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licheniformis DM3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이차원전기영동법을 이용한 길항세균 Bacillus licheniformis DM3와 이의 항진균 활성 결여 돌연변이균주간 단백질 비교 분석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roteins between Bacillus licheniformis DM3 and Its Antifungal Activity Deficient Mutant)

  • 이영근;김재성;정혜영;장유신;장병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3-209
    • /
    • 2003
  • 항진균 활성균주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DM3 균주를 대천 바닷가에서 수집된 진흙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API 50CHB ki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는 12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60}Co$)을 조사하여 항진균 활성 결핍 돌연변이체(mDMB)를 유도한 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DM3와 mDM3에만 존재하는 각각 4종과 3종의 단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2-DE 결과 B. licheniformis DM3에서 spot 1은 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45.0kDa), spot 2는 hypothetical protein(40.7 kDa), spot 3는 NifU protein homolog(15.4 kDa), 그리고 spot 4는 resolvase(12.5 kDa)와 상동성을 지닌 단백질로 동정되었고 B. licheniformis mDM3에서만 발현된 spot 5는 lysozyme(18.1 kDa)과 spot 6, 7은 alkyl hydroperoxide reductase(15.6 kDa)으로 동정되었다. B. licheniformis DM3에서 이들 단백질들의 항진균 활성 관련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서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섬유소 분해균을 이용한 건조 청보리 발효사료가 돼지의 In vitro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Cellulolytic Microorganism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wine)

  • 박도연;박중국;조성백;김창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9-190
    • /
    • 2010
  • 본 연구는 높은 섬유소 분해력을 검증 받은 Aspergillus niger (KCCM 60357)와 Bacillus licheniformis (KCCM 40934)를 단독 및 혼합 배양한 미생물제제로 양돈용 청보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을 때 사료 성상변화, in vitro 대장발효 및 전장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설계는 건조 청보리 (control), A. niger (control + A. niger), B. licheniformis (control + B. licheniformis) 및 Mixture (control + Aspergillus niger + Bacillus licheniformis)구로, 균주를 첨가시킨 발효사료에 따라 네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사료 성분변화는 발효사료의 일반 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A. niger 및 B. licheniformis구에서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In vitro 대장발효성상의 변화는 배양 후 24시간에 건물 분해율이 A. niger와 Mixture구에서 각각 55 및 57.42%로 대조구 및 B. licheniformis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메탄가스 농도는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다. pH는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가 6.8 로 확인되었으며, 암모니아 질소는 모든 발효사료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Xylanase 활력은 A. niger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의 활력이 증가하였다 (p<0.05). 총 VFA 농도는 배양 후 24시간에 B. licheniformis구에서 높은 농도 (12.61mM)를 보여주며 VFA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p<0.05). In vitro 전장 소화율은 B. licheniformis구에서 49.61%로 대조구의 45.65% 보다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증진되었다(p<0.05).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청보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을 때 전장 소화율 및 대장발효 환경 개선에 충분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of Doenjang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Kwak, Chung Shil;Son, Dahee;Chung, Young-Shin;Kwon, Young Hy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6호
    • /
    • pp.569-578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Fermentation can increase functional compounds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thereby improving antioxidant and/o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phenolics and isoflavone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and aging. MATERIALS/METHODS: Doenjang was made by inoculating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licheniformis in soybeans, fermenting and aging for 1, 3, 6, 8, and 12 months (D1, D3, D6, D8, and D12). Doenjang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nd sequentially fractioned by hexane, dichloromethane (DM), ethylacetate (EA), n-butanol, and water.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isoflavones, 2,2-diphenyl-1 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measure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erms of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PG) 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expressions were also measured using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RESULT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showed a gradual increase during fermentation and 6 months of aging and were sustained thereaft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FRAP was further increased by aging, bu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not. Total isoflavone and glycoside content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e aging process, while aglycone content and its proportion increased up to 3 or 6 months of aging and then showed a slow decrease. DM and EA fractions of Doenjang showed much highe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s. At $100{\mu}g/mL$, DM and EA fractions of D12 showed strongly suppressed NO production to 55.6% and 52.5% of control, respectively, and PGE2 production to 25.0% and 28.3% of control with inhibition of iNOS or COX-2 protein expression in macrophages. CONCLUSIONS: Twelve month-aged Doenjang has po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ith high levels of phenolics and isoflavone aglycones, and can be used as a beneficial food for human health.

치어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내 생균제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승형;유광열;최세민;김강웅;강용진;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2-88
    • /
    • 2008
  • 본 연구는 치어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내 생균제 첨가가 넙치의 성장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사료는 주 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white fish meal),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탈피대두박(dehulled soybean meal)을 사용하였으며, 탄수화물원으로는 밀가루(wheat flour)를, 지질원으로는 고도불포화지방산(n-3 HUFA)이 다량 함유된 오징어간유(squid liver oil)를 사용하였다. 생균제의 첨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 polyfermenticus(BP), Bacillus licheniformis(BL) 및 복합종균(B. polyfermenticus+Saccharomyces cerevisiae; BP+SC)을 실험사료 내에 각각 $1.0{\times}10^7$ CFU/kg diet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2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12.0{\pm}0.1g(mean{\pm}SD)$인 조피볼락을 500 L 원형수조에 각 실험구 당 각각 2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로 배치하였고, 실험사료는 1일 2회 어체중의 $1.7{\pm}0.6%$(오전 10시, 오후 4시)씩 12주간 공급 하였다.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율 및 단백질 전환효율에 있어서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contro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P<0.05),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존율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어체 지방함량에 있어서 대조구가 다른 모든 실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어체 단백질, 회분 및 수분함량에 있어서는 모든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분석에 있어서 혈장내 glucose의 함량은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Respiratory burst activity(NBT assay)에 있어서 BP+SC와 BL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lysozyme 활성에 있어서는 BP와 BL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격실험 결과, 폐사는 Edwardsiella tarda를 접종한지 1일 후부터 시작하여 11일째 종료 하였다. 생균제를 투여한 모든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초기폐사율이 낮게 나타났다. 공격실험 후 8일째부터 종료시 까지는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P, BL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내 B. polyfermenticus, B. licheniformis 및 B. polyfermenticus 와 S. cerevisiae의 혼합첨가는 조피볼락의 성장 및 사료효율 증진과 항산화능 및 특정질병저항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etary protease improves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ed pigs

  • Park, Sangwoo;Lee, Jeong Jae;Yang, Boung Mo;Cho, Jin Ho;Kim, Soyun;Kang, Joowon;Oh, Sejong;Park, Dong-Jun;Perez-Maldonado, Rider;Cho, Jee-Yeon;Park, Il-Hun;Kim, Hyeun Bum;Song, M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1호
    • /
    • pp.21-3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protease (PR)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ed pigs. A total of 75 weaned pigs [7.06 ± 0.18 kg of average body weight (BW); 28 day 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3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blocks = BW and sex):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to meet the requirement of crude protein (CP) as a positive control (PC; CP = 24.49%), a low protein diet as a negative control (NC; CP = 22.51%), and NC + 0.02% PR. The PR used in this study was a commercial product containing 75,000 protease units/g derived from Nocardiopsis prasina produced in Bacillus licheniformis. Pigs were fed the dietary treatments for 6 weeks and the diets containing 0.2% chromic oxide for the last week of this study. Blood, feces, ileal digesta, and ile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two pigs in each pen on respective time points. Measurements were growth performanc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CP, and energy, frequency of diarrhea, packed cell volume (PCV), and ileal morphology of weaned pigs. Pigs fed PC and PR had higher (p < 0.05) final BW, average daily gain (ADG), and gain to feed ratio (G:F)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than those fed NC. Pigs fed PC and PR had higher (p < 0.05) AID or ATTD of DM, CP, or energy than those fed NC. Moreover, pigs fed PR had higher ratio between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p < 0.05) and number of goblet cells (p < 0.05) than those fed NC. Addition of PR decreased (p < 0.05) frequency of diarrhea for the first two weeks after weaning compared with PC and NC. In addition, pigs fed PR had lower (p < 0.05) PCV on d 14 after weaning than those fed PC and NC. In conclusion, addition of PR in nursery diets with a low protein level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ed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