Gil, Hyun Woo;Oh, Ji Su;Choi, Hui Jung;Kim, Chi H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2호
    • /
    • pp.85-96
    • /
    • 2015
  • Measurements of closely related sets of classical and truss dimensions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species of scorpaenidae including the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the black rockfish, S. schlegeli, and gobioninae including the striped shiner, Pungtungia herzi, and the slender shi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The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s were arc sin square root transformed, and compared as a function of the standard length of each species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value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2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shiners, 9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2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1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4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shiners, 13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3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6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The dimension sets us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taxonomic indicators for discriminating among fish species in Korea.

경기육괴 중부 남단(용인-안성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Geochemist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from Yongin-Anseong Area, the Southernmost Part of Central Gyeonggi Massif)

  • 이승구;송용선;증전창정
    • 암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2-151
    • /
    • 2004
  • 경기육괴의 남서부지역인 용인-안성지역에는 선캠브리아기 초기의 기반암으로 사료되는 고변성도의 편마암과 편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중생대 쥬라기 화강암류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용인-안성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이를 관입한 쥬라기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징을 토대로 서로의 상관성을 토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변성암류의 Nd모델연대( $T_{DM}$ $^{Nd}$ )는 경기육괴의 가장 활발한 지각형성시기였던 약 2.6Ca~2.9Ga(Lee or of., 2003) 동안에 생성된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지시 해준다. 그리고 Nd 모델 연대( $T_{DM}$ $^{Nd}$ )에 의하면, 흑운모 호상편마암과 석영장석질 편마암의 Nd 모델 연대는 각각 2.59Ga~2.73Ga, 2.70Ga~2.88Ga로서 석영장석질 편마암의 기원물질이 약간 더 오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변성암류는 경기육괴의 가장 활발한 지각형성시기의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희토류원소의 분포에 있어서, 흑운모 호상편마암은 (La/Yb)$_{N}$ 값이 37~136으로 매우 급격한 기울기를 보여주는 반면에, 앰피볼라이트의 경우 (La/Yb)$_{N}$ 값이 4.65~6.64로 거의 편평한 분포양상을 보여준다 이는 흑운모호상편마암은 분화가 상당히 일어난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지시해준다. 특히 연구지역내 흑운모 호상편마암, 석영장석질 편마암과 같은 고변성도의 변성암류에서 관찰되는 희토류원소의 분포도는 초기기원물질의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중생대 화강암의 (La/Yb)$_{N}$ 과 Nd 모델연대는 각각 32~40, 1.69Ga~2.08Ga로서 기반암인 흑운모 편마암과 석영장석질 편마암과는 지구화학적 특성이 서로 다른 젊은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지시해준다.

신생 흰쥐와 성숙 흰쥐 각막의 미세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n Ultrastructral changes of the new-born rats and adult rat's cornea)

  • 김대년;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3-101
    • /
    • 1998
  • 본 연구는 발생과정에 따른 흰쥐 각막의 변화를 주사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생후 1일된 안검이 개검되지 않은 흰쥐의 각막 60안, 생후 10주된 성체 흰쥐의 각막 40안을 적출하여 각막의 변화를 비교 연구 하였다. 연령증가에 따라 각막의 미세구조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각막의 상피는 오각형의 모양이며, 세포간 경계는 분명하였으나 성장할수록 탈락세포는 짙은 전자밀도를 나타냈으며, 새로 생성된 세포는 밝은 전자밀도를 나타내어 명암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보우만층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콜라겐섬유가 불균질한 구조에서 균질한 구조로 변화하였다. 실질층의 각막세포는 세포 소기관의 밀도가 성체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콜라겐층은 연령증가에 따라 종횡으로 평행배열을 나타내었다. 데스멧층은 성체로 갈수록 "banded layer"에서 "non-banded layer"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층의 두께가 현저히 두꺼워진것이 관찰되었다. 내피층은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체로 갈수록 내피 세포수는 감소하는 반면 감소된 세포수의 자리는 세포 크기가 확대됨으로써 보상되었다.

  • PDF

볼락, Sebastes inermis 산출 후 초기 성장 및 눈의 조직학적 발달 특성 (Early Growth and Characteristic of Histological Eye Development in Post Parturition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박인석;박혜정;길현우;구인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101-106
    • /
    • 2012
  • 어류의 시각 구조와 시각 기능 연구에 있어서 행동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은 시각생태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볼락, Sebastes inermis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초기 눈의 성장 및 발달에 관한 발생생물학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음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볼락의 전장, 두장, 두고, 눈의 직경과 수정체 직경은 산출 직후부터 산출 후 60일까지의 단계에서 양성의 상관관계(positive allometry)를 보여주었다. 전장과 관련된 두장과 두고에서의 증가와, 두고와 관련된 눈의 직경과 수정체 직경의 성장은 거의 동형(isometric)성장을 나타내었다. 눈은 산출단계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산출 단계의 눈은 시신경 섬유층, 신경절 세포층, 내망상층, 내과립층, 외망상층, 외과립층, 외경계막, 간체, 추체층 및 상피층을 가지며, 산출 후 60일의 망막 두께는 산출 직후의 망막 두께보다 더 크다. 본 실험기간 동안, 망막의 간체와 추체층의 비율 및 외과립층과 시신경의 비율은 상당히 증가한 반면, 망막의 외망상층과 내과립층, 신경절 세포층의 비율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차후, 본 연구에 사용된 볼락 망막에 대한 빛 민감성과 공간 해상력에 관한 부수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볼락 Sebastes inermis 치어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mmonia Excretion of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오승용;최상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31-238
    • /
    • 2009
  •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daily pattern and rate of total ammonia nitrogen (TAN) excretion in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mean body weight: $14.8{\pm}0.3g$) under fasting and feeding conditions. Fish were acclimated over 10 days under thre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15, 20 and $25^{\circ}C$). After 72 hours of starvation, fasting TAN excretion was measured at each temperature. To investigate post-prandial TAN excretion, fish were hand-fed with a commercial diet containing 47.7% crude protein for 7 days, two times daily at 09:00 and 17:00 hr. Water was sampled from both the inlet and outlet of each chamber every 2 hrs over a 24 hr period. Both fasting and post-prandial TAN excretion increased with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P<0.05). Mean fasting TAN excretion rates at 15, 20 and $25^{\circ}C$ were 8.1, 9.0 and 9.2 mg TAN kg $fish^{-1}h^{-1}$, respectively. The value of $15^{\circ}C$ was lower than those of 20 and $25^{\circ}C$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circ}C$ and $25^{\circ}C$ (P>0.05). Mean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s at 15, 20 and $25^{\circ}C$ were 20.1, 22.9 and 23.4 mg TAN kg $fish^{-1}h^{-1}$, respectively. A peak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 occurred after 12 hrs from the first feeding at $15^{\circ}C$ (mean 28.7 mg TAN kg $fish^{-1}h^{-1}$), $20^{\circ}C$ (33.7 mg TAN kg $fish^{-1}h{-1}$) and $25^{\circ}C$ (36.8 mg TAN kg $fish^{-1}h{-1}$), respectively. The TAN loss for ingested nitrogen at $15^{\circ}C$ (36.2%) was lower than that of $20^{\circ}C$ (40.8%) and $25^{\circ}C$ (41.7%). Based on overall results, water temperature exert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nitrogen metabolism of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 지질학적 비교 (Geological Comparison Between Musan Iron Deposit in North Korea and Iron Deposits in Anshan-Benxi Area in China)

  • 김남훈;고상모;이범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5-225
    • /
    • 2018
  •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는 시생대 호상철광층으로 북중국 지괴의 동쪽 블록 중 용강 블록에 속한다. 무산 철 광상을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무산층군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를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안산층군으로 이들은 주로 철질 규암, 각섬암, 편암, 혼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주 광종은 주로 철질 규암에 배태되어 있는 자철석이다. 광체의 모양은 무산 철 광상의 경우 습곡에 의해 말발굽 모양을 갖지만 안산-번시 철 광화대의 경우 대부분 층상의 모양을 갖는다. 호상철광층의 생성 연대는 무산 철 광상은 약 2.66-2.52 Ga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2.55-2.53 Ga로 보고되어 시기적으로 유사하며, 광상형은 모두 알고마 유형으로 알려져있다. 결론적으로 무산 철 광상과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지질 및 형성 시기, 그리고 광상 특성이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비선형 파동계에서의 파고와 주기 결합 확률분포 (Joint Distribution of Wave Crest and its Associated Period in Nonlinear Random Waves)

  • 박수호;조용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278-293
    • /
    • 2019
  • 파고와 주기 결합분포는 그 공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주기에 대한 해석 모형의 부재로 인해 파고 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현재 비선형성이 주기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의견이 상존한다. 이에 비해 파고 분포의 경우,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성과가 상당하나, 아직 이러한 성과는 파고와 주기 결합분포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파고와 주기의 결합분포를 조건부 주기 분포와 파고 분포의 곱으로 정의하였다. 이어 비선형 불규칙 파동계에서의 파고 분포, 임의의 대역폭을 지니는 비선형 불규칙 파랑계에서의 파고분포를 유도하고, 이를 Longuet-Higgins(1975, 1983), Cavanie et al.(1976)의 조건부 주기확률분포와 결합하여 새로운 파고와 주기 결합분포를 제시하였다. 검증과정은 Wallops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수치 모의된 파랑시계열자료와 경사가 1:15인 단조해안에서 진행되는 불규칙 파랑 천수과정 수치모의를 통해 얻은 강비선형 파랑자료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모의 결과 finite banded waves를 대상으로 한 파고 분포와 Cavanie et al. (1976)의 조건부 주기 확률분포를 활용하는 경우 가장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기육괴 중부 의암 편마암 복합체 호상편마암의 저어콘 U-Pb 연령과 미량원소: 경기육괴 기반암의 퇴적 시기와 변성작용에 대한 고찰 (Zircon U-Pb and Rare Earth Elements Analyses on Banded Gneiss in Euiam Gneiss Complex, Central Gyeonggi Massif: Consideration for the Timing of Depositional Event and Metamorphism of the Basement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 이병춘;조등룡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215-233
    • /
    • 2022
  • 경기육괴 중부 의암 편마암 복합체에 분포하는 호상편마암에 대해 저어콘 연대 및 희유원소 분석을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기육괴 기반암류 모암의 퇴적시기와 이들의 변성작용 및 변성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호상편마암의 쇄설성 저어콘은 신시생대와 고원생대 경계 부근(2500-2480 Ma)에서 가장 두드러진 연령 피크를 보이며 이들과 함께 고원생대 중기 시데로스기부터 라이악스기에 해당하는 다수의 연령이 확인되었다. 쇄설성 저어콘의 가장 젊은 연령 피크는 2070 Ma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호상편마암 모암의 퇴적 시기가 적어도 2070 Ma 이후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저어콘 외연부에서 1966 ± 39 Ma ~ 1918 ± 13 Ma에 해당하는 변성작용 연령이 확인되었으며 오차범위, 불일치도 그리고 평균 제곱 가중편차 값을 고려할 때 1918 ± 13 Ma가 가장 합리적인 변성작용 시기를 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저어콘 외연부의 결정화 온도는 690-740℃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기육괴에서는 1880-1860 Ma에 일어난 광역변성작용 이전에도 고도의 변성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