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PP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8초

비트율 모델을 이용한 초기 QP 결정 알고리즘 (Initial QP Determination Algorithm using Bit Rate Model)

  • 박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947-1954
    • /
    • 2012
  • 비디오 코딩에서 첫 번째 프레임은 많은 비트를 발생시키는 인트라 모드로 압축되고 다음 프레임의 인터 모드압축에 사용되기 때문에 첫 프레임을 위한 초기 QP 값은 첫 프레임뿐만 아니라 이후 프레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QP 값은 bpp 값에 따라 4가지 값 중에 하나로 설정되는데, 저전송률 비디오 코딩의 경우 전송률에 상관없이 40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하는 것은 간단한 반면 부정확한 문제가 있다. 정확한 초기 QP 값 예측을 위해서는 bpp 뿐만 아니라 영상의 복잡도와 전송률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GOP에 할당된 비트량에서 첫 프레임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절하여 초기 QP를 결정하며, 첫 프레임이 차지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QP를 결정하기 위해서 비트율-QP 모델을 이용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JVT 알고리즘에 비해 정확하게 최적의 초기 QP 값을 예측하고 PSNR 성능도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탄소성형 Bipolar Plate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연료전지 성능 비교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me-Made Bipolar Plate and Its Relationship with Fuel Cell Performance)

  • 권영국;이재광;지덕진;이재영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성형 분리판의 물리화학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수소 및 개미산연료 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기존 기계가공 탄소분리판과 탄소복합소재 탄소성형 분리판의 접촉저항, 부식특성, 소수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특히, 현재 연구개발 중인 탄소복합소재 성형분리판의 경우 계면접촉저항이 기계가공 분리판보다 1.5배 높게 나타났으며, 내식성 실험에서는 산에 취약하여 분리판 표면이 거칠어지고 결정성이 감소하였다. 연료전지의 성능은 분리판의 계면접촉저항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계면저항이 적은 기계가공 분리판이 수소 및 개미산 연료 전지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전갱이의 알칼리 수리미 겔 제조를 위한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최적화 (Optimum Formulation of Starch and Non-muscle Protein for Alkali Surimi Gel from Jack Mackerel)

  • 최종덕;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32-1038
    • /
    • 2003
  • 전갱이 육으로 제조한 알칼리 수리미의 가열 겔 강도 증강을 위한 최적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선정과 이들 성분의 최적 첨가량을 설정하기 위해 2수준 fractional factorial과 mixture design을 실시하였으며, 반응 값은 punch test에 의한 물성과 색차계로 색을 측정하였다. 감자, 옥수수 및 밀전분은 파괴 강도 값을 감소시키지만 변형 값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혈청 단백질은 파괴강도 값을 크게 증가시킨 반면 분말 난백 단백질은 다소 효과가 인정되었고 유장단백질과 대두 농축 단백질은 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소 혈청 단백질은 변형값을 다소 증가시킨 반면 분말 난백 단백질을 크게 감소시켰다. 감자와 옥수수 전분과 비근육 단백질은 백색도를 다소 개선하였다. 파괴강도 110g 이상, 변형 값 4.2 mm이상, 백색도 22.5 이상을 보이는 수리미, 옥수수전분 및 소혈청의 최적 혼합 비율은 각각 89.5∼90.0%, 4.6∼6.0%, 4.3∼5.4%의 범위였다. 전분과 비근육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갱이 알칼리 수리미의 가열 겔이 수세 수리미 겔에 비하여 균일한 단백질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북극여우의 위장췌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GEP) endocrine cells of the blue fox, Alopex lagopus)

  • 이재현;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9-379
    • /
    • 1993
  • 북극여우의 위장췌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출현빈도 및 세포의 종류를 밝히고자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위장관에서는 6종, 췌장에서는 4종의 면역반응세포가 동정되었다. 5-HT 및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는 전 위장관에 다수 분포하였으나 이중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장관에서 소수로 관찰되었다.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유문부와 십이지장에 국한하여 다수 분포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를 분문부와 위저부에서 다수 그리고 장관에서 소수 관찰되었다. BPP 면역반응세포는 분문부와 위저부에 중등도, 대장에 소수 분포하였다. 다수의 porcine CG 면역반응세포가 분문부와 위저부에서만 동정되었다. 한편 췌장에서는 somatostatin, glucagon, BPP 및 insulin 등 4종의 면역반응세포가 췌도 및 외분비부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위췌장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와 출현빈도가 동물종에 따라 매우 상이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PDF

고슴도치 위점막의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in the stomach of the Korean hedgehog(Erinaceus korean us))

  • 이재현;이형식;이남수;김종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6
    • /
    • 1991
  • 한국산 고슴도치의 위점막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에 대해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바, gastrin, somatostatin, 5-HT, glucagon, BPP, motilin, GIP 등 7종의 면역반응세포들이 동정되었으며, 이들 세포들의 부위별 분포와 출현빈도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Gastrin 면역반웅세포는 유문부에서만 아주 다수로 출현하였으며,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 다수, 분문부와 위저부에서는 중등도의 출현올 볼 수 있었다. 5-HT 면역반응세포는 분문부와 유문부에서 다수, 위저부에서는 중등도로 출현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위저부에서 소수로 그리고 유문부에서 극히 소수로 출현하였고, BPP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 다수로, 위저부에 중등도로 분문부에 소수로 분포하였다. motilin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와 위저부에서 소수 또는 극소수로 출현하였으며, GIP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만 소수의 분포를 볼 수 있었다.

  • PDF

GOP 레이어 비트율 제어를 위한 초기 QP 모델링 (Initial QP Modeling for GOP Layer Rate Control)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77-1383
    • /
    • 2012
  • 비디오 코딩에서 GOP의 첫 번째 프레임은 많은 비트를 발생시키는 인트라 모드로 압축되고 다음 프레임의 인터 모드 압축에 사용되기 때문에 첫 프레임을 위한 초기 QP 값은 첫 프레임뿐만 아니라 이후 프레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QP 값은 bpp 값에 따라 4가지 값 중에 하나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하는 것은 간단한 반면 부정확한 문제가 있다. 정확한 초기 QP 값 예측을 위해서는 bpp 뿐만 아니라 영상의 복잡도와 전송률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GOP의 인코딩 특성을 분석하여 전체 GOP의 PSNR 값을 최대로 하는 초기 QP 값을 찾기 위한 트래픽 모델과 실시간 영상 압축에서 모델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모델이 초기 QP 계산에 필요한 트래픽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또한 실시간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법도 효과적으로 작동함을 보여준다.

저전송률 비디오 압축에서 초기 QP 결정 알고리즘 (Initial QP Determination Algorithm for Low Bit Rate Video Coding)

  • 박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071-2078
    • /
    • 2009
  • 비디오 코팅에서 첫 번째 프레임은 많은 비트를 발생시키는 인트라 모드로 압축되고 다음 프레임의 인터 모드 압축에 사용되기 때문에 첫 프레임을 위한 초기 QP (Quantization Parameter) 값은 첫 프레임뿐만 아니라 이후 프레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QP 값은 bpp 값에 따라 4가지 값 중에 하나로 설정되는데, 저 전송률 비디오 코딩의 경우 전송률에 상관없이 35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하는 것은 간단한 반면 부정확한 문제가 있다. 정확한 초기 QP 값 예측을 위해서는 bpp 뿐만 아니라 영상의 복잡도와 전송률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전송 대역폭과 최적 초기 QP 값 사이에 존재하는 선형 반비례 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선형 모델을 사용하였고, 첫 프레임의 공간적 복잡도에 따라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JM 알고리즘에 비해 정확하게 최적의 초기 QP 값을 예측하고 PSNR 성능도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한국산 두더지의 위장췌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entero-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the insectivorous Korean mole, Talpa micrura coreana)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47-755
    • /
    • 1996
  • 한국산 두더지의 위장관 점막과 췌장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들의 분포와 출현빈도 및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 면역반응세포는 극소수내지 중등도의 빈도로 전 장관에 고루 분포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대장에 국한하여 출현하였다. 또 bovine CG, BPP 및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은 각각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위저부를 제외한 전 장관에 다양한 빈도로 고루 분포하였다.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와 소장에서만 다수 그리고 극소수로 관찰되었으나, insulin 면역반응세포는 전 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췌도의 주변부에서는 glucagon, somatostatin과 BPP 면역반응세포들이, 중심부에서는 insulin 면역반응세포가 높은 빈도로 동정되었으며 또한 외분비에서는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이 단독 또는 소수의 집단으로 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두더지의 소화관내분비세포의 분포패턴는 고슴도치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나 십이지장에서 세포의 종류와 출현빈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북극여우의 위장췌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GEP) endocrine cells of the blue fox, Alopex lagopus)

  • 이재현;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79-589
    • /
    • 1993
  • 북극여우의 위장췌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출현빈도 및 세포의 종류를 밝히고자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위장관에서는 6종, 췌장에서는 4종의 면역반응세포가 동정되었다. 5-HT 및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전위방관에 다수 분포하였으나 이중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장관에서 소수로 관찰되었다.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유문부와 십이지장에 국한하여 다수 분포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분문부와 위저부에서 다수 그리고 장관에서 소수 관찰되었다. BPP 면역반응세포는 분문부와 위저부에 중등도, 대장에 소수분포하였다. 다수의 porcine CG 면역반응세포가 분문부와 위저부에서만 동정되었다. 한편 췌장에서는 somatostatin, glucagon, BPP 및 insulin 등 4종의 면역반응세포가 췌도 및 외분비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위췌장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와 출현빈도가 동물종에 따라 매우 상이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VD Precursors I-Synthesis and Properties of New Titanium β-Diketonates

  • 홍성택;임종태;이중철;Ming Xue;이익모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7호
    • /
    • pp.637-642
    • /
    • 1996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tential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ecursors for the TiO2, a major component of the perovskite materials such as PT, PLT, PZT, and PLZT were investigated. Reactions between β-diketones and TiMe3, formed in situ failed to produce stable Ti(β-diketonate)3 complexes but a stable purple solid, characterized as (OTi(BPP)2)2 (BPP=1,3-biphenyl-1,3-propanedione) was obtained when BPP was used. Several new Ti(Oi-Pr)2(β-diketonate)2 complexes with aromatic or ring substituents were synthesized by the substitution reaction of Ti(OiPr)4by β-diketones and characterized with 1H NMR, IR, ICP, and TGA. Solid complexes such as Ti(Oi-Pr)2(BAC)2 (BAC=1.-phenyl-2,4-pentanedione), Ti(Oi-Pr)2(BPP)2, Ti(Oi-Pr)2(1-HAN)2 (1-HAN=2-hydroxy-1-acetonaphthone), Ti(Oi-Pr)2(2-HAN)2 (2-HAN=1-hydroxy-2-acetonaphthone), Ti(Oi-Pr)2(ACCP)2 (ACCP=2-acetylcyclopentanone), and Ti(Oi-Pr)2(HBP)2 (HBP=2-hydroxybenzophenone) were found to be stable toward moisture and air. Ti(Oi-Pr)2(ACCP)2 and Ti(Oi-Pr)2(HBP)2 were proved to have lower melting points and higher decomposition temperatures. However, these complexes are thermally stable and pyrolysis under an inert atmosphere resulted in incomplete decomposition. Ti(Oi-Pr)2(DPM)2 (DPM=dipivaloylmethane) and Ti(Oi-Pr)2(HFAA)2 (HFAA=hexafluoroacetylacetone) were sublimed substantially dur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mechanism of these complexes are dependent on type of β-diketone but removal of Oi-Pr ligands occurs before the decomposition of β-diketonate lig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