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UR

검색결과 4,845건 처리시간 0.034초

인공타액에서 아말감의 부식거동에 관한 전기화학적 연구 (ELECTROCHEMICAL STUDY ON THE CORROSION BEHAVIOUR OF DENTAL AMALGAM IN ARTIFICIAL SALIVA)

  • 김영남;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2호
    • /
    • pp.221-235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characteristic properties through the polarization curves and EMPA images from 4 different types of amalgam obtained by using the potentiostats (EG & G PARC) & EPMA (Jeol JSM-35),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rrosion of each phase of amalgam on the oxidation peak, and to identify corrosion products from the corroded amalgam by use of X-ray diffractometer(Rigaku). After each amlgam alloy and Hg were triturated as the direction of the manufacturer by means of the mechanical amalgamator(Shofu), the triturated mass wa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metal mold which was 12mm in diameter and 10mm in height and was condensed by means of routine manner. The specimen was removed from the mol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7 days. The standard surface preparation was routinely carried out. Anodic polarization measurement was employed to compare the corrosion behaviours of the amalgams in 0.9% saline solution(pH6.8~7.0) and artificial saliva (pH6.8~7.0) at $37^{\circ}C$. The open circuit potential was determined after 30 minutes' immersion of specimen in electrolyte and the potential scan was begun at the potential of 100mV cathodic from the corrosion potential. The scan rate was 1mV/sec and the surface area of amalgam exposed to the solution was 0.64$cm^2$ for each specimen. All the potentials reported are with respect to a 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EPMA images on the determined oxidation peaks of each amalgam in artificial saliva were observed.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sample were recorded before and after polarization in artificial saliva (Aristaloy, Caulk Spherical, Dispersalloy and Tytin: at +770mV, +585mV, +8.10m V and +680m V respectively) by use of a recording diffractometer. Nickel filtered Cu $K_{{\alpha}_1}$ radiation was used and sample was scanned at $4^{\circ}(2{\theta})/min.$ from $25^{\circ}$ to $80^{\circ}$.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Oxidation peak potential in artificial saliva shifted to more anodic direction than that in saline solution. 2. The corrosion potential of high copper amalgam was more anodic than the potential of low copper amalgam. 3. The current density was lower in artificial saliva than in saline solution. 4. One of the corrosion products, AgCl was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5. ${\gamma}_2$ phase was the most susceptible to corrosion and e phase was stable in low copper amalgam and ${\eta}$' phase and Ag-Cu eutectic were susceptible to corrosion in high copper amalgam.

  • PDF

세라마이드 IIIB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거동 (Behaviour of Nanoemulsions Containing Ceramide IIIB and Stratum Corneum Lipids)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1-37
    • /
    • 2018
  • 오일/정제수(O/W) 나노에멀젼은 피부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콜레스테롤, 팔미틴산과 같은 피부 각질층 지질과 세라마이드 IIIB (CIIIB)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와 특성화에 초점을 두었다.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 크기, 나노에멀젼 안정성 및 CIIIB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유화 공정 조건을 검토하였다. $80^{\circ}C$의 유화 온도 및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유화법을 통해 입자 크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CIIIB는 오일 및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CIIIB의 농도가 증가하면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Lipoid S75-3을 오일 상에 첨가하면 CIIIB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DSC 측정에서 보여지는 일부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CIIIB와 피부 각질층 지질은 결정화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 없이 성공적으로 나노 에멀젼에 혼입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 에멀젼은 피부를 위한 효과적인 보습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EPG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의 기주 식물체별 조직내 섭식행동 (Feeding Behavior in the Plant Tissues with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 Using EPG Technique)

  • 서미자;장진영;강은진;강명기;김남성;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71-276
    • /
    • 2005
  • 복숭아혹진딧물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고추, 무, 배추, 가지, 참외 등 5종류의 기주식물에서 EPG기술을 이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구침이 식물체 표면에 접촉된 후 전기적 연결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맨 처음 potential drop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된 시간, 구침의 세포간극내에서의 활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potential drop의 수, 전기적 연결신호가 나타난 시점부터 체관부를 섭식하는 순간까지 소요된 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Potential drop 수에서는 기주들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머지 요인에서는 기주식물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참외나 배추보다는 고추, 무, 가지에서 즘 더 기주선호성과 관련된 섭식패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 사용후핵연료에 함유된 루테늄의 양이온교환 분리 및 정량 (Cation Exchang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Ruthenium in a Simulated Spent Nuclear Fuel)

  • 서무열;손세철;이창헌;최광순;김도양;박영재;박경균;지광용;김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26-532
    • /
    • 2000
  • 사용후핵연료에 미량 함유되어 있는 루테늄 분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양이온교환법을 이용한 분리 조건을 조사하였다. 산분해 장치를 사용하여 9:1 몰비의 혼합산($HCl-HNO_3$)으로 루테늄 시료를 용해시켰다. 염산 용액에서 루테늄의 흡수스펙트럼과 이온교환 거동 조사를 통해 분리에 관련된 루테늄의 화학종을 제시하였다. 미량의 루테늄이 함유되어 있는 우라늄 용액을 양이온교환수지(AG 50W ${\times}$ 8, 100~200 mesh) 분리관(0.7 ${\times}$ 8.0 cm)에 넣고 0.5 M 염산으로 루테늄을 용리시켰다. 모의 사용후핵연료에 확립된 루테늄 분리방법을 적용하고 유도결합 플라스마 원자방출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루테늄 회수율은 98.5%이었다.

  • PDF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에 따른 콘크리트와 이형철근의 부착 거동 (Effec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RCA) Replacement Level on the Bond Behaviour between RCA Concrete and Deformed Rebars)

  • 장용헌;최기선;유영찬;김긍환;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23-130
    • /
    • 2010
  • 순환골재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거동 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순환골재를 적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 상호간의 부착 거동을 평가하기 압축인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변수는 설계압축강도(21, 27, 40 MPa), 순환 굵은골재 치환율(0, 30, 60, 100%) 및 철근의 배근방향 및 위치(상단근, 하단근)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V형 시험체의 경우 순환골재 치환율에 관계없이 상호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H형 시험체의 경우는 철근의 배근 위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HT형 시험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CEB-FIP 및 ACI 408 기준식에 의한 계산 값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재생골재 사용에 따른 성능 저하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HT형 시험체의 경우 순환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라 골재 침하 현상이 크게 발생되며 불리딩 및 레이턴스에 의한 부착면적의 감소로 최대 부착응력이 다른 시험체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현행 규준에서 정하는 상부철근의 높이인 300 mm 이하(높이 225 mm)에서도 부착강도의 저하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현재 규준에서 제안하는 철근 위치 보정계수 1.3의 값의 수정과 신뢰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어린이들의 비의도적 행위에 대한 노출계수 개발 및 영향요인 분석 (Exposure Factor Development of Children's Hand and Mouthing Activities Using Videotap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 정다영;윤효정;양원호;김탁수;서정관;허정;류현수;김순신;최민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38-44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posure factor data for the Korean child population, with a specific focu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hand-to-mouth and object-to-mouth and a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Methods: We divided environments into two places, which were house/indoor and nursery. A total of 400 children (house/indoor) and a total of 162 children (nursery) were recruited from the cities of Seoul, Incheon, Daegu, and Gwangju.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e conducted direct measurement by using one hour of videotaping alongside questionnaire surveys. This was performed to calculate behavior rates, such as how many children perform hand-to-mouth and object-to-mouth behaviors. Results: The respective average frequencies of hand-to-mouth and object-to-mouth were $0.8{\pm}2.23$ and $0.82{\pm}2.64contacts/hr$ for house/indoor. The respective average frequencies of hand-to-mouth and object-to-mouth were $2.87{\pm}4.63$ and $1.47{\pm}3.84contacts/hr$ in the nursery group. For the mouthing participants, the average frequencies of hand-to-mouth and object-to-mouth were 3.31 and 3.20 contacts/hr in house, and 4.80 and 3.26 in nursery.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SA, the frequencies of hand-to-mouth and object-to-mouth behaviors found in this study were relatively lower. Conclusions: Children have the potential for exposure to toxic substances through non-dietary ingestion pathways by mouthing objects or their fingers. In this study, the mouthing frequenc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found in Western countries. This can be explained that mouthing behaviour may be affected by culture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황사기간 중 PM2.5, PM10, TSP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Behaviour of Dust Concentrations During Sand Storm in Seoul Area)

  • 김민영;김광래;이민환;조석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5-324
    • /
    • 2003
  • 서울시에서 설치하여 운영중인 대기질 측정소의 입자상물질을 대표하는 PM$_{2.5}$, PM$_{10}$, TSP와 황사기간 중 고용량고기포집기로 채취한 먼지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1990년도부터 2002년 11월까지 서울에서 관측된 황사일수는 2000년 이후 발생빈도가 증가하였으며 황사지속시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PM$_{10}$/TSP 비율은 황사시 2000년, 2001년도에 각각 52.9%, 59.4%로 비황사시에 비해 PM$_{10}$의 비율이 약 10% 정도 낮은 것으로 미루어 황사시 10 ${\mu}$m이상의 입경이 큰 입자 영향이 컸던 반면에 2002년 황사시에는 PM$_{10}$의 영향이 오히려 크게 나타나 PM$_{10}$이 TSP 중의 71.4%에 달하였다. 황사가 전체 먼지농도에 미치는 기여율은 2002년도에 PM$_{2.5}$ 11.9%, PM$_{10}$ 23.1%, TSP 1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여 황사가 전체 면지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리-바나듐 산화물 박막의 양극 특성 및 전 고상 전지의 제작 (Characteristics of Copper Vanadium Oxide$(Cu_{0.5}V_2O_5)$ Cathode for Thin Film Microbattery)

  • 임영창;남상철;박호영;윤영수;조원일;조병원;전해수;윤경석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19-223
    • /
    • 2000
  • 구리-바나듐 산화물 양극을 이용하여 $(Cu_{0.5}V_2O_5)$으로 구성된 전 고상의 리튬이차박막전지를 제작하였다. 구리-바나듐 산화물 박막은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co-sputtering에 의해 제조하였고 Lipon고체전해질은 순수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RF 스퍼터링으로 제조하였다. XRD분석을 통해 구리-바나듐 산화물 박막이 비정질임을 확인하였고, EC:DMC(1:1 in IM $LiPF_5$)액체전해질을 사용한 반전지 구조에서 그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Lipon고체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25^{\circ}C$에서 $1.02\times10^{-6}S/cm$를 나타내었고 전고상 박막전지는 $1.5V\~3.6V$의 전압구간, $50{\mu}A/cm^2$의 전류밀도에서 500싸이클까지 약 $50{\mu}Ah/cm^2{\mu}m$의 방전용량을 유지하였다

신생아의 통증완화를 위한 자당(sucrose) 경구투여 효과 (Pain Relieving Effect of Intraoral Sucrose Replacement in Neonates)

  • 윤혜봉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35-50
    • /
    • 2001
  • The ability of neonates to perceive and react to pain, has been acknowledged recently. Recent researches have been shown that even short term pain can have lasting negative effects. We know that most of the anatomical pathway and neurotrans-mitter function necessary for pain perception are fully or nearly fully developed in the neonatal period. Many people are still reluctant to believe that pain felt by neonates may be as severe as that felt by older children or adults ye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ssess and compare the analgesic effects of orally administered sucrose and pacifiers. And to determine the synergistic analgesic effects of sucrose and pacifiers. The tools for this study is Lawrence's NIPS (neonatal infant pain scale) with behavioural pain responses and index for pain physiological reponses a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and degree of SaO₂. The participants are 96 healthy infants of neonatal age 1-7days and randomised to receive heel prick before 2minutes to blood sampling and physiological test in Nursery of K Medical University Hospital on May-July, 2000.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s : no treatment; a pacifier; placebo(2ml 25% sucr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rogram using X²-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post ho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in behaviour responses: The pain scor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lower than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significantly(P=.000). Placebo group is different from no treatment and pacifier group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2) Pain physiologic responses (1) heart rate: The heart rat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different from that of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significantly(P=.000). The heart rate change of placebo group is less than the other groups. (2) respiratory rate: The respiratory rat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different from that of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insignificantly (P=.2340). But, the respiratory rate of placebo group is lower than the other groups. (3) SaO₂: The SaO₂ scor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different from that of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insignificantly (P=.3265). But, the change of SaO₂ score of placebo group is less than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sucrose placebo showed pain relief effect in behavior responses and less 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ly, the sucrose placebo should be applied nursing intervention for simple pain management as heel prick.

  • PDF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건조수삼과 백삼 압출성형물의 침출속도 및 침출물 특성 (Properties of Extracts from Extruded Root and White Ginseng at Different Conditions)

  • 김봉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6-310
    • /
    • 2005
  • 압출성형공정을 적용하여 건조수삼내부 유효성분의 침출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분함량(20, 25, 30%)과 스크루 회전속도(200, 300 rpm)를 달리하여 제조한 인삼유효 성분의 침출속도, 침출액의 조사포닌, 수용성지수, 갈색도와 적색도를 비교하였다. 인삼과 홍삼의 중요한 유효성분인 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의 지표가 되는 압출성형 수삼과 백삼 침출액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수분함량의 감소와 스크루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용성지수 및 조사포닌 함량은 수분함량이 감소 및 스크루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건조수삼과 압출성형수삼의 입자크기가 감소할수록 침출된 인삼유효성분의 지표가 되는 흡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수삼 압출성형물의 침출액과 실험한 입자크기에서 수분함량이 28%에서 20%로 감소할수록 260∼520 nm 파장에서 흡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용성지수도 흡광도와 마찬가지로 입지크기가 갑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압출성형 수삼의 경우 팽화에 의한 기공의 형성과 전단력에 의한 세포벽의 파괴와 함께 압출성형물 내부의 유효성분의 침출율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결론적으로 다른 열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압출성형공정을 인삼 침출차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으로 판단되었다.