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thuringiensis va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에 따른 살충력 비교 (Comparison of Pathogenicity Parasporal Crystal Protein in some Bacillus thuringiensis)

  • 김영훈;김상현;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5-81
    • /
    • 1991
  • 해충의 미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3종의 B. thuringiensis var. Kurstaki, dendrolimus, aizawai와 2종의 공시충으로 누에와 흰불나방에 대한 독성을 검정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B. thuringiensis의 누에에 대한 독성검정에서는 kurstaki를 제외하고 3령에 비해 4령의 경우 LD50이 5배의 증가량을 보였고, 변종간 독성의 세기는 dendrolimus, kurstaki, aizawai 순이었다. 2. Bacillus thuringiensis의 흰불나방에 대한 독성검정에서는 kurstaki를 제외하고 4령에 비해 6령의 경우 LD50이 3배의 증가량을 보였고, 변종간 독성의 세기는 dendrolimus, kurstaki, aizawai 순이었다. 3. 령기에 관계없이 사망시간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충체가 증가됨에 따라 단위시간당 섭식량도 증가하므로 치사에 필요한 철대량을 섭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4. B. thuringiensis 변종 중에서 kutstaki는 독성의 세기가 령기에 관계없이 가장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곤충소화액에서 Bacillus thuringiensis의 내독소 단백질의 분해 (Degradation of the Parasporal Crystal Prote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in Gut Juice of Some Insects)

  • 김영훈;김상현;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1-48
    • /
    • 1992
  • 해충의 미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BT제)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3균주의 공시균주인 B. thuringiensis var. kurstaki, B. thuringiensis var. dendrolimus, B. thuringiensis var. aizawai와 3종의 공시충으로 누에, 흰불나방, 배추흰나비의 유충을 이용하고 B. thuringiensis 내독소단백질을 alkalidyddor 또는 공시된 3종의 곤충소화액으로 처리하여 전기영동을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균주의 B. thuringiensis에서 생산된 내독소단백질은 alkali 또는 곤충의 소화액 처리에 따라서 변화되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균주의 내독소단백질의 분자량은 B. thuringiensis var. aizawai가 130kDa, B. thuringiensis var. kurstaki가 140kDa, 130kDa, 그리고 B. thuringiensis var. dendrolimus가 140kDa의 부분에 2band로 나타났으며, 이들 내독소단백질은 alkali 용액이나 숙주곤충의 소화액으로 처리시 활성화되어 40-65kDa의 저분자 단백질로 전환되었다. 또한 숙주곤충소화액에 따라 내독소단백질의 활성화 속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위치지정 변이기법을 이용한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NRD 6-Stu 1의 육성 (Development of Bacillus thuringensis var. kurstaki NRD 6-Stu 1 by Site-Directed Mutagenesis)

  • 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1-48
    • /
    • 1993
  • 위치지정 변이기법을 이용하여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NRD 6의 내독소 유전자의 N말단 독성부위를 변이시켜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NRD 6-Stu 1을 육종하였다. 내독소에 대한 염기서열 조사결과, 변이주의 내독소 유전자부위에 Stu 1 인식부위가 생성되었고 특히, 이부위의 177번 염기 A가 C로 치환된 silent mutation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변이주의 내독소 유전자의 항원성질은 친주와 차이가 없었고 Choristoneura femiferana-1에 대한 독성도는 0.015~0.030ng으로 친주의 0.01~0.024ng과 유사하였으나 다른 친주계열인 B.t.kurstaki NRD 5의 500~1000ng과 B.t.kurstaki NRD 4(무독성)보다 강하였다.

  • PDF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에 대한 Bacillus thuringiensis 내독소단백질의 독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ity of $\delta$-endotoxin of Bacillus thuringiensis to the Several Tissues of Hyphantria cunea Drury)

  • 전향미;조자향;강석권;서숙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2-67
    • /
    • 1995
  • Bacillus thuringiensis(Bt) var, kurstaki의 내독소 단백질을 섭취한 미국천불나방(Hyphantria cunea)의 유충에서 중장과 지방체조직의 세포 미세구조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Bt 내독소 단백질은 중장 원주상피세포에 있어서 미세융모의 파괴, 소포체 구형화, 기저층 소실, 리보솜 탈락, 세포내 소기관의 파괴 등을 초래하였다. 또한, 지방체 세포에서도 역시 소포체의 구형화와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등 세포미세구조의 변화를 유발시켰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내독소단백질이 미국흰불나방 조직의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lta$-endotoxin of Bacillus thuringiensis on the Protein Synthesis of the Several Tissues of Hyphantria cunea Drury)

  • 전향미;강석권;서숙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8-73
    • /
    • 1995
  •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의 유충에서 중장, 지방체, 말피기씨관에 Bacillus thuringiensis(Bt) var. kurstaki의 내독소 단백질의 독성효과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autoradiography와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단백질 합성과 번역연장민자-2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앞의 모든 조직에서 단백질 합성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번역연자인자-2의 활성도 병행하여 저하되었다.

  • PDF

Prediction of Lytic Segments from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130 kDa and 72 kDa Proteins

  • Suvarchala Devi, V.;Jamil, Kaiser
    • BMB Reports
    • /
    • 제34권2호
    • /
    • pp.130-133
    • /
    • 2001
  • The amino acid sequences of 130 kDa and 72 kDa proteins responsible for the larvicidal activity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Bti) were analyzed by hydrophobic moment plots. A search for highly amphiphilic $\alpha$-helices was made in these proteins using the helical hydrophobic moment as a criterion of amphiphilicity The protein segments of the largest hydrophobic moments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communication we report the surface seeking helices in 130 kDa and 72 kDa prote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It is assumed that the surface seeking segments may participate in one of the membrane-related functions of Bacillus thuringiensis.

  • PDF

Allelochemicals 함유 식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Plants Containing Allelochemicals)

  • 이호준;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51-58
    • /
    • 1999
  •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을 대상으로 allelochemicals를 분석하고 그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 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생식물인 까마중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90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생식물의 에탄을 추출액에 의한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의 항균력은 까마중에서만 나타났으며 clear zone이 18 mm였고 포자형성은 억제되었다. 귀화식물 중 돼지풀과 망초에서 포자형성이 억제되면서 clear zone이 24 mm와 22 mm로 형성되었고 미국자리공과 원추천인국은 포자가 형성되면서 clear zone이 22 mm와 19 mm로 나타났다. 자생식물인 까마중과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과 돼지풀에서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와 Bacillus sphiaericus 2291,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와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돼지풀이 각 균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에서 clear zone이 32 mm로 활성이 강하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추출액내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 활성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자생식물인 까마중과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과 돼지풀의 추출액을 HPLC로 성분분석한 결과 까마중은 hydroquinone외 3종이, 미국자리공은 cinnamic acid외 5종이, 돼지풀은 benzoic acid외 7종이 분석되었다. Phenolic compound 각각에 대한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에 대한 항균력은 coumaric acid와 benzoic acid에서 조사되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var. thuringiensis가 생산하는 .betha.-exotoxin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thuringiensis exotoxin)

  • 심창범;이형환;이희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81
    • /
    • 1985
  • Bacillus thuringiensis var. thuringiensis produces an extracellular insecticidal thermostable .betha.-exotoxin, which was purified through microfiltering, barium precipitation, charcoal absorption chromatography,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The exotoxin in each purification step was deted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and paper electrophoresis with efficient results. The exotoxin productivity on time course was checked by spectrophotometric absorbance at 258nm with the result that the exotoxin was initially produced in 6 hour culture and reached maximum value in 36 hour culture. Anti-bacterial effect test on Micrococcus flava was applied as toxicity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frowth inhibition of M. flava could be shown in plate assay of cell free filtered supernatant, alkaline eluant from charcoal and purified exotosin obtained from gel filtration column chromatography on Sephadex G-10 appeared to be 740. Heat stability of the exotoxin was confirmed through autoclaving twice.

  • PDF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everal Native and Exotic Plants in Korea)

  • 김용옥;이은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53-357
    • /
    • 2000
  •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서식지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식물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식물의 토양 pH는 3.95∼6.10으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토양 pH가 낮았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에탄올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Actinomycetes에 미치는 항균활성 은 자생식물보다 귀화식물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돼지풀의 추출액은 4개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방선균에서 clear zone 이 48mm로 가장 크게 형성되었다. 8종류의 phenolic compound와 benzoic acid의 항균활성은 caffeic acid가 각 균주 에서 clear zone을 가장 크게 형성하였고 다음은 benzoic acid, ρ-coumaric acid의 순이였다. 즉 방선균에 대한 돼지풀의 항균활성은 phenolic compound들 간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phage의 분포와 형태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Bacillus thuringiensis Phages in Korea)

  • 이태우;안경준
    • Applied Microscopy
    • /
    • 제12권1호
    • /
    • pp.33-40
    • /
    • 1982
  • Several phages of Bacillus thuringiensis distributed in Korea were isolated.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ages were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solated phages were highly specific for Bacillus thuringiensis var. thuringiensis. They were classified as YM series phages and designated as phage YM-1, YM-2 and YM-3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2. Most of these YM series phages were isolated from compost including domestic animal dung and soil under sewage. 3. The YM-1 phage was similar to Bacillus subtilis ${\phi}25$ in morphology. It has 94nm x 86nm head, contractile tail sheath and base plate with four cornered structure. 4. The YM-2 phage was similar to Bacillus subtilis GA-1 phage in morphology. It had 70nm x 56nm head and tail without contractile tail sheath. 5. The YM-3 phage was similar to Bacillus subtilis ${\phi}29$ phage. It had 56nm x 43nm head and tail with distal enlar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