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KK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다변량 BEKK모형을 이용한 방한 외래 관광객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atilities of Inbound Tourists Arrivals using the Multivariate BEKK model)

  • 김경수;이경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3호
    • /
    • pp.1-23
    • /
    • 2013
  •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다변량 BEKK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을 가장 빈번하게 방문하는 미국, 일본, 중국의 외래객 입국자수간 변동성의 전이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체기간의 VEC모형에서 미국, 일본 및 중국의 관광객 입국자가 한국의 외래 관광객에 미치는 장기탄력성이 양(+)과 음(-)의 균형으로 변동하였다. 다변량 BEKK모형의 조건부 평균식에서 여러 평균전이효과가 존재하였고, 조건부 분산식에서 ARCH(${\epsilon}^2_t$)의 계수는 유의하여 모든 자국의 입국자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양방향의 한국과 미국간, 한국과 일본간, 미국과 중국간에 강한 변동성전이효과가 존재하였다. 또한 일방향의 미국(일본)에서 일본(중국)으로 변동성전이효과를 나타내었다. GARCH(${\sigma}^2_t$)의 계수는 자국의 입국자와 다른 입국자간에서도 강한 영향을 미치는 조건부 변동성전이효과를 보여주었고 미국과 중국의 자국 입국자에서 비대칭효과가 존재하며, 다른 입국자간에도 비대칭효과가 존재하였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후의 결과, 일본과 중국의 관광객 입국자가 한국의 외래 관광객에 미치는 장기탄력성이 모두 음(-)의 균형으로 변동하였다. 다변량 BEKK모형의 조건부 평균식에서 소수만이 평균전이효과가 존재하였고, 조건부 분산식에서 ARCH(${\epsilon}^2_t$)의 계수는 유의하여 모든 자국의 입국자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일방향의 여러 변동성전이효과를 나타내었다. GARCH(${\sigma}^2_t$)의 계수는 일본과 중국의 자국의 입국자만이 변동성전이효과를 보여주었고 한국, 미국, 일본의 자국 입국자에서 비대칭효과가 존재하며, 다른 입국자 내 간에도 비대칭효과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국의 관광객 입국자에서 한국으로의 전이효과와 한국과 타국의 관광객 입국자간 일방향 또는 양방향의 비대칭적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한국과 타국의 관광객 입국자간의 여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헤지비율의 시계열 안정성 연구 (Random Walk Test on Hedge Ratios for Stock and Futures)

  • 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15-21
    • /
    • 2014
  • 주식과 선물간의 헤지비율의 시계열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KOSPI200과 S&P500의 주식과 선물 지수를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 두 금융시장의 헤지비율에 대한 시계열 안정성을 연구한다. Coakley, Dollery, and Kellard(2008)는 1995년부터 2005년의 S&P500 현물을 대상으로 시계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시계열 안정성이 검증된 기간을 분석기간에 포함하여 두 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강건성을 얻고자 한다. 한국시장의 분석기간은 주식선물시장이 개설된 1996년부터 2005년이다. S&P500은 1982년부터 2004년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BEKK and diagonal-BEKK을 사용하여 헤지비율을 구하며, 시계열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R/S와 GPH 방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는 시장효율성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랜덤워크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결과는 헤지비율을 이용한 위험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한국에서의 금리, 환율, 주가의 상호 충격전이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Mutual Shock Spillover Effects among Interest Rates, Foreign Exchange Rates, and Stock Market Returns in Korea)

  • 김병준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1호
    • /
    • pp.3-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1월에서 2015년 10월까지의 5,323개 일별자료로 다변량 GARCH BEKK모형을 이용하여 금리, 환율, 주가 상호간 충격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체표본기간에서의 변동성 충격전이를 분석한 결과로는 우선 대칭모형상으로 금리변동의 충격은 주가에만 충격을 주었고 환율변동의 충격은 다른 두 변수들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는데 주가변동은 금리와 환율 모두에 유의미한 충격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대칭모형상으로는 금리의 상승충격은 환율에만, 환율의 상승충격은 금리에만 상호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주가의 하락충격은 환율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국면 소표본기간에서는 비대칭모형에서 금리의 상승충격이 환율과 주가에 영향을 미쳤고 주가의 하락충격은 환율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국면 소표본기간의 비대칭모형에서는 주가의 하락충격만이 금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한국의 주식시장 변동충격은 나머지 두 변수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고 금리의 충격은 시기별로 주가와 환율에 영향을 미쳤으나 환율의 충격은 전체적으로 그리 크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주식시장의 안정화 유도책이 시장변수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선결과제임이 입증되었다.

Analysis of Staple Food Price Behaviour: Multivariate BEKK-GARCH Model

  • Jati, Kumara;Premaratne, Gamin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4권4호
    • /
    • pp.27-37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behaviour of staple food price using Multivariate BEKK-GARCH Model. Understanding of staple food price behaviour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unpredictability of staple food market and also for policy making.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commodity prices of sugar, rice, soybean and wheat to examine the volatility behaviour of those commoditi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own-volatility spillover are relatively significant for all food prices. The own-volatility spillover effect for sugar price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with the volatility spillover of other staple food commoditie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at the price volatility of wheat increases during food crisis more than it does when the condition is stable. Also, the own-volatility of rice and wheat in the period of the food crisis is significant and higher compared to the period before food crisis indicates that the past own-volatility effects during food crisis are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predict because of the uncertainty and high price volatility. Policy recommendations that can b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are: (1) a better trade agreement in food commodity trade, (2) lower the dependence on wheat importation in Indonesia, and (3) reliable system to minimize food price volatility risks.

국채선물과 현물시장의 이변량 변동성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ng the Volatility in KTB Spot and Futures Markets)

  • 장국현;윤병조;조영석
    • 재무관리연구
    • /
    • 제21권2호
    • /
    • pp.183-20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금리변동에 따른 헤지수단의 목적으로 도입된 국채선물과 해당 기초자산인 국채현물의 일별 자료를 통해 두 시계열의 상호관계를 변동성에 초점을 두고 Bivariate GARCH 모형인 BEKK 모형과 국면전환 및 백터 오차수정항이 포함된 Bivariate-AR(1)-Markov-Switching-VECM 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2000년 1월 4일부터 2003년 10월 30일까지이며 분석대상은 일별 국채현물지수와 국채선물지수 935 관측치 이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에서 국채선물과 현물시장의 분석에 있어서 두 시장을 한꺼번에 아우를 수 있는 Bivariate 모형설정의 중요성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기간 중에는 국채시장의 상승국면과 하락국면이라는 두 상태보다는 국채가격의 변동성국면이 훨씬 더 강하게 국채시장에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투자자가 보다 나은 헷징결과를 기대한다면 국채시장의 분석시 현물과 선물, 각각의 분산과정뿐만 아니라 공분산과정도 반드시 시계열모형내에서 동시에 고려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BDI와 CCFI 및 BDI와 SCFI 운임지수 사이의 변동성 파급 효과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between BDI with CCFI and SCFI Shipping Freight Indices)

  • 이몽화;김석태
    • 무역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27-163
    • /
    • 2023
  • 본문에서는 실증분석 부분을 두 시기로 나누어 COVID-19 전후에 해운지수 간의 변동성 파급효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전후에 해운지수 간의 평균 파급효과 및 지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VAR 모델에 구축된 공적분 분석과 Granger 인과관계 테스트를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해운지수가 단기적으로 자신의 충격에 대한 반응과 한 지수가 다른 지수에 대한 충격을어떻게 반영하는지 밝히기 위해서 충격반응함수 및 예측 오차 분산분해를 활용하였다. COVID-19 전염병 이전에는 BDI 해운지수가 CCFI 해운지수에 미치는 관계가 존재하지만 COVID-19 이후에는 BDI지수와 CCFI지수 사이에 뚜렷한 lead-lag 관계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전염병 이전에는 BDI지수는 SCFI지수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고,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SCFI 지수가 BDI 지수를 앞서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VAR-BEKK-GARCH 모델을 활용하여 COVID-19 전후 벌크 화물 해운시장 및 컨테이너 해운시장 간의 변동성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코로나19 이전의 BDI지수는 CCFI지수와 SCFI 지수에 대한 단발성 변동성 파급효과를 보였고 COVID-19 이후에도 BDI 지수의 변동성이 CCFI 지수에 여전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BDI지수와 SCFI지수 간의 변동성 파급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ormation Transmission of Volatility between WTI and Brent Crude Oil Markets

  • Kang, Sang Hoon;Yoon, Seong-Min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2권4호
    • /
    • pp.671-689
    • /
    • 2013
  • Transmission mechanisms of volatility between two crude oil markets (WTI and Brent markets) have drawn the attention of numerous academics and practitioners because they both play crucial roles in portfolio and risk management in crude oil markets. In this context, we examined the volatility linkages between two representative crude oil markets using a VECM and an asymmetric bivariate GARCH model. First, looking at the return transmission through the VECM test, we found a long-run equilibrium and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crude oil markets. However,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GARCH-BEKK model suggest that there is unidirectional volatility spillover from the WTI market to the Brent market, implying that the WTI market tends to exert influence over the Brent market and not vice versa. Regarding asymmetric volatility transmission, we also found that bad news volatility in the WTI market increases the volatility of the Brent market. Thus, WTI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to the Brent market, indicating that the prices of the WTI market seem to lead the prices of the Brent market.

소비 대체 양식어종 간의 가격 인과성과 변동성 전이에 관한 연구 (The Causality and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Farming fish Species in Consumption Replacement Relation)

  • 강석규
    • 수산경영론집
    • /
    • 제46권3호
    • /
    • pp.119-127
    • /
    • 2015
  •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usality and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farming fish species in consumption replacement relation using flatfish(oliver flounder) and rockfish's wholesale market price data from September 2006 to July 2015. For the analysis, VAR(5) model and bivariate asymmetric GARCH-BEKK model are employe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ce volatility of flatfish and rockfish is very large without the trend during the sample period. Seco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latfish and rockfish wholesale markets has positive 0.1059 value. Third, causality relation is unidirectional from rockfish market to flatfish market. Fourth, conditional volatility spillover effect is unidirectional from rockfish market to flatfish market, but asymmetric volatility effect is bidirectional between flatfish and rockfish markets that implies the bad news arising from flatfish wholesale market impact on rockfish market's volatility and the bad news arising from rockfish wholesale market impact on flatfish market's volaltilty. Consequently, based on the thus results,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interacts and is bidirectional between flatfish and rockfish wholesale markets.

국제 비철금속 선물가격의 변동성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in International Non-Ferrous Metals Futures Price )

  • 양국동;이은화;마예
    • 무역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77-195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between international non-ferrous metal futures markets using the BEKK-GARCH model. Statistical data are futures price data of copper (CU), aluminum (AL), nickel (NI), tin (SN) from Shanghai Futures Exchange (SHFE) and London Metal Exchange (LME) from April 1, 2015 to December 31, 2021.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copper, aluminum, and nick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two-way volatility spillover effect between the Shanghai and London markets, and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the London market was greater. Second, in the case of the tin, it was found that the Shanghai market has a volatility spillover effect on the London market from stage I, and it is strengthened in stage II. Third, in the case of nick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two-way volatility spillover effect in the first stage, but in the second stage, the London market had a unidirectional volatility spillover effect with respect to the Shanghai market.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na's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non-ferrous metal futures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investors can engage in arbitrage and hedging using China's non-ferrous metal futures market.

A Study on Co-movements and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a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Comparison of the COVID-19 and 2008 Financial Crises

  • Yin-Hua Li;Guo-Dong Yang;Rui Ma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5호
    • /
    • pp.167-198
    • /
    • 2023
  • Purpose -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ovements and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a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during the COVID-19 and the 2008 financial crises. Design/methodology - The DCC-GARCH model is used in the co-movements analysis. In contrast, the BEKK-GARCH model is used to evaluat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The statistical data used is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22. It comprises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data and daily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prices of natural gas, West Texas Intermediate crude oil, gold, silver, copper, nickel, soybean, and wheat. Findings - The results of the co-movement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co-movement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a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were temporarily strengthened when the COVID-19 and 2008 financial crises occurred. Seco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were shown to have high correlations with the copper, nickel, and crude oil futures markets. The results of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the 2008 financial crisis, four commodity futures markets (natural gas, gold, copper, and wheat) were shown to be in two-way leading relationships with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In contrast, seven commodity futures markets, except for the natural gas futures market, were shown to be in two-way leading relationships with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after the financial crisis. Second, before the COVID-19 crisis, most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excluding natural gas and crude oil future markets, were shown to have le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in one direction. Third, it was revealed that after the COVID-19 crisis,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and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except for natural gas, crude oil, and gold, were completely severed. Originality/value - Useful information for portfolio strategy establishment can be provided to inves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financial policy authorities can utilize the results as data for efficient regul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and policy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