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2K

검색결과 1,061건 처리시간 0.037초

히드라진과 브롬의 반응의 메카니즘에 관한연구 (Study of Hydrazine-Bromine Reaction in Sulfuric Acid Media)

  • 최규원;박병빈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03-407
    • /
    • 1975
  • 히드라진과 브롬의 반응속도를 직접 혼합법 및 일정전류 전해법에 의한 브롬화 이온의 전이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황산 및 브롬화칼륨의 농도가 작을 때에 2차 반응속도 상수는 각각 $10^5\;및\;10^3mole^{-1}sec^{-1}$로 얻어졌다. 이는 $N_2H_4+Br_2{\rightarrow}N_2H_2,k_1=10^5$$N_2H_2+Br_2{\rightarrow}X,k_2=10^3$인 것으로 간주된다. 황산과 브롬화 이온의 농도가 클때에는 속도상수가 크게 감소하나 그 원인은 해명하지 못하였다.

  • PDF

브로모벤젠과 할로겐 또는 할로겐間化合物 사이의 錯物에 관한 연구 (The Complexes of Bromobenzene with Halogens and Interhalogens in Carbon Tetrachloride)

  • 최상업;장석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6-49
    • /
    • 1966
  • 브로모벤젠과 염소 또는 일브롬화요오드의 각 系를 사염화탄소 용액에서 分光光度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C_6H_5Br{\cdot}Cl_2$ 또는 $C_6H_5Br{\cdot}IBr$의 錯物이 형성됨을 알았다. 이들 錯物의 생성에 대한 $25^{\circ}$에서의 평형상수는 각각 0.0485 및 $0.183l{\cdot}mole^{-1}$이다. 이 결과와 文獻에 있는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芳香族化合物과 할로겐 또는 할로겐間化合物 사이에 형성되는 錯物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ICl>IBr>I_2>Br_2>Cl_2$ 벤젠>브로모벤젠>클로로벤젠

  • PDF

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Monomeric Copper(II) Bromide Complexes with a Pyridine-Containing Tridentate Schiff Base

  • Kang, Sung Kwon;Yong, Soon Jung;Song, Young-Kwang;Kim, Young-In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2호
    • /
    • pp.3615-3620
    • /
    • 2013
  • Two novel copper(II) bromide complexes with pyridine containing Schiff base ligands, $Cu(pmed)Br_2$ and $Cu(pmed)Br_2$ where pmed = N'-((pyridin-2-yl)methylene)ethane-1,2-diamine (pmed) and dpmed = N,N-diethyl-N'-((pyridin-2-yl)methylene)ethane-1,2-diamine (dpmed)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using X-ray single crystal structure analysis, optical and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s. Crystal structural analysis of $Cu(pmed)Br_2$ showed that the copper(II) ion has a distorted square-pyramidal geometry with the trigonality index of ${\tau}=0.35$ and two intermolecular hydrogen bonds, which result in the formation of two dimensional networks in the ab plane. On the other hand, $Cu(pmed)Br_2$ displayed a near square-pyramidal geometry with the value of ${\tau}=0.06$. In both compounds, the NNN Schiff base and one Br atom occupy the basal plane, whereas the fifth apical position is occupied by the other Br atom at a greater Cu-Br apical distance. The reported complexes show $g_{\mid}$ > $g_{\perp}$ > 2.0023 with a $d_{x2-y2}$ ground state and a penta-coordinated square pyramidal geometry. Variable temperature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developed copper(II) complexes follow the Curie-Weiss law, that is there are no magnetic interactions between the copper(II) ions since the Cu--Cu distance is too far for magnetic contact.

PREPARATION OF N-(3-BROMO-2,4,6-TRIMETHYLACETANILIDE)IMINODIACETIC ACID AND ITS ${99M}^TC$-COMPLEX FOR HEPATOBILIARY IMAGING

  • CHOI OK-JA;HONG YOUNG-DON;GWON HUI-JEONG;CHOI SANG-MU;CHOI SUN-J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91-394
    • /
    • 2005
  • N-(3-bromo-2,4,6-trimethylacetanilide)iminodiacetic acid (BrTIDA) was synthesized using nitrilotriacetic anhydride prepared in situ, and lyophilized vials were prepared which contained 20 mg of BrTIDA and 0.4 mg of $SnCl_2$.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in-house prepared lyophilized kit, a technetium-99m complex of BrTIDA was prepared; its in vivo pharmacokinetic behavior was evaluated via animal studies to assess the hepatocytic function and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cystic duct and the gallbladder. Serial static image scans of rabbits and the biodistribution in mice injected with $^{99m}Tc-BrTIDA$ revealed that none of the tissues except for the hepatobiliary system showed radioactivity concentrations, and a rapid clearance from the organs was observed. In conclusion, a lyophilized kit and its prepared $^{99m}Tc-BrTIDA$ can be applied as a hepatobiliary imaging agent for the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hepatocytes and the patency of the biliary duct.

배추 유래 신규 건조 저항성 관련 유전자, BrDSR의 분리 및 기능 검정 (Isolation and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BrDSR, a New Gene Related to Drought Tolerance Derived from Brassica rapa)

  • 유재경;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75-584
    • /
    • 2015
  • 건조 스트레스는 작물의 생존과 생산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환경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에서 신규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를 동정 검정하는 것이다.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생육된 지부('Chiifu') 배추를 이용하여 제작된 KBGP-24K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738개의 건조 반응 유전자 중 기능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발현량이 6배 이상 크게 증가한 1개의 유전자를 선발하여 BrDSR(B. rapa Drought Stress Resistance)이라 명명하였다. 이의 검정을 위해 내혼계배추('CT001')에서 BrDSR을 동정한 결과 438bp의 오픈리딩프레임과 145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동정된 완전장의 cDNA 염기서열은 형질전환용 과발현 vector인 'pSL100' 제작에 이용하였다. BrDSR이 식물체에서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담배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PCR과 DNA 블롯 분석으로 선발된 T1 세대 담배 형질전환체들을 대상으로 quantitative real-time RT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형질전환체의 BrDSR 발현량은 비형질 전환체 보다 2.6배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건조처리 10일째 수행한 표현형 분석에서 BrDSR이 발현되는 담배 형질전환체들이 비형질전환체들 보다 우수한 건조 저항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BrDSR은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생장과 생존에 효과적인 저항성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편파 마이크로파 방전에 의한 InBr방전등 발광 특성 연구 (A Study on Electrodeless InBr Lamps Using Circularly Polarized Microwaves)

  • 원동호;고정태;김정영;김진중;김정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864-1866
    • /
    • 2003
  • 최근 마이크로파 방전에 의한 고압 2-원자 분자인 InBr중기는 고연색성(high color rendering index, CRI)의 백색광 발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잘알려진 무전극 황전등은 최고 효율이 173 lm/W까지 시연되어 알려진 모든 인조 광원 중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인 혁신적인 광원이다. 이에 비해 InBr방전등은 무전극 황전등에 비해 효율은 떨어지지만 거의 완벽한 CRI(95이상)를 보이기 때문에 차세대 projection display의 발광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편파 마이크로파 이용하여 무전극 InBr방전등의 입력전력의 변화와 InBr의 양 변화에 대한 특성(휘도, 상관색온도, 스펙트럼, 등)에 관한 실험결과를 보고한다.

  • PDF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Ag4Br4 Nanoclusters in the Sodalite Cavities of Fully K+-Exchanged Zeolite A (LTA)

  • Lim, Woo-Taik;Choi, Sik-Young;Kim, Bok-Jo;Kim, Chang-Min;Lee, In-Su;Kim, Seok-Han;Heo, Nam-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7호
    • /
    • pp.1090-1096
    • /
    • 2005
  • $Ag_4Br_4$ nanoclusters have been synthesized in about 75% of the sodalite cavities of fully $K^+$-exchanged zeolite A (LTA). An additional KBr molecule is retained in each large cavity as part of a near square-planar $K_4Br^{3+}$ cation. A single crystal of $Ag_{12}$-A, prepared by the dynamic ion-exchange of $Na_{12}$-A with aqueous 0.05 M $AgNO_3$ and washed with $CH_3OH$, was placed in a stream of flowing 0.05 M KBr in $CH_3OH$ for two days.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product ($K_9(K_4Br)Si_{12}Al_{12}O_{48}{\cdot}0.75Ag_4Br_4$, a = 12.186(1) $\AA$) was determined at 294 K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in the space group Pm m. It was refined with all measured reflections to the final error index $R_1$ = 0.080 for the 99 reflections for which $F_o\;{\gt}\;4_{\sigma}\;(F_o)$. The thirteen $K^+$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at three crystallographically distinct positions: eight $K^+$ ions in the large cavity fill the six-ring site, three $K^+$ ions fill the eight-rings, and two $K^+$ ions are opposite four-rings in the large cavity. One bromide ion per unit cell lies opposite a four-ring in the large cavity, held there by two eight-ring and two six-ring $K^+$ ions ($K_4Br^{3+}$). Three $Ag^+$ and three $Br^-$ions per unit cell are found on 3-fold axes in the sodalite unit, indicating the formation of nano-sized $Ag_4Br_4$ clusters (interpenetrating tetrahedra; symmetry $T_d$; diameter ca. 7.9 $\AA$) in 75% of the sodalite units. Each cluster (Ag-Br = 2.93(3) $\AA$) is held in place by the coordination of its four $Ag^+$ ions to the zeolite framework (each $Ag^+$ cation is 2.52(3) $\AA$ from three six-ring oxygens) and by the coordination of its four $Br^-$ ions to $K^+$ ions through six-rings (Br-K = 3.00(4) $\AA$).

칼슘 및 은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를 탈수한 후 브롬을 흡착한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a Bromine Sorption Complex of Dehydrated Calcium and silver Exchanged Zeolite A)

  • 배명남;김은식;김양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7-131
    • /
    • 1997
  • Ag+ 이온과 Ca2+ 이온으로 교환하고 진공 탈수한 제올라이트 A에 브롬을 흡착한 결정 구조(a=12.234(1) Å)를 입방공간군 Pm3m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해석하였다. 결정은 AgNo3와 Ca(No3)2의 몰 비를 1:150으로 하고 농도를 0.05M으로 한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흐름법으로 3일간 이온 교환하였다. 그 결정을 360℃에서 2 ×10-6 Torr하에서 2일간 진공 탈수한 다음 약 180 Torr의 브롬 기체로 24℃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이 결정 구조는 Full-matr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3o(I)인 반사 90개를 써서 R1=0.111, R2=0.101까지 얻었다. 이 구조에서 3.1개의 Ag+이온과 4.45개의 Ca2+ 이온이 6-링 산소와 결합하면서 두개의 서로 다른 3회 회전축 상에 위치하고 있었고 단위 세포당 총 여섯 분자의 브롬이 흡착되었다. 각 브롬 분자는 골격 구조의 산소 이온과 전하 이동 작용에 의해 결합하고 있었다(Br-Br-O=171(2), O-Br=3.25(6) Å; Br-Br=2.61(8) Å.

  • PDF

신흡수용액을 이용한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의 사이클 해석 (Cycle Analysis of Hot Water Driven Absorption Refrigerator with New Working Absorption Solution)

  • 권오경;윤재호;문춘근;윤정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9호
    • /
    • pp.1241-1248
    • /
    • 2002
  • Performance extension of the absorption refrigerator with LiBr solution is often faced to operate very close to the crystallization limit.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an air-cooled cycle, the crystallization of working solution in the system i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overcome. This paper describes the cycle of hot water driven absorption system using a new working absorption solution instead of LiBr solu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this study, we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new working absorption solution through the cycle simulation and compared LiBr solu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cooling water temperature, weak solution flow rate, hot water temperature and hot water flow rate were also examined. The COP is increased 22% higher in the case of LiBr+Li1+LiC1+LiNO$_3$$H_2O$, 2% LiBr+HO(CH$_2$)$_3$OH+$H_2O$ than that of LiBr solution for the same operation condition.

현미코지를 이용한 쌀된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ice Doenjang Prepared with Brown Rice Koji)

  • 이승은;서형주;황종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59-868
    • /
    • 2011
  • 코지와 대두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을 60일간 숙성하면서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두와 현미코지의 비율은 1.5:1 (BR-1), 2:1 (BR-2), 3:1 (BR-3)로 하고, 대조구로써 대두와 백미코지를 2:1 (PR)로 하였다. 60일 숙성 후 수분과 염도는 시료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숙성 경과에 따라 pH, 산도 및 미생물수는 숙성 20~30일 째에 최대에 이르렀고. 이에 앞서 10~20일째에 환원당 함량과 에칠 알코올 함량이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코지비율이 높을수록 빠르고 변화 값이 높은 경향이었다. 된장의 숙성지표가 되는 아미노태 질소 함량도 숙성 경과에 따라 증가하여 60일 숙성 후 BR-1이 가장 많은 887.6 mg%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BR-1이 가장 높아 $4047.0{\pm}1.5$ mg%이었으며, 코지비율이 높을수록 아미노산 생성이 많았다. GABA함량은 숙성 경과에 따라 소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숙성 경과에 따라 L값과 b값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a값은 점차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현미코지를 이용한 된장은 백미코지를 이용한 된장에 비하여 숙성이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와 함께 된장의 풍미를 결정하는 환원당, 에칠 알코올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숙성 30일 까지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미코지 된장은 백미코지 된장에 비하여 단백효소활성이 우수하므로 상대적으로 숙성이 빠르게 진행되며 에칠알코올과 아미노산 성분 등의 풍미물질이 많이 생성될 뿐만 아니라 현미의 영양성분이나 기능성물질인 GABA성분의 생성이 유도되어 산업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현미코지 비율이 가장 높았던 BR-1이 품질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