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C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1초

충남지역(忠南地域) 논토양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수준(殘留水準) (Residue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n Paddy Field Soils in the Chungnam Area)

  • 최종우;이규승;이중길;노길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21
    • /
    • 1987
  • 1986.3.20∼4.6 사이에 충남(忠南)의 대덕(大德), 공주(公州), 금산(錦山), 논산(論山) 및 연기군(燕岐郡) 등 5개 지역(地域)에서 총(總) 108점(點)의 논토양을 채취하여 19종(種),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을 대상으로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하였으며,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모두 12종(種)의 농약성분을 검출(檢出)하였으며, 검출빈도는 P.P'-DDE (67.6%), ${\gamma}-BHC$(54.8%), ${\gamma}-chlordane$(50.9%), 그리고 ${\alpha}-BHC$(47.1%)의 순(順)이었고, 평균잔류량(平均殘留量)은 ${\alpha}-BHC$, ${\gamma}-chlordane$, P.P'-DDD와 P.P'-DDE가 0.001ppm 수준이었다. 2. 검출시료의 평균잔류수준은 ${\beta}$-BHC가 0.001ppm, ${\alpha}-BHC$, ${\gamma}-chlordane$, P.P'-DDT, O.P'-DDT 및 P.P'-DDD가 모두 0.002ppm 수준이었다. 3. 이상(以上)의 결과에서 볼 때, ${\beta}-BHC$, ${\gamma}-chlordane$ 및 DDT의 대사산물(代謝産物)의 잔류성(性)이 비교적 길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全般的)인 잔류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評價)할 수 있다.

  • PDF

BHC 이성질체(異性質體)의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초제(除草劑)로서 3-(2,4,5-trichlorophenyl)-1- methyl urea의 합성(合成)- (On the Utilization of Inactive BHC isomers -Synthesis of 3-(2,4,5-trichlorophenyl)-1-methyl urea as a herbicide-)

  • 이규승;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2호
    • /
    • pp.109-122
    • /
    • 1979
  • 잔류성(殘留性) 살충제(殺忠劑)인 BHC의 합리적(合理的) 사용방법(使用方法)을 찾기 위하여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에 의한 ${\gamma}$-isomer를 분리(分離) 및 농축(濃縮)하였다. 그리고 불활성(不活性) 이성질체(異性質體)로 부터 1,2,4-trichlorobenzene, 2,4,5-trichloronitrobenzene, 2,4,5-trichloroaniline을 거쳐 3-(2,4,5-trichlorophenyl)-1-methyl urea를 합성(合成)하였으며 몇가지 작물(作物)에 대한 발아(發芽) 및 생육억제효과(生育抑制效果)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methanol-물 용매계(溶媒系)에서 BHC 원제(原劑)를 재결정(再結晶)하였고, ${\gamma}$-이성질체의 회수율(回收率) 95%에서 ${\gamma}$-이성질체의 조성(組成)이 49.5%로 강화(强化)된 BHC 결정(結晶)을 얻었다. 2. BHC 원제(原劑)를 85%의 methanol성(性) 수용액(水溶液)으로 추출(抽出)한 다음, chloroform이 분배(分配)시켜 재결정시켰을 때는 ${\gamma}$-이성질체의 회수율 90.5%에서 ${\gamma}$-이성질체의 조성(組成)이 89.6%로 농축된 BHC 결정을 얻을수 있었다. 3. BHC 원제로 부터 1,2,4-trichlorobenzene의 합성시(合成時), 합성수율(合成收率)은 alkali 농도(溫度)에 크게 좌우되며, 사용(使用)된 alkali의 종류에도 다소 영향을 받는다. 4. BHC 원제의 alkali 가수분해시(加水分解時)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첨가(添加)는 1,2,4-trichlorobenzene의 수율(收率)을 높혔다. 특히 사급(四級)암모늄염은 1,2,4-trichlorobenzene의 수량(收量)을 크게 증가(增加)시켰다. 5. 1,2,4-trichlorobenzene으로 부터 2,4,5-trichloronitrobenzene의 합성시(合成時) nitro 화시약(化試藥)으로서 $HNO_3-H_2SO_4$를 사용하였을때 94.4%라는 높은 수율(收率)을 보였다. 6. 2,4,5-trichloronitrobenzene을 철(鐵)과 염산(鹽酸)으로 환원(還元)시켰을때, 생성(生成)된 2,4,5-trichloroaniline의 수율(收率)은 91.4%이였다. 7. BHC 원제(原劑)를 기준(基準)으로한 3-(2,4,5-trichlorophenyl)-1-methyl urea의 전수율(全收率)은 60.8%이었다. 8. 6종(種)의 작물에 대한 3-(2,4,5-trichlorophenot)-1-methyl urea의 발아(發芽) 및 생육억제효과(生育抑制效果)는 대조(對照)로 사용한 urea계(系) 제초제(除草劑)인 linuron, diuron 보다 강(强)하였으며, 또 본(本) 화합물(化合物)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은 작물의 종류(種類)와 부위(部位)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광양만(光陽灣)의 수질(水質), 저질토(底質土) 및 백합(白蛤) 중 유기염소계(有機塩素系) 잔류농약(殘溜農藥)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urvey on the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Water, Mud and Clam Samples from the Kwangyang Bay, Korea)

  • 이서래;강순영;박창규;이정호;노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2호
    • /
    • pp.112-119
    • /
    • 1976
  • 광양만(光陽灣) 일대 특히 섬진강 하구(河口)에 위치한 양식장 주변에 있어서의 수질(水質), 저질토(底質土) 및 백합(白蛤) 중 유기염소계 농약잔류량을 1974년 5월부터 1975년 5월에 걸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질(水質) 중 잔류농약은 계절 및 위치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dieldrin> aldrin> ${\alpha}-BHC$> ${\gamma}-BHC$> endrin> heptachlor> heptachlor epoxide의 순서로 0.48 ng/L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2. 저질토(底質土) 중 잔류농약은 aldrin>dieldrin>${\alpha}-BHC$> ${\gamma}-BHC$> heptachlor> endrin> heptachlor epoxide의 순서로 $0-10\;{\mu}g/kg$ (풍건물)의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상층토(上層土)보다 하층토(下層土)에 더 많았다. 3. 백합(白蛤) 중 잔류농약은 heptachlor>${\gamma}-BHC$>${\alpha}-BHC$> aldrin> heptachlor epoxide> dieldrin> endrin의 순서로 $0.1-18\;{\mu}g/kg$육질(肉質) 생체중(生體重)의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3년생(年生)에서 최고치(最高値)에 달한 후 4년(年)째에는 급감(急減)하였다.

  • PDF

고치생산증대를 위한 의잠우열 분리와 자웅분리의 비교연구

  • 최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4-67
    • /
    • 1973
  • 본연구는 "잠아우열분리제(BHC)"를 개발함으로서 의잠시 우열분리된 결과와 자웅분리한 결과를 비교한 것으로서 1. BHC 분리잠의 견질이 대조구보다 우수한 사실과 2. BHC 분리잠의 견질이 웅잠구보다 우수한 사실과 3. BHC 처리방법은 12∼13%의 농가소득증대의 결과를 초래함을 알게 되었다. 본방법은 내년부터 양잠농가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급과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며 양잠기술의 혁명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 PDF

한국산 현미(玄米)중 BHC의 잔류성(殘留性) 연구(硏究) (BHC Residues in Brown Rice Produced in Korea)

  • 김용화;송기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6-312
    • /
    • 1978
  • 한국산 현미(玄米)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살충제인 BHC의 잔류량(殘留量)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각지에서 수집(蒐集)한 현미시료와 포장(圃場)실험에 의한 시료중 BHC 잔류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도별(各道別) 미곡생산량에 비례하여 수집한 1976년산 통일계통 현미시료 112점에 대한 총 BHC 잔류량 평균치(平均値)는 0.0061 ppm, 검출범위(檢出範圍)는 $0.0010{\sim}0.0762ppm$이었다. 2) 산지별(産地別)로는 전북(全北), 경남(慶南), 충남산(忠南産)이 전국평균치(全國平均値)보다 많았고 이성체별(異性體別)로는 ${\alpha}>{\gamma}>{\beta}>{\delta}$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농도별(濃度別) 검출빈도(檢出頻度)는 0.01 ppm 이하 89.3%, $0.01{\sim}0.05\;ppm$ 9.8%, $0.05{\sim}0.10\;ppm$ 0.9%이었다. 3) 관행법(慣行法)에 의한 수도(水稻)재배중 살포한 BHC의 잔류량을 경기(京畿)지역과 전북(全北)지역에서 시험한 결과 이화명충 1화기에 살포(BHC 6% 입제(粒劑) 4 kg/10 a)한 경우의 현미에서는 무처리구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0.035 ppm을 초과하지는 아니하였다. 한편 이화명충 2화기에 살포(6% 입제(粒劑) 3 kg/10 a)한 경우의 현미에서는 $0.04{\sim}0.19\;ppm$ 범위로 잔류(殘留)하였다.

  • PDF

공기중에 오염되어 있는 BHC의 정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Benzene Hexachloride in Contaminated Air)

  • 차기원;장병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4-258
    • /
    • 1978
  • 공기중에 오염되어 있는 미량의(benzene hexachloride : BHC)를 정량하는 간단하고 예민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시료를 n-hexane에 통과시켜 BHC를 녹인 다음 n-hexane 용액의 흡광도를 245nm에서 측정하고 고체 BHC 표준시료를 기화시킨 후 n-hexane에 통과시키고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농도를 계산하였다.

  • PDF

미곡에 있어서 ^{14}C$-BHC 잔류분의 행동 (Behavior of ^{14}C$--BHC Residues in Rice Grain)

  • Su-Rae Lee;Yong-Hwa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221-228
    • /
    • 1981
  • 방사성 표식화합물인 ${\gamma}$-(U-$^{14}$ C)-BHC를 폿트 재배한 수도에 시용한 후 식물체에서의 분포 및 도정, 착유 과정중의 행방을 추적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4}$ C-방사능은 식물체에 흡수되어 각부위에 딘리 분포되었고 볏짚과 곡립에 이행된 방사능은 2.8%이었으며 그중 9.4%만이 현미에 이행되었다. 현미로 이행된 $^{14}$ C-방사능은 도정과정에서 쌀겨 : 백미에 12:88의 비율로. 용매에 의한 착유과정에서 기름 : 착유박에 37:63의 비율로 분배되었다. 수도체로 이행된 $^{14}$ C-잔류분은 모체인 r-BHC와 대사산물인 pentachlorocyclohexene, trichloro-benzene 및 친수성 분해산물임이 밝혀졌고 이들 성분의 비율은 볏짚과 현미에서 각각 달리 나타났다.

  • PDF

연안(沿岸) 패류(貝類) 서식지(棲息地) 저니토중(底泥土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the Mud Flat)

  • 서용택;임건재;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86
  • 주요(主要) 패류(貝類) 서식지중(棲息地中) 서남해안(西南海岸) 4개지역(個地域)을 선정(選定), 1983년 8월부터 10월에 걸쳐 저니토(底泥土) 시료(試料)118점(點)을 채취(採取),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alpha}-BHC,\;{\gamma}-BHC$와 PCNB, heptachlor, ${\alpha}-endosulfan,\;{\beta}-endosulfan,$ p, p'-DDE, dieldrin, o, p'-DDT 및 p, p'-DDT 등(等)이 M$2{\sim}98%$의 검출빈도(檢出頻度)를 보였고 그 평균잔류수준(平均殘留水準)은 ${\gamma}-BHC$$PCNB>{\alpha}-BHC>heptachlor{\approx}{\alpha}-endosulfan{\approx}\;p,\; p'-DDE{\approx}dieldrin{\approx}{\beta}-endosulfan{\approx}\;o,\;p'-DDT{\approx}\;p,\;p'-DDT$순(順)으로 $trace{\sim}0.04ppm$범위(範圍)였다. 지역별(地域別) 총잔류량(總殘留量)의 평균(平均)은 강진(康津), 광양(光陽), 여천(麗川) 및 영광(靈光)이 각각(各各) 0.058, 0.080, 0.016 및 0.075ppm이었다. DC-200 column을 사용(使用)하여 ${\gamma}-BHC$와 PCNB의 peak를 분리(分離)하였고 PCNB는 이를 환원(還元) 유도체(誘導體)인 PCA로 만들어 동정(同定)함으로써 공시시료중(供試試料中) PCNB가 잔류(殘留)됨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천연보존료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 on Efficacy and Storage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 이희섭;이성진;손요한;유희종;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17
    • /
    • 2017
  • 본 연구는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천연보존료인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합 황금추출물은 $H_2O_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있어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taminophen에 의한 급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료에 첨가된 복합 황금추출물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효능에 있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 고찰할 때 복합황금추출물은 기능성 원료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액상제형 건강기능성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보존제로 판단되었다.

국내 소비 육류(肉類)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잔류농약(殘溜農藥)의 검색(檢索) (Organochlorine Insecticide Residues in Meats Consumed in Korea)

  • 김용화;한윤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4-201
    • /
    • 1981
  • 국내에서 소비되는 육류(肉類)인 쇠고기 , 돼지고기 , 닭고기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의 잔류(殘溜)실태(實態)를 분석(分析)하고 그의 위해(危害)여부를 평가(評價)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소비되는 육류(肉類)시료 80점중 유기 염소계 살충계로 동정(同定)된 것은 ${\alpha}-BHC,\;{\beta}-BHC,\;heptachlorepoxide,\;\;DDE$의 4개성분이었다. 잔류성분(殘溜成分)의 평균 검출농도는 지방(脂肪)기준 총량으로 볼 때 국산쇠고기 0.466 ppm, 수입쇠고기 0.145 ppm, 돼지고기 0.264 ppm, 닭고기 0.106 ppm이었으며, 성분으로 볼 때에${\alpha}-BHC>DDE>heptachlorepoxide>{\beta}-BHC$의 순서로 나타냈다. 2. 한국인이 육류(肉類)로부터 섭취하게 되는 유기 염소계잔류농약은 1인당 1일 평균 총 BHC $1.0{\mu}g$, heptachlorepoxide $0.1{\mu}g$ DDE $0.3{\mu}g$으로 추정(推定)되었다. 이러한 수준은 FAO/WHO에서 권고한 인체허용(人體許容) 1일 섭취량(ADI)인 성인 1인당(50kg 체중(體重)) 유기염소계 살충제 $900{\mu}g$ 기준(基準)에 훨씬 미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