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 Implementa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철도 인프라 BIM 협업 전략에 관한 연구 - 싱가포르 사례 및 국내 전문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Collaboration Strategy for Railway Infrastructure - Case Study and Survey -)

  • 김성아;김진만;신민호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16-127
    • /
    • 2022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which was applied mainly in the construction sector, is expanding to the road sector, and the government recently recommends preparing individual application guidelin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tailed fields such as railways, ports, and complexes through BIM implementation guidelines. Compared to general construction projects, a lot of the works such as signals, electricity, and power, and the railway BIM 2030 roadmap has been presented to apply BIM to railway construction projects that require business consultation and work environment review with various local governments, and pilot projects are in operation. Unlike a general building, in which the construction begins after the detailed design is completed, in the railway project, the detailed design of other works proceeds along with the roadbed construction. Because construction and design work together, railways need to coordinate detailed engineering interfaces such as trajectories, signals, and power, and the application of BIM in design interface coordina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pre-review. Overseas railway construction projects actively used BIM to adjust design interfaces and had a collaboration process to modify BIM models and create construction details from the revised models through regular meetings with suppli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factor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BIM collaboration environment based on a survey of practitioners as a preliminary step for establishing the BIM collaboration process of the railway construction project.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조경분야에서의 BIM 도입효과 및 실행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IM Adoption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in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an Analysis of Overseas Cases)

  • 김복영;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2-62
    • /
    • 2017
  • 현재 미국, 호주, 북유럽 등지의 해외 조경실무에서 BIM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과 함께 전문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관련 단체에서도 조직적 활동을 펼침으로써 BIM을 활용한 조경 프로젝트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아직 국내 조경분야에서는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BIM을 활용한 조경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BIM 도입에 따른 효과와 활용방법을 논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BIM 도입효과인 설계업무의 효율성 향상, 협업 환경의 마련, 지형설계의 형태 구현을 보여주는 조경 프로젝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조경정보 구축, 3D 모델링 제작, 상호운용성 확보, BIM 모델의 시각적 활용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BIM의 활용방법을 살펴보았다. 첫째, 조경정보 구축의 측면에서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시설물과 수목 등 상세한 조경요소들로부터 기반시설 등 광범위한 건설정보들이 3D 라이브러리나 2D CAD 형식으로 구축되었다. 둘째, 3D 모델링 제작을 살펴보면 간단한 지형과 수목을 포함한 조경공간을 Revit으로 모델링하거나, 정교하고 복잡한 지형을 Maya와 같은 전문적 3D 모델링 도구로 모델링했다. 그리고 통합모델은 분야별 모델을 제작하여 주기적으로 교환,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이들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셋째, 분야간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은 파일 포맷의 단일화, 상이한 포맷의 변환, 또는 정보 표준의 준수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건설정보를 공유하여 협업을 도모했다. 넷째, 3D 모델을 시각화함으로써 참여자들간의 의견조율, 설계안의 인허가, 대중 홍보가 이루어졌다. 사례분석을 통해 BIM은 디자인 도구라기보다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분야간 협업을 도모하는 프로세스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조경가들이 BIM을 활용한 통합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그간 건설분야에서 BIM으로의 전환을 통해 많은 이익과 기회를 누렸듯이 조경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BIM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Model based on BIM)

  • 전영웅;이명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7-135
    • /
    • 2010
  • 복합, 대형화되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정보들의 양은 방대해지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의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서 BIM의 적용 현황 및 가능성을 파악하고 건설현장의 수행단계별, 협업주체별 중심의 분석을 통해서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모델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IM을 적용하여 목적 건축물의 3D Modeling을 통한 2D 도면의 시각화, 도면 오류의 사전 발췌로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 3D 모델의 물량정보로 예산 작성의 정확성을 향상, 정확한 도면의 건축정보와 물량정보로 공사 진행 방향 설정에 확실성을 부여 및 부위별 객체 정보를 포함한 BIM기반의 건설정보를 바탕으로 공정관리를 통한 원가관리, 품질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BIM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함으로써 현장과 각 협업주체들 간의 건설현장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추후에는 실제 건설현장 관리모델을 구축하고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검증을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BIM 속성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속성입력 자동화 프로그램 구현 (Implementation of Property Input Automation Program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Property Set)

  • 남정용;주재하;김태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3-79
    • /
    • 2020
  • BIM 도구는 설계프로세스에서 기술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정보표준체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건설이 완료된 결과(Result) 분류는 25종 단위시설에 327종의 유형, 결과를 구성하는 객체는 174종의 Part와 207종의 Component로 분류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도로와 하천 분야 대상으로 속성분류체계를 대분류 4종, 중분류 13종, 소분류 58종, 속성정보 333종으로 분류하였고, 객체분류에 따른 대량의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것의 소요 시간을 줄이는 것이 관건이었다. 따라서, Revit 플러그인과 같은 외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구체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에 자동화가 필요하다. BIM 속성분류체계를 따르면서 사용자의 생산성과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는 BIM 속성입력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BIM 속성정보를 활용한 4D, 5D 설계 지원 알고리즘 구현 및 검증에 관한 연구 - 공정시뮬레이션과 물량산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4D and 5D Support Algorithm Using BIM Attribute Information - Focused on Process Simulation and Quantity Calculation -)

  • 정재원;서지효;박혜진;추승연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5-26
    • /
    • 2019
  • In recent years,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trying to use BIM-based 3D models for BIM nD design such as 4D (3D + Time) and 5D (4D + Cost).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efficiently using process management based on the BIM information created at each design st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automate 4D and 5D design support in each design stage by using BIM-based Dynamo algorithm. To do this, I implemented an algorithm that can automatically input the process information needed for 4D and 5D by using Revit's Add-in program, Dynamo. In order to support the 4D design, the algorithm was created to enable automatic process simulation by synchronizing process simulation information (Excel file) through the Navisworks program, BIM software. The algorithm was created to automatically enable process simulation. And to support the 5D design, the algorithm was developed to enable automatic extraction of the information needed for mass production from the BIM model by utilizing the dynamo algorithm. Therefore, in order to verify the 4D and 5D design support algorithms, we verified the applicability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ated workers and experts. As a result,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information about process information and to quickly extract information from design and design changes. In addition, BIM data can be used to manage and input the necessary process information in 4D and 5D, which is advantageous for shortening construction time and cost. This study will make it easy to improve design quality and manage design information, and will be the foundation for future building automation research.

Space Management on Campus of a Mobile BIM-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 Ji, Seung-Yeul;Kim, Mi-Kyoung;Jun, Han-Jo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7
  • Over the past decad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gained a foothold in the construction sector. However, as digital data generated in the virtual space of a computer environment, BIM-based data have an inherent limitation in their application efficacy under field conditions. To overcome this, the present study employs augmented reality (AR) to redu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digital data generated in virtual spaces and real-world conditions. We assessed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an AR-based interface by analyzing existing examples of Apple, Google, and Facebook, which reflect the recent developments of technologies focusing on user experience. We then proceeded with an AR study, restric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to a mobile environment in which an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a digital model and real life can take place. Object-oriented software engineering was employed to ensure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 BIM-based AR system for campus space management (CSM) in a mobile environment. Finally, we conducted a module test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CSM method by using an AR-based mobile system with a prototype of the model used in university campuses, and extracted and itemized the supplementary requirements for CSM by using BIM tools for running AR applications.

BIM기반의 WBS 구축을 위한 정보프레임워크 도입방안 연구 -토목사업의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Applying Information Framework for BIM Based WBS -Focusing on Civil Construction-)

  • 남정용;조찬원;박소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70-777
    • /
    • 2017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기존의 CAD를 대신하여 통합정보모델로서의 관심과 기대를 받아왔다. 건설산업 전체 중에서 건축분야에서 먼저 활용되기 시작한 BIM기술은 토목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늦게 도입이 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부에서 2020년부터 모든 SOC사업의 20%를 적용계획을 발표하는 등 토목사업에서의 도입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BIM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설계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구조와 이를 구현하는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건설사업에서 정보화는 많은 복잡한 요소들이 얽혀 있어 정보체계간의 관계 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사업에 BIM을 도입하기 위한 정보관계를 규명하여 통합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교량사업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앞으로 토목분야에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BIM에 도입하여 공정 및 공사비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BIM을 도입하기 위한 정보체계의 표준화에 대한 방향제시를 통하여 앞으로 토목의 각 분야에서 BIM을 도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건축기획 매스 규모산정의 설계지식 재현을 위한 지식기반 BIM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Knowledge-based BIM System for Representing Design Knowledge on Massing Calculation in Architectural Pre-Design Phase)

  • 이병수;지승열;전한종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52-266
    • /
    • 2016
  • An architectural pre-design, which is conducted prior to the architecture design, supports fundamental configuration during the entire AEC project by predicting the cost, demand, etc., of the building, and is therefore gaining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massing calculation of the pre-design phase should be prioritized, as it is fundamental to architectural outline. However, most architects depend on only their experience and intuition while conceptualizing an integrated framework of design conditions, including the building code and requirements for the massing calculation of the object. Therefore, many difficulties arise in terms of performing appropriate task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knowledge-based BIM for explicitly representing the design knowledge, which is the basis of decision making for an architect while performing the massing calculation. In particular, the 3D knowledge relevant to a project can be provided and accumulated in the massing calculation by the BIM system; this facilitates an integral understanding. Consequently, the approximate result of massing calculation in 3D BIM environment, through both the knowledge-based BIM template and plug-in, can be swiftly provided to the architect. In addition, the architect can invent various alternatives, estimate resulting costs, and reuse the accumulated knowledge in future BIM design processes.

BIM 기반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및 프레임워크 구축 (Derivation of System Requirements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ramework for BIM-based Urban Facility Maintenance System)

  • 김지은;최현상;강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97-406
    • /
    • 2014
  • 최근 현행 도시시설물 관리의 운영체계 미흡, 유지관리 정보의 연속성, 확장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도시시설물 관리기능에 첨단 IT 기술을 융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BIM 기반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동향을 조사 분석하고, 스마트 유지관리 기능 및 시설물 정보체계를 구성하여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후 BIM 기반의 도로 교량이나 터널과 같은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시스템 운영 및 구축 측면에서 각각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BIM 기반 도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과 활용 시나리오 도출 및 적용 연구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M기반 공동주택 리모델링 설계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M based Remodeling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for Apartments)

  • 이상헌;민병직;김인기;남상철;강성덕;전한종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14-323
    • /
    • 2010
  •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last 30 to 40 years has accumulated a large stock of buildings that are quickly and there physical age is quickly becoming apparent. Contemporary changes in architecture are fueling changes driven by the increased demand for these new services and facilities. The cost of energy and raw materials are on the rise, and dealing with the waist generated from the creation of new buildings is an emerging problem in the industry today. Thus, building remodeling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do to its increased efficiency regarding material usage. The participation of users in the development stages of a remodeling project is essential to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in projects. The BIM model used for the design process of building remodeling is the most effective way, due to the increased efficiency gained in many areas. This study will examine a pilot project where a BIM based process was used in the remodeling of an a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