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h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중국 연변 조선족의 무용복 (A Study on Dancing garments in Yanbian)

  • 김순심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9-119
    • /
    • 199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people s dancing garments in Yanbi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Yanbian dancing garments were generally based on Korean traditional royal-dancing garments or daily dress such as a wonsam, a bokgun, a kwaeja, a chunlip, a chogori, a bachi, and a chima. However, many parts of the dancing garments were transformed or recreated for combative, lively, energetic, and temperate dancing-motions, which represented the ideology of socialism. The transforms or recreations were found in a narrow sleeve of chogori, removal of collar and gorm in chogori, transformed kwaeja and vest, bachi, and flared chima, etc. Chosun people's dancing garments in Yanbin were mainly influenced by those of North Korea. There was great similarity between dancing garments of these two areas. The similarity could result from the acculuration of these two cultures.

  • PDF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 서경민;김호용;이성호;권태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하여 대구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공간변화 특성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Getis-Ord $G_i^*$ 방법론을 활용하여 1970년부터 2010년까지 대구시의 도시성장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구시는 도시성장단계 중에서 역도시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구시는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다핵도시를 지향함으로써 역도시화가 나타난 2000 이후의 도시성장단계는 더 이상 전통적인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이에 2000년 이후 다핵권역의 세부적인 공간구조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 지가, 고용 요인의 변화를 바키측 정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는 다핵화가 진행 중이었으며 도심권역과 칠곡권역은 분산형, 안심 달서권역은 집중형, 성서권역은 집중 분산형태로의 공간구조변화가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다른 도시공간구조를 나타내는 도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과 개발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과 일본의 장인(匠人)정신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View about the Craftsmanship of Korean and Japanese)

  • 정수현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215-23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look at the basis of the cultural differences of Korean and Japan by comparing the craftsmanship. Korean craftsmanship and master craftsman making traditional handcrafts and artwork would die out at a critical moment. The craftsmanship and system could not be established because of discrimination in th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invasions of other countries and discontinuity of tradition from modernization. On the contrast, in Japan,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raditional handcrafts and artworks, technique and craftsmanship with apprentice system and various social privilege and treatment even in the sam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 (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It was common to pass down the family business for a hundreds of years with self respect between Japanese master craftsmen and lots of people succeed the family business will now. Japanese craftsmanship is originated from 'worship to god' Medieval Japanese believed that the thing changes human mind, artistic talent, masterpieces and faith were connected to sacred power. Therefore, master craftsmen and their works were also made by the power of god. In this context, craftsmen were protected and treated in socially and nationally. It is that the social treatments and supports in national level and their own pride and continuous training of techniques and abilities as the main driving force to maintain the craftsmanship in Japan. Korea has the sale level of competitive tradition and technique in comparison any other countries. Japanese craftsmanship study will be a critical data in the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 Korean traditional and technique.

부산광역시 다핵구조의 공간적 변동성 측정 (The Spatial Variation Measurement of Multi-Centric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호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93-103
    • /
    • 2012
  • 최근 대도시는 지속적인 개발과 효율적인 도시의 관리를 위하여 다핵도시공간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의 교차지점에 배분된 최근 50년간 인구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잠재력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키측정치 분석과 표준편차타원체 분석을 하여 부산광역시 다핵구조의 공간적 변동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부산광역시는 다핵 권역을 중심으로 인구잠재력이 집중되는 다핵화가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었다. 하단, 구포, 해운대 권역은 인구잠재력이 부도심으로 집중되면서 해당권역의 중심 역할이 점차 강해지고 있었고, 사상과 동래는 2000년과 1990년 이후 해당권역에서 중심으로서 역할이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로 해운대를 제외한 모든 다핵 권역에서 특정지역 및 방향으로 치우치어 공간구조가 변화되는 편향도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