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P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IFCXML Based Automatic Data Input Approach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 Kim, Karam;Yu, Jungho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3권1호
    • /
    • pp.14-21
    • /
    • 2013
  • To analyz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 building description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BEPA) is required. The required data input for subject building is a basic step in the BEPA process. Sinc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quired data for BEPA can be gathered from a single international standard file format like IFCXML. However, in most BEPA processes, since the required data cannot be fully used from the IFCXML file, a building description for BEPA must be created again. This paper proposes IFCXML-based automatic data input approach for BEA. After the required data for BEPA has been defined, automatic data input for BEPA is developed by a prototype system. To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a common BIM file from the BuildingSMART website is applied as a sample model. This system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BEPA process, since the data input is automatically and efficiently improved by directly using the IFCXML file..

IFCXML BASED AUTOMATIC DATA INPUT APPROACH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 Ka-Ram Kim;Jung-Ho Yu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73-180
    • /
    • 2013
  • To analyz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 building description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BEPA) is required. The required data input for subject building is a basic step in the BEPA process. Sinc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quired data for BEPA can be gathered from a single international standard file format like IFCXML. However, in most BEPA processes, since the required data cannot be fully used from the IFCXML file, a building description for BEPA must be created again. This paper proposes IFCXML-based automatic data input approach for BEA. After the required data for BEPA has been defined, automatic data input for BEPA is developed by a prototype system. To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a common BIM file from the BuildingSMART website is applied as a sample model. This system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BEPA process, since the data input is automatically and efficiently improved by directly using the IFCXML file.

  • PDF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 무과실책임규정의 개정방안 (Proposal for Amendment of the Basic Environmental Policy Act ('BEPA') Article 31)

  • 고문현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4호
    • /
    • pp.125-147
    • /
    • 2009
  • 1990년에 제정되어 우리나라 환경법의 체계상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환경정책기본법에는 그 제31조에 사업자등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절대적 책임을 규정한 것으로서 비교법적으로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강력한 효력을 지닌 규정이다. 여기에서는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바람직한 개정방안을 우리나라 법체계와 동일한 대륙법계에 속하면서 1990년에 환경책임법을 제정하여 시행하면서 비교법적으로 좋은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는 독일환경책임법에 비추어 모색해 본다. 첫째,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가 일반조항의 형태로서 구성요건적 내용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구성요건의 구체적인 기준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논란이 예상되므로 '사업자등'에서의 '사업자등'에 대한 개념규정이 필요하다. 둘째, 고의 과실의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 환경정책기본법은 제31조 제1항에서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한 때에는 당해 사업자는 그 피해를 배상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동법 제3조에서 '환경오염'이라 함은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방사능오염, 소음 진동, 악취, 일조방해 등으로서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시설책임보다는 시설 및 행위책임으로 보인다. 우리 환경정책기본법과 같이 무과실의 위험책임을 근간으로 하는 독일환경책임법이 위험책임에 기초하면서도 행위책임이 아니라 시설책임에 따름으로써 그 적용범위를 제한하고 있는 점과, 시설책임에 의하면서도 가능한 한 추상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시설의 종류를 별표 I에서 나열하는 열거주의를 채택함으로써 무과실책임의 적용 주체를 가능한 한 명확하게 하고 있는 점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셋째, 책임제한의 구체적 기준을 위하여 독일환경책임법 제5조와 같은 물적 손해배상 책임의 배제규정을 참조하여 물적 손해배상책임의 제한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넷째, 무과실의 위험책임에 따르더라도 가해행위와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하는데 전문지식이 결여된 피해자가 입증책임을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은 입증의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피해자를 입증책임의 곤란으로부터 구제하기 위하여 독일환경책임법상의 '인과관계의 추정'규정을 벤치마킹하여 피해자를 가해자(시설보유자)보다 유리한 지위에 서게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환경손해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서 피해자의 시설보유자(가해자)에 대한 정보청구권, 시설보유자의 다른 시설보유자 및 피해자 또는 주무관청에 대한 정보청구권 등을 두는 것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환경정보법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여섯째, 명문으로 천재지변, 전쟁, 제3자의 행위 등에 의한 면책조항을 규정하여 이러한 불가항력적 사유에 터잡은 손해에 대하여는 배상의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환경오염에 대한 잠재적 가해자인 시설보유자의 급부능력을 담보하기 위하여 환경오염에 의한 손해의 배상의무(전보준비, Deckungsvorsorge)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는 규정이 필요하다. 여덟째, 이상의 논의들을 고려하고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 제1항의 구체적 효력의 인정 여부를 둘러싼 논란을 잠재우고, 궁극적으로 피해자의 권리보호에 충실하기 위해 환경책임체계를 총괄하는 별도의 법인 가칭 '환경책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다수의 법률의 양산을 지양한다는 관점에서 기존의 환경정책기본법에 책임 조항과 관련한 별도의 장을 마련하는 것을 차선의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Foundation of Management Innovation and a Success Model of Micro Enterprise by Increasing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 Relationship Analysis

  • Suh, Geun-Ha;Hong, Yong-Woong;Jin, Soon-Ae;Jo, Geum-Je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31-42
    • /
    • 2012
  • After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and financial crisis, high prices and domestic recession in Korea posed threats to the business survival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This paper looks at the potential of micro business owne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ose who have a spirit of entrepreneurship and the potential to be a hidden champion. Our study of micro business values use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by LISREL. We have done 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of management innovation and success model of micro enterprise by increasing the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performance relationship analysis. A micro-enterprise is a type of small business, found only in Korea, often registered as having ten or fewer employees. We examine the successful type of hidden champions an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n start-ups in business. As compared to past research on the SME entrepreneurship, this study segments small businesses even furthe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ms that are most appropriate for the Korean situation today: innovation,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is Korea's first empirical analysis on four business types: wholesale and retail sales, food and lodging business, service business, and manufacturing business. Thus far, research on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was carried out using small-scale investigative analysis. However,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a model that can explain a cause-effect relation of the motivational level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of entrepreneurship by each business type and small business start-up success factors. Various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s could be developed in a diverse and precise manner. Independent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the success of small businesses can be developed additionally to examine the success factors related to the systematization in detailed manner.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innovation,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of the manifested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ercep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mall businesses. Among the four business types, the ones that manifested the highest successful start-up rates were food, service, wholesale and retail sales and manufacturing. Results after conducting the regression analysis are shown on, which proves that the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exerts direct effect on the 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es. In other words,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he small business financial succes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R2 value is 0.61.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perception of systematization and variables on attitude explains the 61% of the success for small self-employed businesses management performance. We define start-up key factors that are helpful to achieve internal growth of firms by finding business survival strategies. The results also focus on Korean government policy for micro enterprise and small business support.

  • PDF

한국 소상공인의 조직화 인식도 상호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와 정책적 시사점 : 군집분석을 이용한 접근 (An Empirical Study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Correlations of Korean Small Businessman's Perception of Systematization Using Cluster Analysis)

  • 서근하;이광노;윤성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57-1164
    • /
    • 2011
  • 본 연구는 소상공인 조직화를 프랜차이즈, 공동브랜드, 업종별 협회, 시 군 구에 등록된 상인회로 구분하고,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의 경영전략 선정에 있어서 어떠한 가치관을 가지는 지에 대하여 군집분석에 의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은 인구통계적인 특성에서 성별, 학력, 연령별로 유의한 조직화 인지와 조직화 효과 그리고 최종적인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의 경영전략 가치관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격 경쟁지향과 마케팅 경쟁지향, 무개념 경영등 3가지 유형의 프로파일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상공인의 조직화에 대한 프로파일 도출과 조직화 인식도에 따른 경영성과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향후 정부에서는 자영업의 시설개선과 현대화 사업 못지않게 소상공인 조직화 개발과 지도와 같은 경영현대화 사업에 더욱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밝혀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