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T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33초

消風散의 Allerhy 抑制 效能에 관한 硏究 (The study on thw Inhibitory effect of Allerg by SoPungSan)

  • 서형식;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2-29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effects of SPS on antioxidants, iching by histamine in human model and skin stimulus. The result were obtained as follows : 1. Antioxidants of SPS is better than Vitamine C and is not less than BHT(Dibutylated Hydroxytoluene). 2. Inhibitory effect of iching by histamine is better than Dermobate. 3. Skin stimulus is not in ROAT(Repeated Open Application Test).

  • PDF

Electro-transport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

  • Lee, Seung-Yeon;Kim, Su-Youn;Youe, Jee-Sun;Oh, Seaung-Youl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32.2-232.2
    • /
    • 2003
  • Transdermal iontophoresis is a physical enhancement technique to facilitate the delivery of primarily charged molecules across the skin. Principal mechanism of iontophoresis is electrorepulsion experienced by the charged solutes under the application of a potential gradient.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several factors (concentration of NADPH, current density) that can affect the iontophoretic flux. We also studied the stability of NADPH in aqueous solution with/without various antioxidants such as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omitted)

  • PDF

한방에서 안질환에 사용되어 온 천연물들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natural products which have been orientally used as ophthalmic drugs)

  • 임성훈;최선희;이흠숙;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65-373
    • /
    • 2005
  • 본 연구는 한방에서 안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거나 안질환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연구되어 온 7종의 천연물들의 항산화 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복분자, 석곡, 곡정초, 여정자, 결명자, 매미허물, 진황정의 메탄올 추출물들은 DPPH radical 전자공여능 검사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항산화작용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복분자와 석곡은 ascorbic acid나 BHT와 유사한 정도의 전자공여능을 가지고 있었다. 여정자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mu}g/m{\ell}$의 농도에서 0.1 mM ascorbic acid와 같은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복분자의 메탄올 추출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ABTS radical 생성 저해작용이 뛰어났다. 또한 결명자는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천연물들의 항산화작용은 그들의 안질환 치료효과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옻나무(Rhus verniciflua) 목질부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Isolated Compounds from the Heartwoods of Rhus verniciflua)

  • 안은미;박상재;최원철;최석훈;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58-361
    • /
    • 2007
  • 옻나무 목질부를 열수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CHCl_3$, EtOAc, H-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EtOAc와 n-BuOH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sinapyl aldehyde (1), 2,4-dihydroxybenzaldehyde (2), 2,4-dihydroxybenzoic acid (3) 및 2,4-dihydroxyphenyl-glyoxylic acid (4)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 중 2-4은 옻나무목질부에서 처음 분리된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 중 sinapyl aldehyde (1)와 2,4-dihydroxyphenylglyoxylic acid (4)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34.7{\pm}0.6%$$43.8{\pm}0.9%$로 나타나 합성항산화제인 $BHT(14.4{\pm}0.3%)$보다 높게 나타났다.

Astaxanthin처리 산란계로부터 생산된 난황이 Mouse Liver Microsome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gg Yolks from Laying Hens Intubated Astaxanthin on the Oxidation of Liver Microsome of Mouse)

  • 김홍출;박숙자;김정곤;박철우;조용운;조현종;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5-159
    • /
    • 2002
  • AEY의 acetone 추출물이 mouse liver microsome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ouse liver microsome에 함유된 단백질 AEY 처리가 CEY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7~48%정도가 증가하였다. 지방산 분석 결과, CEY 처리에 비해 AEY 처리구에서 stearic acid를 포함하는 포화지방산의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을 함유하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AEY 처리구는 F $e^{2+}$가 관여하는 Asc/F $e^{2+}$, NADPH/F $e^{+2}$ 를 산화유도물질로 사용한 경우에 TC와 비슷하거나 보다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ABIN이나 CuOOH가 산화유도물질로 작용할 시에는 AEY처리에 의해 유의성있는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황련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Extract from Coptis chinensis Franch)

  • 김용주;이문조;박진우;김준기;최달영;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1-246
    • /
    • 2000
  • 상용되는 한약재의 하나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를 열수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유지에 대 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즉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인 BHT, ascorbic acid 및 $\alpha$-tocopherol을 각 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 토하였으며, 또한 유지 자동산화의 촉진인자인 금속이온(Fe3+, Zn2+)을 첨가하여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 온 봉쇄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전 농도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 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농도(5mg 및 10mg)에서 유도기의 연장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와의 비교 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ascorbic acid와 거의 같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 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에 있어서 는 linoleic acid에 황련 추출물과 Fe3+ 및 Zn2+을 첨가한구가 황백 추출물의 무첨가구보다 항산화 효과 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속이온 봉쇄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약선개발을 위한 대추과육과 잎 추출물의 일반성분 및 항산화활성 평가 (Evaluation of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orm Zizyphus jujuba Fruits and Leaves Extracts for Development Medicinal Food)

  • 조화은;정명수;최윤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59-86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roximat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extracts from Zizyphus jujuba fruits (ZF), leaves (ZL), mixture of them (ZM) and fermented mixture (FZM) for development medicated food. The contents of total carbohydrate and free sugar in ZF were 82.37 and 64.18 g/100 g, highest contents among all the extracts. The contents of free sugar in ZL was 19.39 g/100 g, but FZM was 10.01 g/100 g lower than Z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in 1 mg/$m{\ell}$ concentration were 90.96 ${\mu}g$/mg for ZL, 22.39 ${\mu}g$/mg for ZF, 83.67 ${\mu}g$/mg for ZM, 70.92 ${\mu}g$/mg for FZM.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 mg/$m{\ell}$ concentration was 51.07% for BHT, 46.32% for ZL, 39.54% for ZM, 34.68% for FZM. ZF did not express activity. SOD like activity at 1 mg/$m{\ell}$ concentration was 67.16% for BHT, 75.33% for ZL, 17.42% for ZF, 68.22% for ZM, 59.81% for FZM.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s of Z. jujuba (ZF) prominently lower than that of the leaves (ZL), but a mixture of leaves and fruits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is not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Z. jujuba

생강(Zingiber officinale R.)근경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 방면호;송정춘;김선림;허한순;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202-205
    • /
    • 2001
  • 건강을 80% MeOH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그 중에서 뚜렷한 활성을 보인 EtOAc 분획으로부터 DPPH(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포획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추적하여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2종을 분리하였다. 각각을 NMR 및 MS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6-shogaol 및 12-shogaol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 화합물의 $EC_{50}$값은 26.4 ${\mu}M$과 22.5 ${\mu}M$로 상용항산화제인 BHA, BHT 및 ${\alpha}-tocopherol$보다 뚜렷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방아잎(배초향, Agastache rugosa O. Kuntze)에서 항산화물질 로즈마린산의 분리, 동정 및 활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Rosmarinic Acid, a Potent Antioxidant Extracted from Korean Agastache rugosa)

  • 김종범;조강진;황영수;박노동;김정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62-266
    • /
    • 1999
  • 국내 식물자원 30 가지의 항산화활성을 탐색한 결과 방아잎, 형개, 택란의 m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방아잎의 건조분말을 methanol로 환류냉각 추출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순으로 용매분획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농축한 다음 Sephadex LH-20으로 chromatography하여 순수물질을 얻었다. 이물질을 ESIM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이 360임을 확인하였고, IR과 UV spectra에 의해서 phenol계 화합물임을 확인하였으며 NMR 분석에 의해서 이 항산화물질이 rosmarinic acid임을 확인하였다. 이 물질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돈지와 팜유에 대해서 BHT나 ${\alpha}-tocopherol$보다도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방아잎의 methanol추출물의 항산화력은 rosmary의 methanol 추출물과는 비슷하였으나, sage의 methanol추출물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 PDF

Monoolein액정상이 Retinylpalmitate의 안정성과 경피전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fluence of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s of Monoolein on the Stability and Transdermal Delivery of Retinylpalmitate)

  • 이경금;강명주;최영욱;이재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4호
    • /
    • pp.243-247
    • /
    • 2007
  • Retinoids have many important and diverse functions and particularly, have been widely used as anti-aging agent and for the treatment of acne and psoriasis in cosmetics. However, retinoids have low stability against the air, light, water, oxygen and heat, thus, to stabilize the retinoids in formulations is very critical procedure. In this study,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of monoolein was applied to stabilize the retinylpalmitate (RP) and to enhance the transdermal permeation.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significantly enhanced the stability of RP. After 15 days, the content of RP in the cubic formulation was 94.7% while the content of RP in ethanol solution was below 0.5% at room temperature. Although BHT containing crystalline phase showed the slightly increased stability of R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P stability between with or without antioxidants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BHT, BHA) at $40^{\circ}C$. The skin retention of RP in crystalline formulations was approximately $5.3{\sim}6.4$ times greater than that of o/w cream formulation. Incorporation of RP into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of monoolein effectively stabilized the RP and worked as excellent topical vehicle for RP. Liquid crystalline phase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mulation for RP for topical delivery system as a stabilizer and permeation enhancing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