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GUK-SA (TEMPL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토함산 불국사의 경관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Symbolism of Bulguk-Sa(Temple) on the Mt. Toham in Kyongju)

  • 김용기;홍광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7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rchetype and archetypal forms of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tterns through investigating the landscape symbolism of the Bulguk-Sa. This study was performed mainly by both the review of written materials and case study through field surveys. M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cision of Bulguk-Sa sit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religious backgrounds, the system of contemporary social values and thought at that time. Secondly, The landscape symbolism of the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form of Mandala and Sumisan, which are parts of Buddhism. Finally, Among the many landscape composing elements, Sukga-Tap, Dabo-Tap, Gupumyoun-Gi and Bumyoung-Ru apparently reveal the symbolic meaning of Buddhism.

  • PDF

영남권 사찰림일대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 효과 연구 (Effectiveness of Controling Micro Climate by the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of the Temple in Southeast Area of Korea)

  • 홍석환;안미연;강래열;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4-303
    • /
    • 2020
  • 본 연구는 경남지역 내 소나무 장령림이 안정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사찰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온도 및 습도의 미기상 변화 특성과 식생분포특성을 비교하여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국내에서 소나무 장령림의 안정적 생육지로 알려진 합천 해인사, 부산 범어사, 양산 통도사 및 경주 불국사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생분포 현황 분석결과 이들 소나무림은 알려진 바와는 달리 소나무림의 면적비율이 월등히 높지는 않았는데, 통도사 주변을 제외하면 소나무림보다 낙엽활엽수림 및 혼효림의 우점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미기상데이터 측정 결과 통도사는 다른 세 지역과는 달리 미기후 특성이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다른 세 지역의 경우 온도 및 습도의 일교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통도사는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통도사 주변 숲이 개발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소나무림인 반면, 다른 세 지역은 낙엽활엽수림의 우점비율이 높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림의 적극적 관리는 온도상승과 공중습도의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은 만큼 현재 양산 통도사 주변 소나무림과 같이 소나무 단순림으로의 적극적인 관리는 오히려 온도와 습도 스트레스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이 더욱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림의 미기후 완화 효과 증대를 위해서는 숲 관리의 새로운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상실체사진기를 이용한 구조물의 측정과 해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by Using the Terrestrial Camera)

  • 안철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4-64
    • /
    • 1984
  • 본 연구는 지상사진기에 의한 구조물(석탑)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석탑중 통일신라의 석탑인 감은사지 삼층석탑, 고선사지 삼층석탑,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및 불상인 석굴암 본존상, 광주철조여내좌상을 대상으로 조형비를 분석하여, 조형원리에 접근하는데 의의를 갖고 있다. 등고선도와 실측치를 정밀하게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형비를 분석한 결과, 3재의 석탑과 2개의 불상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석탑의 경우 옥개석폭들은 8 : 7 : 6의 비예관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대갑석을 밑변으로 정삼각형과 이등변 삼각형을 긋고, 그 정점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정삼각형의 정점에서 원을 그리면 삼층 옥신 윗면과 일치하였고, 또 기준면으로부터 $70^{\circ}$의 2등변 삼각형을 그러는 경우 상대갑석의 끝점들을 거의 통과하며, 삼층 옥개석의 낙수면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불상의 경우 양 눈사이의 중점을 중심으로 원이 성립되고, 어깨와 명치를 연장하면 무릎에 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불교건축(佛敎建築)의 변화(變化) (The Change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68-84
    • /
    • 1992
  •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chitectur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been generally understood to have paired pagoda instead of one which had been popular until before the unification. Besides the stylistic categorization of paired pagoda system, there had been no further investigation reported concerning whether there was any detailed process of change within the development of paired pagoda styl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uch change inside the development of paired pagoda style, which, externally, seems to be the same pattern of site design maintained throughout the period of Unified Silla that lasted for about three centuries. Since the temple sites of study are in the same pattern of layout, the method of investigation has to be such that can identify the subtle changes that, in external appearance, are not easily discernible. Hence, this research compared the dimensions of important measurement of five temple sites to be able to clarify the process of minor changes. Among many sites of Silla temples, only five were suitable for the research since detailed measurement were possible through field research or the report of excavation. They are the sites of Sachonwang-sa, Mangduk-sa, site of Kunsuri, and Bulguk-sa. Although the five sites have the same style of paired pagoda, it is clear that there were consistant flow of change. Even though the motivation of such change were not strong enough to change the site pattern itself, it resulted continuous minor changes such as the size and location of architectures. The size of image hall, for example, was growing larger and larger as time goes on, while, the size of Pagoda was getting smaller. In the same way, the size of middle gate became smaller while the size of lecture hall became larger, although the rate of change in these cases were not as severe as that of image hall and pagoda. At the same time, pagoda was coming closer to the middle gate leaving larger space in front of the image hall. Such aspect is even more meaningful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agoda, from the 8th century in Japan and China, moved outside of the major precinct. The image hall, too, moved toward the middle gate slightly so that the space in front of the lecture hall became more spacious. Such changes, of course, were not accidental but they are the same continuous motivation of change that caused the changes before the period of unification. Enlargement of image hall and reduction of pagoda, for example, represent the changing relative importance of religious meaning. Hence, it is evident that one can not easily imterprete the development of one style only by categorizing it to be one same style. In the veiwpoint of the underlying motivation of change, the fact that one style pers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oes not mean there had been no change, but means that it was the time of motivational accumulation, causing minor changes within the same style, to be able to create major change coming after.

  • PDF

안료 원료인 뇌성산 산출 뇌록의 소성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 (Mineralogical Characteristic Changes of Noerok Occurred from Noeseong Mountain, a Raw Material for Pigment, Depending on its Firing Process)

  • 이장존;김재환;한민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32
    • /
    • 2018
  • 뇌록은 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에 사용된 녹색 안료이며, 불국사 대웅전 등 주요 건축물의 단청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안료 원료인 뇌록을 이용하여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포항 뇌성산 일대에 국부적으로 산출하고 있는 뇌록은 주구성 광물이 셀라도나이트(celadonite)이며, 주요 구성 원소는 Fe, Si, K, Mg 등으로 주로 Fe가 풍부한 운모류임을 알 수 있다. $105^{\circ}C{\sim}1000^{\circ}C$까지 단계적 소성실험 결과, 색상이 녹색 ${\rightarrow}$ 담녹색 ${\rightarrow}$ 갈색 ${\rightarrow}$ 적색으로 변하였으며, 열분석에서는 $616^{\circ}C$ 부근에서 결정수의 탈수작용에 의한 흡열반응이 확인되었다. 광물의 변화는 $600^{\circ}C$ 이상에서 결정면[($11{\bar{1}}$), ($02{\bar{1}}$)]이 붕괴되고, $1000^{\circ}C$ 이상에서 철산화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뇌록의 정출 온도가 $600^{\circ}C$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며, 셀라도나이트만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Stage I 단계만의 변질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