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TERL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 Cyprinidae)의 산란관의 신장 (Elongation of the Ovipositor i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Cyprinidae))

  • 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6
    • /
    • 2001
  • 조개와 수컷의 유무, 암컷 단독, 수조의 크기, 수조당 개체수 등과 같은 조건 하에서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산란관의 신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시붕어 암컷의 산란관은 조개, 조개+수컷, 수컷의 조건에서 모두 산란관이 주기적으로 신장하였으며, 암컷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신장되는 경우가 많았다. 조개와 수컷 없이 암컷만 사육하였을 때 큰 수조에 1개체를 넣은 경우에는 산란관이 신장되지 않았지만 작은 수조에 1개체 혹은 큰 수조에 여러 개체를 넣은 경우에는 신장이 일어났다. 신장된 상태의 지속기간은 1~3일 (평균 1.2~2.5일)이었으며, 신축주기는 4~15일 (평균 6.4~11.9일)로 나타났다. 신장되었을 때의 산란관의 길이는 68~100% (평균 78.5~98.8%)이었다. 주기적 신축기의 축소시기에 산란관의 길이는 20~51% (27.3~33.1%)이었으며, 더 이상 신축하지 않는 시기의 산란관의 길이는 3-30% (평균 11.1~19.9%)이었다. 수조의 크기와 개체수가 산란관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및 기존에 보고된 다른 종의 산란관의 신장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Spring-Spawning Bitterling, Rhodeus uyekii(Pisces : Cyprinidae))

  • 안철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2
    • /
    • 1995
  • 1991년 8월부터 1993년 7월까지 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매리마을의 낙동강 지류에서 채집된 한국 특산어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를 대상으로 생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간 생식소숙도지수(GSI)와 난경조성, 산란관 길이 변화를 조사하였고, 이들 생식소 발달과정을 광학현미경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는 수온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고, 7월부터 하강하여 8월에는 연중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이후 9월부터 11월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12월에는 일시적으로 증가를 멈추고 11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생식연주기는 7~8월의 퇴화 및 휴지기, 9~11월의 1차 성장기, 12월의 정체기, 1,2월의 2차 성장 및 성숙기, 3~6월의 완숙 및 산란기 등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산란성기는 4월하순에서 5월이었다.

  • PDF

한국산 각시붕어 수컷의 혼인색과 암컷의 배우자 선택 (Male Colors and Female Mate Preference in Korean Rosy Bitterling, Rhodeus uyeki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 전형배;석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3-271
    • /
    • 2012
  • 암컷의 배우자 선택은 여러 수컷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정보를 수집, 종합하여 가장 최적의 개체를 배우자로 결정하는 매우 복잡한 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인 교배 시스템($4{\times}4$ block breeding)을 이용하여 각시붕어(Rhodeus uyekii) 암컷의 배우자 선택방식을 조사하였고, 가중과 비가중 유전적 이득의 상대적 기여도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장치 내에서 총 48회의 암, 수간 배우자 상호작용이 관찰되었고, 암컷은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 혼인색 발현이 강한 수컷들을 배우자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우자 선호 정도가 개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므로, 비가중적 요소도 암컷이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에 서식하는 큰납지리의 난발생과 초기생활사 (Development of Eggs and Early Life History of Acheilognathus macropterus (Acheilognathinae) from Japan)

  • 김치홍;;김민경;김우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09
    • /
    • 2012
  •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어 일본의 이바라키현에서 정착한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의 난발생과 자치어의 특성에 대해 관찰하였다. 담황색 수정란의 장타원형으로 난경은 장경이 2.68~2.86 mm (평균 $2.78{\pm}0.12mm$, n=40), 단경이 1.42~1.49mm(평균 $1.44{\pm}0.04mm$, n=40)였다. 암컷의 개체 당 채란된 알의 수는 124~180개 (평균 151개)였다. 수정란은 수온 $20{\pm}1.0^{\circ}C$에서 수정 후 78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3.8mm이고, 3일째부터는 S자 모양의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부화 후 25일 경에 소화기관이 완성되어 먹이를 먹기 시작하고 부출기에 이르렀다. 한국산 큰납지리와 외부형태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se I (COI) 유전자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수정란의 형태가 두 집단 간 뚜렷이 구별되어 분류학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사천에서 채집된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의 생식과 기관계 구조 이상 (Abnormality of Reproduction and Organ Structure of the Oily Bit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from Isa Stream)

  • 정선영;신순호;진영국;주선미;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96
    • /
    • 2006
  • 이사천에서 채집된 칼납자루의 생식과 기관계 구조를 조직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수 성비는 1:1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 생식소중량지수(GSI)는 12월과 4월에 두 번의 정점을 나타냈으며, 산란관지수(OLI)는 불규칙한 변화 양상을 보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인 관찰 결과, 피부에서는 상피층의 위축과 색소세포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아가미에서는 새판 상피층의 박리와 새엽의 분지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간과 신장에서는 울혈 및 간세포의 세포질 변성과 사구체의 팽창, 세뇨관 상피세포의 초자성 변성 및 간질세포의 핵 응축이 관찰되었다.

불갑천에 서식하는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 (Pisces: Cyprin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Deep Body Bitterling, $Acheilognathus$ $macropterus$ (Pisces: Cyprinidae) in the Bulgapcheon Stream, Korea)

  • 김형수;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4
    • /
    • 2012
  •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를 대상으로 2006년 3월~11월과 2008년 4월에 전남 영광군 불갑천 일대에서 생태적 특징을 밝히고자 조사하였다. 큰납지리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바닥이 모래와 뻘로 이루어진 수역에서 대부분 서식하였다. 체장 48 mm 이하는 만 1년생, 48~58 mm는 만 2년생, 58~64 mm는 만 3년생, 66mm 이상은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고 암컷과 수컷은 체장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성비는 1 : 0.99 (female : male)이었고, 산란시기는 4~6월로 추정되었으며 이 시기의 수온은 $15{\sim}20^{\circ}C$이었다. 평균 포란수는 $680{\pm}209$개였으며 난경은 $1.92{\times}1.60mm$으로 나타났다. 소화관 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규조류의 $Navicula$, $Cymbella$, $Fragilaria$와 같은 식물플랑크톤이 주로 관찰되었다.

Morphometrical Changes o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in Early Growth Period

  • Goo, In Bon;Lim, Sang Gu;Han, Hyung Kyun;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1호
    • /
    • pp.33-41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process of yolk absorption i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and determined the changes in its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The R. uyekii from 1 days post hatching (DPH) to 21 DPH, the eye diameter (ED) was 5.4 at 5 DPH. Thereafter, the ED/total length (TL) ratio increased to 10.7 at 21 DPH (p<0.05). The yolk length (YL) decreased from 95.4 to 1.1 by 21 DPH, and this rate of decrease was greater than that for any other dimension (p<0.05). 12 morphometric dimensions/TL for the R. uyekii were measured at each sampling day from 21 DPH to 170 DPH. At just hatching, the average TL and BW were $6.1{\pm}0.09mm$ and $4.9{\pm}0.07mg$, respectively. At 53 DPH, the average TL was $12.9{\pm}0.28mm$ and the average BW was $14.7{\pm}0.72mg$; the total length growth equation was $TL=5.507e^{0.038t}$ ($R^2=0.916$). Further, the body weight growth equation was $BW=3.3647e^{0.0296t}$ ($R^2=0.9354$). The dimensions with regard to body depth showed the greatest growth rates in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ish (p<0.05). The patterns of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in three ways. The patterns were shown to be increased (y=0.0992x+12.07, $R^2=0.8333$), decreased (y=-0.0569x+42.029, $R^2=0.8395$) or maintained (y=0.005x+18.263, $R^2=0.3678$) from 21 DPH to 170.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dices for the successful rearing of the R. uyekii.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of Larvae in the Korean Endemic Bitterling, Acheilognathus somjinensis(Pisces, Cyprinidae), with Its Larval Growth

  • Park, Jong-Young;Oh, Min-Ki;Kim, Chi-Hong;Kang, Eon-Jong;Beon, Mu-Sup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297-304
    • /
    • 2008
  •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minute tubercles projected on the skin surface of larvae with its development were observed in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omjinensis. The minute tubercles appeared to be two distinct morphologies, hemispheric or scaly and vestigial structures. Just after hatching, the epidermis of the larvae consists of a thin single cell layer having smaller basophilic flat or round-flattened basal cells. As the larvae grow, the epidermis contains more small flat cells and large epidermal cells which are round and hemispheric, or scaleshaped, called minute tubercles. They are distributed over the anterior part and most part of yolk sac, posterior region of yolk sac and the body region. Vestigial epidermal cells, another minute tubercle, occur only in the caudal fin-fold region, which they are shrunken and flattened, causing the cell boundary to be unclear. They increase in number and height from just to 5 days after hatching, but they become reduced as the larvae develop gradually. The required time for those disappearance was different each by regional body: at day 20 after hatching in the anteriormost part of yolk sac, and day 11 after hatching in the posterior part of yolk sac and the body, and day 21 after hatching in two regions such most part of the yolk sac and the caudal finfold regions.

AFLP 분석에 의한 한국과 일본의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의 유전 변이와 집단 구조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Slender Bitterling Acheilognathus lanceolatus of Korea and Japan as Assessed by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nalysis)

  • 윤영은;김치홍;김근용;석과수실;방연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0
    • /
    • 2010
  •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의 유전 변이와 집단 구조를 알아보기 한국의 5개 집단(한강과 금강, 동진강, 섬진강, 낙동강)과 일본의 1개 집단(Katsura River)을 대상으로 A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5개의 선택적 프라이머 조합에 의 해 검출된 집단별 유효 밴드의 수는 345~374개였으며, 다형성 밴드 수는 55 (15.0%)~131 (24.9%)개였다. 평균 유전적 다양성은 낙동강 집단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한강 집단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계통도 상에서 각 수계별로 채집된 개체는 각 집단별로 함께 분기하으며, 이들은 높은 bootstrap 값으로 지지되는 2개의 단계통군 또는 집단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한편 유전적 분화도($F_{ST}$)는 모든 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1). 집단 그룹 간의 유전적 변이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AM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25.49%의 변이(P<0.01)을 보여 이들 집단 그룹은 유전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만경강 수계 봉서천에 서식하는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 Acheilognathin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Acheilognathinae) in the Bongseocheon, Mankyeonggang (River), Korea)

  • 김형수;고재근;최웅선;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8-85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1~12월까지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봉서천 일대에서 각시붕어의 개체군 생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각시붕어는 정수역의 하상이 주로 뻘로 이루어진 수역에서 대부분 서식하였다. 만 1년생은 체장 24~29 mm, 만 2년생이 30~35 mm, 만 3년생이 36~39 mm, 만 4년생이 4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10월 기준). 산란기는 3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고 (수온 $11.5{\sim}27.0^{\circ}C$) 성비는 1 : 0.77 (♀:♂)이었다. 포란수는 104~168 ($124{\pm}18.1$)개였고 난경은 장경 2.8~3.5 ($3.2{\pm}0.15$) mm, 단경 1.4~1.5 ($1.4{\pm}0.03$) mm로 나타났다. 각시붕어는 말조개 Unio douglasiae에 난괴를 형성하여 산란하였고 확인된 알 및 자어의 수는 3~18 ($10.2{\pm}5.0$)개로 나타났다. 각시붕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규조류의 Navicula, Cocconeis, Cymbella속과 남조류의 Cloniophora속과 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