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T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7초

Butylated hydroxyanisole(BHA)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의 미생물 성장 억제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Butylated Hydroxyanisole(BHA)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 임춘미;경규항;유양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0
    • /
    • 1987
  • Butylated hydroxyanisole (BHA)과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의 각 농도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한 미생물 중 3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loeckera apiculata, Cryptococcus hungaricus), 3종의세균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casei, Escherichia coli), 2종의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Penicillium sp.) 가 BH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성장이 점차적으로 억제되어 BHA 500ppm에서는 성장속도가 약간 느려졌고 BHA 100ppm 에서는 더욱 느려졌으며 (A. oryzae 는 완전 억제) BHA 150ppm에서는 대부분의 미생물 (S.cerevisiae, K.apiculata, C.hungaricus, B.subtilis, A.oryzae) 의 성장이 완전하게 억제되었으나 3종의 미생물 (L.casie, E.coli, Penicillium sp.)의 성장은 약간 억제되었을 뿐이다. BHT에는 2종의 미생물 (C.hungaricus, L.casei)만이 성장이 약간 억제되었고 시험 농도 범위에서는 기타 미생물에 대한 성장 억제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뇌 신경교세포에서 가미보양환오탕(加味補陽還五湯)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비교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fferent Fractions Isolated from Modified Boyanghwano-tang Extract in LPS-stimulated Microglial Cells)

  • 손혜영;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3-179
    • /
    • 2009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fractions isolated from modified Boyanghwanotang(mBHT) extract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BV2 microglial cells were investigated. Methods : mBHT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then fractionated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and n-butanol. BV2 cells, a mouse microglia line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ach fraction of mBHT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LPS for 24 h. Cell toxic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in culture medium by Griess reagent assay.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ease (iNOS) protein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Results : Four fractions of mBHT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s in BV2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mBHT was most strongly inhibited the NO production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s.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mBHT was also suppressed LPS-induced iNOS expression comparison of other fractions at same concentration ($50\;{\mu}g/ml$) in BV2 cells.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mBHT may have an strong anti-inflammatory property through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and iNOS expression in activated microglia, and could a therapeutic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rain inflammatory diseases.

만성요통환자의 호흡패턴이상과 통증과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Breathing Pattern Disorder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임재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55-363
    • /
    • 2020
  • 이 연구는 만성요통환자의 호흡패턴이상과 통증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04명의 만성요통환자의 날숨끝 이산화탄소농도(EtCO2)와 호흡률을 카프노그래프를 통해 측정하였고, 호흡유지시간과 Nijmegen Questionnaire, 가슴우리 움직임거리, 시각적사상척도를 추가로 평가하였다. Pearson's 검사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EtCO2와 BHT, 가슴우리 움직임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02, r=.281)(p<.01), RR과 VAS에서 낮은 음의 상관관계(r=-.253,-.200)(p <.05)를 보였다. RR과 NQ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37)(p<.05). 가슴우리 움직임거리와 VAS사이에서는 낮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70)(p<.01). 가슴 호흡과 가로막호흡 사이의 EtCO2, RR, BHT, 가슴우리 움직임거리, 그리고 VA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NQ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만성요통환자의 EtCO2, BHT, 가슴우리움직임거리, RR, 그리고 VAS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RR과 NQ, 흉부 소풍과 VAS 사이에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호흡패턴이상과 통증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가슴호흡과 가로막호흡의 비교에서 EtCO2, RR, BHT, 가슴우리 움직임거리 및 VA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만성요통환자의 재활 및 통증 관리에서 호흡패턴중재가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페놀화합물이 포함된 대황(Rhubarb)추출물의 항산화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barb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 김철재;서희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8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산 R. rhabarbarum L.과 중국산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과 그리고 한국산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황의 페놀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에탄올, 메탄올이 사용되었다. 에탄올이 대황(Rhubarb)에서 페놀화합물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용매였으며 50% 에탄올은 R. rhabarbarum L. 줄기에, 70% 에탄올은 R. palmatum L.의 줄기에, 80% 에탄올은 R. undulatum L.의 뿌리에서 페놀을 추출하는데 각각 가장 효과적인 용매농도였다. 또한 추출물리 항산화능을 알기 위해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실험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황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역시 증가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와 10mg/ml 일때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과 BHT의 항산화능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leq}0.05)$. 그러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서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이 0.4 mg/mL 농도 이상에서는 BHT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황(R. undulatum L.)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합성항산화제인 BHT의 식품에 사용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BHT와 동일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농도를 필요로 하였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 on Soybean Oil)

  • 박복희;최희경;조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2-5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AGT) on soybean oil. AGT was freeze-dried and 20% of the freeze-dried aqueous green tea powder (AGTP) was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ies of 0.5%, 1% and 5%. Soybean oil without the addition of AGTP was used as a control. Soybean oil with 0.02% butylated hydroxytoluen(BHT) was used as another experimental sample. Each sample was stored at 6$0^{\circ}C$ for 15 days. The oxidation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id values were lowest in 0.02% BHT, followed by the 0.5% AGTP, 1% AGTP, 5% AGTP and finally the control. When AGTP was added, the peroxide value was lower than both the control and 0.02% BHT. The lowest TBA values were in the 0.5% AGTP followed by 0.02% BHT, 1% AGTP, 5% AGTP and the control, respectively. The 5% AGTP (285 min), 1% AGTP (249 min) and 0.5% AGTP (238)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 (204 min) and the BHT (229 min) by Rancimat method.

  • PDF

생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 김은정;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7-42
    • /
    • 1993
  • 이상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생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요약할 수 있었다. 1. 항온 저장시에는 생강 추출물을 첨가한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효과는 3%를 첨가시 가장 높았고 그 정도는 BHT와는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나 tocopherol에 비해서는 월등히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2. 가열 처리시에도 생강 추출물의 농도에 관계없이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두유의 경우에는 BHT, tocopherol보다 뚜렷하게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3. 건강편을 튀김유에 5 및 10%씩 넣고 가열한 후 튀김 횟수에 따른 튀김유의 산패 정도를 측정시 두 시료 모두에서 산패가 억제되었으며 그 중 5%의 건강편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물성(植物性) 유지(油脂)의 열(熱) 안정성(安定性)에 미치는 항산화제(抗酸化劑)의 역할(役割) (Role of Antioxidants on the Heat Stability of Vegetable Oils)

  • 임정수;조정순;정승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7-54
    • /
    • 1992
  • The natural antioxidant such as e-tocopherol and synthetic antioxidant BHT were used to compare antioxidative effects of those antioxidants from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changes in the soybean oil due to number of frying. The composition of frying oil were consisted of a group(Fresh oil), B gorup(Fresh oil added with 0.05% ${\alpha}$-tocopherol), C group(Fresh oil added with 0.2% ${\alpha}$-tocopherol), D group(Fresh oil added with 0.1% BHT), E group(Tocopherol removed oil from oil by active alumina column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ws : 1. The color was determined by the Lovibond colorimeter color intensity increased number of frying oil. 2, The acid value, TBA value and Carbonyl value were increased number of frying oil. 3. Natural antioxidants less effective than BHT but effect of ${\alpha}$-tocopher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BHT. 4. The order of antioxidative effect was 0.1% BHT, 0.2% ${\alpha}$-tocopherol, 0.05% ${\alpha}$-tocopherol, fresh oil, tocopherol remove oil.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3. 분말 참치 가수분해물의 저장중 품질안정성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Commercial Pretenses 3. Storage Stability of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 차용준;김은정;김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27-631
    • /
    • 1996
  • 참치 가수분해물을 항산화제인 BHT 0.02% 첨가구와 rosemary 0.01% 및 0.02%를 첨가한 제품을 대조구와 함께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검사한 결과 색도에서 대조구 및 항산화제 처리한 4제품 모두 명도는 감소하는 반면에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수용성 갈변물질이 지용성 갈변물질 보다 함량이 많았으며 저장 중 증가폭도 컸다. 지방산화 억제능에서는 0.02% BHT 첨가구 보다 0.02% rosemary 첨가구에서 효과가 있었고, ACE 저해능에서는 생시료에서 3% 미만의 낮은 효율을 보인 반면에 가수분해물에서는 72.2%를 나타내었으며, $IC_{50}$/은 1.124mg이었다.

  • PDF

Long-Term Feeding of Dietary Fat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on The Hepatic Microsomal Mixed-Function Oxidase System in 2-Acetylaminofiuorene Treated Rats

  • Kim, Kyung-Min;Yim, Kyeong-Sook;Choi, Hay-Mi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215-221
    • /
    • 1995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p/s) ratios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on the hepatic microsomaI mixed-function oxidase sy. stem in 2~acetylaminofiuorene (2-AAF) treated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the diet of beef tallow (p/s 0.08), beef tallow plus soybean oil (p/s 1.0), and soybean oil (p/s 4.0) at the level of 15%fat and with or without 0.3% BHT. After 2-AAF was injected twice at the ages of 23 and 27 weeks, cholesterol/phospholipid molar ratio,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 cytochrome P450, cytochrome $b_5$, NADPH-cytochrome $b_5$, and NADPH-cytochrome c reductase activity were measured from isolated hepatic microsomal fractions. In the beef tallow (p/s 0.08) and beef tallow plus soybean oil (p/s 1.0) groups, cholesterol/phospholipid molar ratio showed decreasing tendency by 2-AAF and BHT. Cytochrome P-450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group of soybean oil (p/s 4.0) and NADPH-cytochrome c reductase activity was increased by 2-AAF and BHT in all the dietary groups. While TBARS levels were increased by 2-AAF in all the dietary groups, they were reduced by BHT in the soybean oil (p/s 4.0)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 term intake of soybean oil (p/s 4.0) diet induced changes in the nature of microsomal membrane and induced less cytochrome P-450, low level feeding of BHT increased cytochrome c reductase activity and lowered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levels, which were increased by 2-AAF treatment.

  • PDF

BHT (Butylated hydroxy toluene)의 항산화성(抗酸化性)에 대한 citric acid의 상승효과(相乘效果) (Synergistic Effect of Citric Acid on Antioxidant Property of BHT)

  • 이희봉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31-36
    • /
    • 1975
  •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에 0.02% BHT, 0.01% citric acid 및 0.1 ppm $CuSo_4\;5H_2O$를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하여 암소저장조건하(暗所貯藏條件下)$(40{\pm}0.5^{\circ}C)$ 및 일사광선조사조건하(日射光線照射條件下)에서 저장(貯藏)하여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와 유리지방산가(遊離脂肪酸價)의 변화(變化)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적(一般的)으로 일사광선조사조건(日射光線照射條件)에서는 암소저장조건(暗所貯藏條件)에서 보다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와 유리지방산가(遊離脂肪酸價)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였다. 2. $CuSO_4{\cdot}5H_2O$를 첨가한 시료구(試料區)에서는 일사광선조건(日射光線條件)과 암소저허조건(暗所貯虛條件)에서 과산화물(過酸化物)과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을 강(强)하게 형성(形成)하였다. 3. BHT에 대한 citric acid의 상승효과는 암소저장조건(暗所貯藏條件)과 일사광선조건(日射光線條件)에서 모두 강(强)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