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vorous nematod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First report of a bacteriovorus nematode, Diploscapter coronatus (Cobb, 1893) Cobb, 1913 (Rhabditida: Diploscapteridae), in Korea

  • Kang, Heonil;Eun, Geun;Ha, Jihye;Park, Namsook;Choi, Insoo;Kim, Dongg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77-180
    • /
    • 2017
  • Diploscapter coronatus (Cobb, 1893) Cobb, 1913 was first reported o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s. makuwa Makino) roots from plastic film houses, Gyeongsangbuk-do, Andong, Korea (latitude $N36^{\circ}33^{\prime}$. longitude $E128^{\circ}29^{\prime}$). Diploscapter coronatus is most similar to D. pachys. Species in the genus Diploscapter have a visibly annulated cuticle. The stoma of D. coronatus is 1.5 times longer than the lip region width. The pharyngeal corpus is clearly separated from the isthmus and the vulva is situated around the mid-body. However, it differed by higher ratio of "a", filiform tail and had relatively blunt labial hooks. The Korean population is well matched and within the range of D. coronatus as described from Iran and Ethiopia in de Man's of L, b, c, c', and V. Female length, however, varied between populations: the Ethiopia population female length is longer than in the Korea population (396.4 vs 427.0) while females in the Iran population are smaller than in the Korea population (396.4 vs 350.0). Nematode size may vary du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food sources. The position of excretory pores in the Korean population were shorter 53.9-72.5 than in other populations (67-82 and 70-89). Males were uncommon. Males in the Korean population are smaller than females but larger(356.0) than males in the Indian population (306.0).

유기성폐기물이 느티나무 재배지 토양의 화학성 및 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Waste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Organisms under Zelkova serrata Cultivation)

  • 어진우;김명현;남형규;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471-478
    • /
    • 2018
  • 식품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성폐기물인 골분, 유박, 굴 패화석을 토양에 투입한 결과 일부 처리구에서 토양생물과 화학성이 영향을 받았다. 골분은 토양의 질산태질소를 일시적으로 증가시켰고, 패화석은 pH를 증가시켰다. 골분은 느티나무 생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이차적으로 토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생물 PLFA는 패화석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환경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지표도 낮은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패화석이 양분 증가보다는 pH 증가를 통해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양미소동물 중에는 세균섭식성 선충만이 유박과 골분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들 밀도와 세균 PLFA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다만 식물생장과 식물섭식성선충의 유의적 상관관계는 유기물투입이 식물을 통해 이차적으로 토양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유기성폐기물 처리는 토양화학성 변화를 통해 일차적으로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주지만, 미생물을 섭식하는 생물군에게 상향식의 양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무기질비료의 장기연용이 토양생물 및 먹이연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inuous use of Inorganic Fertilizer on the Soil Organisms and Food Chain)

  • 어진우;박기춘;박진면;김명현;최순군;방혜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9-45
    • /
    • 2016
  • 장기간의 무기질비료 연용은 토양생태계의 비생물적 및 생물적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 질소 투입은 식물의 생장과 토양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이것이 토양미생물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토양 pH의 감소나 EC의 증가와 같은 환경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미생물 밀도는 처리간 차이가 있었지만, 이를 섭식하는 미소동물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다만 동적평형에 의해 표면적으로 밀도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거나, 각 생물군의 군집조성이 변화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유기물함량과 선충밀도의 유의적 상관관계는 시비에 의한 토양 이화학성 변화가 직접적으로 미소동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분해자인 미생물과 이를 섭식하는 미소동물간의 상관적 관계가 없었다는 것은 먹이연쇄에서 환경요소의 변화가 먹이양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