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Phyllostachy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단소용 대나무재의 열처리 및 건조 (Heat 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f Small-Notched Bamboo for Vertical Flute)

  • 변희섭;오승원;공태석;김종만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10-17
    • /
    • 2002
  • 본 연구는 단소용 대나무 악기재를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열처리 및 몇 가지 스케줄에 의한 건조를 실시하였다. 평균 직경 2.2cm, 길이 60cm정도의 솜대를 이용하였다. 열처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처리 및 열처리재로 구분하였으며 적당한 건조 조건 조사를 위해서 20℃, 65%와 40℃, 40% 그리고 대기상태의 3가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탄화와 재색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열처리의 최적 온도 조건은 180℃정도가 적당하였으며 열처리가 할렬의 수와 할렬 크기의 발생을 줄였으며 건조결함을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조건은 온도 20℃, 관계습도 65%이지만 건조를 할 때 기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40℃, 40%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었다.

  • PDF

한국산 대나무의 항돌연변이 효과 및 대나무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and Inhibitory Effect of Hepatic Toxicity of Bamboo Extracts Coated Rice)

  • 이민자;김은영;정근옥;박건영;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79-1285
    • /
    • 2004
  •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독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Ames test를 통해 평가하고 이 중 맹종죽 열수 추출물을 쌀에 코팅한 맹종죽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를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한 NZW계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왕대, 솜대, 맹종죽, 오죽 추출물의 독성 및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대나무 추출물을 0.25∼5.0 mg/plate 농도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은 S9 mix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 돌연변이원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이 MNNG 투여에 의한 돌연변이 생성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왕대, 솜대 및 맹종죽 추출물을 2.0 mg/plate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한편, 맹종죽 코팅쌀을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에게 16주간 급식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은 토끼의 체중감소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고 식이효율은 HC군에 비해 HR+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끼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도 간 무게의 경우 HC군에 비해 HC+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심장, 신장, 비장 및 폐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에서의 GOT 및 GPT 농도를 관찰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이 두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여 간 보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로써, 대나무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며 맹종죽 코팅쌀은 동물의 성장에 있어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First report of seven unrecorded bambusicolous fungi in Korea

  • Sun Lul Kwon;Minseo Cho;Changmu Kim;Jae-Jin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11-126
    • /
    • 2024
  • Korean bamboo forests encompass 22,067 hectares and are dominated by Phyllostachys species. These forests serve as vital ecosystems, providing nourishment and habitat for diverse flora, fauna, and microorganisms. Among these inhabitants, various fungal species have been documented worldwide, displaying ecological roles as saprobes, parasites, and symbionts within or outside the bamboo host. However, a comprehensive study of bambusicolous fungi within the Korean bamboo ecosystem remains a critical gap in our knowledg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xtensive survey of bamboo materials collected from various bamboo forests and subsequently undertook fungal isolation. Primary identification of bambusicolous fungi was achieved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s a result, we identified seven previously unrecorded bambusicolous fungal species (Fusarium bambusarum, Fusicolla violacea, Macroconia gigas, Neopestalotiopsis camelliae-oleiferae, Neopestalotiopsis iberica, Neopestalotiopsis longiappendiculata, and Thyridium punctulatum).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rotein-coding genes appropriate for each taxon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were conducted to ensure accurate identifi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fungal diversity within bamboo forests in Korea.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추출물 코팅쌀이 Atherogenic 식이를 섭취한 C57BL/6 마우스의 항산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ngjong-Juk (Phyllostachys Pubescens) Extract Coated Rice Diet on Antioxidative System of C57BL/6 Mice Fed Atherogenic Diet)

  • 김은영;이민자;송영옥;문갑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36-544
    • /
    • 2004
  •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maengjong-juk (Phyllostachys pubescens) extract coated rice in vivo system,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s were fed to C57BL/6 mice for 16 weeks. Plasma total antioxidative capacity, hepatic lipid peroxidation, protein oxidation,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total glutathione content were measured. Plasma total antioxidative capacity was elevated significantly in maengjong-juk extract diets supplemented group in a dose dependant manner. Hepatic TBAR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aengjong-juk extract diets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high cholesterol group.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s suppressed the protein oxidation significantly in liver.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such as total SOD, CuㆍZn-SOD, Mn-SOD, GSH-Px and catalase activities of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igh cholesterol diet. Total hepatic glutathion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s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numerous antioxidative materials and phytochemicals containing in maengjong-juk extracts appear to protect antioxidative systems in C57BL/6 mice fed bamboo extract coated rice die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4): 536∼544, 2004)

대나무로부터 분리한 linoleic acid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 연구 (Linoleic Acid from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Displaying Potent α- Glucosidase Inhibition)

  • 정선인;강수태;최철용;오경열;조정근;;박기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80-683
    • /
    • 2009
  • 당가수분해효소 저해제는 2형 당뇨병, 암, 바이러스 감염제 개발의 주요 타켓화합물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대나무 잎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제를 탐색하였다. 대나무 잎을 메탄올 용매로 추출하고, 이들을 핵산, 클로로포름, 부탄올로 용매분획 하였다. 용매 분획된 각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검정시험에서 핵산 분획층에서 강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IC50 33.5 ${\mu}$g/ml)을 관찰하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준 핵산 분획층의 활성물질은 linoleic acid로 구조동정 되었다. 분리된 linoleic acid는 IC50이 12.4 ${\mu}$M로 높은 ${\alpha}$- 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저해활성 메커니즘 연구에서 linoleic acid는 비경쟁적 저해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대나무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첫 번째 연구 결과이다.

맹종죽 시험림의 현존량 추정에 관한 연구 (Biomass Estimation of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s in KFRI,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 이광수;정수영;손영모;이경학;배은지;윤석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138-147
    • /
    • 2012
  • 본 연구는 맹종죽 임분의 현존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적절한 줄기 절단부위를 파악하고, 죽령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의 각 기관별 현존량을 비교분석하였다. 5개 죽령급 별 총 9개의 조사구(각 0.04 ha)에서 표준죽에 대한 상대수고에 의한 결정간별 건중비를 군집분석한 0~55% 구간)과 제 6~8 결정간(수고의 55~100% 구간)으로 두 개의 큰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일반적인 임목에서 매 2m 단위의 결정간을 각각 측정하는 조사 방법에 비하여 대나무의 경우 수고의 55~70% 구간을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의 2개 결정간에 대한 각 1 kg 시료의 현존량을 조사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분석되었다.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맹종죽의 생체량 추정식은 $W=aD+bD^2$ 이었으며, 각 수령별 지상부 추정치를 합산한 총량과 수령별 구분 없이 추정한 총량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맹종죽의 지상부 바이오메스는 총 57.77 ton/ha로서 줄기 40.47 ton/ha, 가지 9.29 ton/ha, 잎 8.01 ton/ha으로서 줄기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하부의 생체량은 53.35 ton/ha으로 나타났다.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제조한 죽초액의 이화학적 특성: 식품처리제로서의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mboo Smoke Distillates Processed by Mechanical Steel Kiln and Traditional Earth Kiln)

  • 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1-256
    • /
    • 2002
  • 벌채 직후의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10$0^{\circ}C$ 전후에서 냉각시켜 얻은 각각의 조죽초액을 12개월간 정치하여 타르성분을 분리한 다음 중간부위를 취하여 죽초액의 일반특성과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식 죽초액은 비중, 투과도, 굴절을 및 점도가 각각 1.008, 89.05%, 1.357%, 12.48 cp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의 경우는 1.012, 98.33%, 1.34%, 9.09 cp이었다. 색깔은 재래식 죽초액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더 맑고 투명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pH와 총유기산, 용해타르 및 작열잔사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이 각각 3.55, 2.83%, 2.803%, 0.671%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이 각각 2.93, 3.47%, 0.051%, 0.004%이었다. 죽초액의 성분조성에 대한 조사에서 두 가지 경우의 죽초액이 모두 페놀성 성분은 주로 phenol, o-cresol, p(m)-cresol, guaiacol(2-methoxy phenol) 등이 검출되었고 유기산 성분은 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등이 검출되었으며 알코올성분으로 methanol, furfuryl alcohol 및 maltol이 검출되었다. 페놀류와 알코올류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의 편이 더 많고 유기산은 재래식 죽초액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솜대 조림지와 확산지의 바이오매스, 임상, 토양의 양분 특성 (Nutrient Characteristics of Biomass, Forest Floor, and Soil between Plantation and Expansion Sites of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 곽유식;백경원;최병길;하지석;배은지;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는 대나무 확산에 있어서 토양 성질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매년 시비가 실시된 솜대 조림지와 미시비 확산지를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부위별 양분 농도와 임상 및 토양 30 cm 깊이의 양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솜대 조림지의 잎, 가지, 줄기 내 질소와 인 농도는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높았으나, 임상의 양분 농도는 조림지와 확산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0~30 cm 깊이의 평균 유기탄소는 조림지가 30.80 mg g-1으로 확산지 15.64 mg 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전질소 농도의 경우 조림지 2.47 mg g-1, 확산지 1.24 mg g-1, 인은 조림지 10.27 mg kg-1, 확산지 5.61 mg kg-1, 포타슘은 조림지 0.27 cmolc kg-1, 확산지 0.16 cmolc kg-1로 조림지가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토양 양분 상태는 솜대의 인접 산림지역으로 확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